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6명, 입사 1년 내 퇴사… 고용유지율도 양극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규 취업자 10명 중 6명이 입사 1년 안에 퇴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60세 이상일수록 고용 유지율이 더 낮았다.
반면 여성, 저학력, 60세 이상 등 고용 취약계층의 유지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여파가 컸던 2019~2021년 모든 집단에서 고용 유지율이 감소했지만 여성, 중졸 이하, 60세 이상의 경우 더 칸 감소 폭이 드러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성, 저학력, 60세 이상 고용유지율 낮아져
“노동시장 이중구조 존재…취약계층 지원 필요”
신규 취업자 10명 중 6명이 입사 1년 안에 퇴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60세 이상일수록 고용 유지율이 더 낮았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1일 발간한 ‘임금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새로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근로자의 1년 후 고용 유지율은 40.1%였다.
신규 취업자 10명 중 4명만이 1년 넘게 회사를 계속 다녔다는 의미다. 1년 이상 교용이 유지될 확률은 남성일수록, 대졸 이상 학력일수록, 30대일수록 높았다. 반면 여성, 저학력, 60세 이상 등 고용 취약계층의 유지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2021년 기준 남성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42.4%, 여성의 고용 유지율은 37.9%였다. 연령별로는 30대(46.0%)가 가장 높았고 40대(43.8%), 50대(39.8%), 29세 이하(37.4%), 60세 이상(34.0%)이 뒤를 이었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이 44.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문대졸(41.7%), 고졸(38.1%), 중졸 이하(32.0%) 순이었다.
2012년 이후 추이를 보면 2017년까지는 고용유지율이 감소했다.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2019~2021년에도 고용유지율 하락이 나타났다. 반면 2017년~2019년엔 고용유지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분석 결과 감소기에는 고용 취약 계층(여성,저학력,60대 이상)의 고용 유지율이 더 많이 감소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여파가 컸던 2019~2021년 모든 집단에서 고용 유지율이 감소했지만 여성, 중졸 이하, 60세 이상의 경우 더 칸 감소 폭이 드러났다. 반대로 증가기에는 남성, 30대, 대졸 이상 계층에서 고용 유지율이 더 많이 증가했다.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졌다는 의미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 모습을 볼 수 있다”며 “고용지표가 악화되는 시기에 고용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주원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온몸 문신’ SNS 과시, 패싸움 갈취… MZ조폭 24명 검거
- 굳은 표정의 트리플스타… 논란 속 서울시 행사 참석
- 말레이 고속버스서 감전사 “충전 휴대전화 과열 상태”
- 속옷 입고 대학 활보한 女…‘히잡 의무’ 이란서 무슨일
- “세월호 수색후 잠수병·트라우마”…40대 잠수사의 죽음
- 남편·딸 다 있는 집에서…70대 여성 흉기에 찔려 사망
- 신분당선 연장선 ‘무임승차 손해액 90억’ 정부가 낸다
- 북한강 ‘토막 시신’ 용의자는 군인…체포후 “범행 시인”
- 강남 ‘무면허 운전’, 송파서도 유모차 밀던 엄마 쳐
- 美대선에 ‘3차대전’ 경고까지… 지구촌 운명의 카운트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