지난해 음악 저작권료 4000억 징수… 세계 9위 기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대한민국이 음악 저작권료로 4000여억원을 징수하며 세계에서 9번째로 많은 징수액을 올린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저작권 신탁 단체들이 지난해 전 세계에서 징수한 음악 저작권료는 약 2억7900만 유로(한화 약 4165억원)로 2022년 대비 9.6% 증가했다.
전체 음악 저작권료 가운데 한국음악저작권협회(한음저협)가 징수한 금액은 약 4065억원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연 사용료 징수도 큰 폭 증가
지난해 대한민국이 음악 저작권료로 4000여억원을 징수하며 세계에서 9번째로 많은 징수액을 올린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5일 국제저작권관리단체연맹이 발표한 ‘2024년 글로벌 징수 보고서’와 자체 저작권료 징수 통계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저작권 신탁 단체들이 지난해 전 세계에서 징수한 음악 저작권료는 약 2억7900만 유로(한화 약 4165억원)로 2022년 대비 9.6% 증가했다.
전체 음악 저작권료 가운데 한국음악저작권협회(한음저협)가 징수한 금액은 약 4065억원이었다.
보고서는 저작권료 증가에 K팝 산업의 세계적 부흥과 아이돌 팬덤 현상으로 인한 음반 수요 급증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실제 한음저협이 지난해 음반 판매 등과 관련해 징수한 복제 사용료는 약 1199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46% 증가했다.
한음저협은 “이는 방송, 라이브 공연, 배경음악 수익을 모두 합친 것보다 큰 규모”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라이브 공연과 콘서트 투어가 늘어나며 공연 사용료 징수도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한음저협은 공연 사용료로 약 507억원을 징수했는데 이는 2022년에 비해 약 22% 증가한 것이다.
전송 사용료 징수액은 약 172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9% 증가한 수치로 스트리밍 서비스 확대 등 디지털 음악 시장의 성장에 따른 것이다.
다만 한음저협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저작권료 비중이 0.017%로 세계 33위에 그친 점을 지적하며 저작권료 징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추가열 한음저협 회장은 “우리의 음악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여전히 글로벌 수준과 대한민국 음악 산업 규모에 맞는 저작권료 현실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K팝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려면 창작 환경의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박상희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믿고 갔는데, 최악 축제” 혹평에…백종원, 결국 사과
- 광고주에 100만명 종교·정치성향 넘긴 메타…216억 과징금
- 갑자기 덮쳐 주먹질…신촌 여대생 폭행男, CCTV 보니
- 천하의 피자헛이 어쩌다… 법원에 ‘회생’ 신청
- “가끔 먹을 거 같아요” 안성재 셰프 솔직 광고 ‘호평’
- “불지르려 했다”… 전 여친 찾아가 그 아버지 둔기로 때려
- ‘유아인 마약 공범’ 유튜버, 해외도피 1년7개월만 구속
- 사이버트럭 열리자…샤넬쇼 가는 GD, 남다른 ‘하차감’ [포착]
- “강남 무면허 운전자, 모친 차량”… 면허 딴 적 없어
- 英 Z세대, 채용 합격하고도 교통비 때문에 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