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자료 모으고 연설문 한편 뚝딱…이재명도 푹 빠진 챗GPT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에 푹 빠졌다. 데이터 분석이 탁월하고 방대한 정보를 요약하는데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친명계 인사는 “이 대표가 네이버 같은 검색 엔진보다 챗GPT를 더 자주 쓰는 것 같다”고 전했다.
미국 오픈AI사에서 2022년 11월 출시한 챗GPT는 웹사이트·기사·서적 등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고, 개별 사용자와 주고받은 대화·지식을 통해 최적의 답을 내는 게 기본적 작동 원리다. 9월 현재 전 세계 약 1억2000만명(활성 사용자 기준)이 사용하고 있고 국내에선 약 300만명이 쓰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챗GPT 활용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국정감사에 쓸 자료를 모으고, 증인 발언을 실시간으로 검증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민주당의 한 보좌진은 “연설문이나 축사도 키워드만 잘 입력하면 빠르게 만들 수 있어 효율적”이라고 했다.
챗GPT에 연설문을 의뢰하는 방법은 이렇다. 먼저 챗GPT에 “국회의원 10명과 함께하는 에너지 관련 포럼 행사”, “4선 의원이 포럼 대표 역할을 맡아 앞으로 진취적인 역할을 요구받는 자리” 등 다양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입력한다. 그러면 챗GPT가 자신을 4선 의원으로 가정해 완성도 높은 연설문을 만들어낸다.
국민의힘 디지털정당위원회(위원장 이재영 전 의원)는 최근 중앙당 5개 부서에 챗GPT 유료(월 20달러, 약 2만7000원) 계정을 배포했다. 이를 주도한 이 전 의원은 챗GPT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코파일럿(co-pilot), AI스타트업이 만든 퍼플렉스티(perplexity) 등도 사용한다. 그는 “생성형 AI에 월 10만원 정도는 투자한다”며 “비서 1명을 두는 것보다 낫다”고 했다.
다만, 생성형 AI에는 치명적 단점도 있다. 챗GPT는 빅데이터에 정보를 입력하면 AI가 알고리즘을 통해 정보를 도출하는 방식이라서 자칫 기밀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지난달 “인풋(입력값)을 학습하는 시스템에 국정감사 자료를 집어넣겠다는 발상은 위험하다”며 “공공의 이익에 맞게 조심해서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물론 챗GPT가 만능도 아니다. 천준호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은 “챗GPT에 나온 내용이 정부 편향적이라 느껴질 때가 있어 다른 생성형 AI를 쓸까 고민 중”이라고 했다. 2020년 AI 보좌관 도입을 주장한 같은 당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활용도는 무궁무진하지만, 질문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질문을 잘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앱 안 깔아도 카카오T 온다…부모님에 알려드릴 '이 번호' | 중앙일보
- 한국 대사관도 "예상 못했다"… 갑자기 '비자 면제' 꺼낸 中속내 | 중앙일보
- '중졸 형제' 서울대 보냈다…중졸 막노동꾼 아빠의 교육법 | 중앙일보
- "접종 안 하고 딸 만지며 촬영"…박수홍 아내 글에 시끌, 무슨일 | 중앙일보
- "똥오줌 치우는 김 반장…폼은 쇼트트랙" 김동성 깜짝 근황 | 중앙일보
- '오타니의 분노' 4200만 화들짝…일본 취재진 노려본 이유 | 중앙일보
- "그때 죽였어야…" 최현석, 딸 띠동갑 남친 보고 뒤늦은 후회? | 중앙일보
- 주말에 빨래 널다 참변…아파트 16층서 40대 여성 추락사 | 중앙일보
- 토막 살인? 아니면 北 유실? 북한강서 떠오른 시신 미스터리 | 중앙일보
- 조혜련 남편 역할 배우, 왜 이렇게 닮았지?…알고보니 현실 남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