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학생독립운동은 나주에서 시작됐다
[이돈삼 기자]
▲ 밤에 만난 나주학생독립운동 기념탑. 댕기머리 사건 현장인 옛 나주역 앞에 세워져 있다. |
ⓒ 이돈삼 |
'나는 피가 머리로 역류하는 분노를 느꼈다. 가뜩이나 그놈들과 한 차에 통학하면서도 민족 감정으로 서로 멸시하고 혐오하여 지내온 터인데, 그들이 우리 여학생을 희롱하였으니 나로서는 당연한 감정적인 충격이었다. 더구나 박기옥은 나의 사촌 누님이었으니, 나의 분노는 더하였다. 나는 박기옥의 댕기를 잡고 장난을 친 후쿠다를 개찰구 밖 역전 광장에서 불러 세우고, 우선 점잖게 따졌다.'
박준채(1914~2001) 선생의 회고집 '독립시위로 번진 한·일 학생 충돌'의 일부분이다. 박준채는 당시 광주고등보통학교 2학년 학생이었다.
▲ 박준채의 검사 피의자 신문조서. 박준채의 이름과 직업, 연령, 주소 등이 적혀있다. |
ⓒ 국사편찬위원회 |
▲ 옛 나주역사. 나주역 댕기머리 사건의 현장이다. |
ⓒ 이돈삼 |
이 광경을 목격한 박준채가 후쿠다를 꾸짖었다. 후쿠다가 '조센징'을 들먹이며 무시했다. 후쿠다가 '조센징 놈이 뭐라고 까불어?' 하는 바람에, 그의 얼굴에 주먹을 날렸다는 게 박준채의 회고 글이다. 사건을 목격한 일본인 순사도 일본인 학생 편을 들었다.
일제 치하에서 감정을 삭이고 있던 한국 학생들의 분노가 폭발한 것이다. 한국과 일본 학생들의 단체 싸움으로 번졌다. 이른바 '나주역 댕기머리 사건'이다.
박준채와 박기옥이 살던 집이 나주 남파고택(南坡古宅)이다. 남파고택은 밀양박씨 청재공파 종갓집이다. 박준채는 박준삼(1898∼1976)의 동생, 박기옥과 사촌이었다.
▲ 옛 나주역사. 지금은 ‘광주학생독립운동 진원지 나주역사’라는 의미를 담아 전라남도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
ⓒ 이돈삼 |
▲ 나주역 댕기머리 사건을 그린 벽화. 죽림동 거리에 그려져 있다. |
ⓒ 이돈삼 |
광주 통학생 30명이 퇴학 당했다. 많은 학생이 구속됐다. 그럼에도 학생 봉기는 멈추지 않았다. 댕기머리 희롱을 당한 이광춘은 구속학생 석방을 요구하며 '백지동맹'을 이끌었다. 백지동맹은 시험 때 연필은 물론 글자 하나도 쓰지 말자는 저항을 일컫는다.
나주와 광주에서 시작된 학생 항일운동이 전국으로 퍼졌다. 만주와 연해주, 중남미 멕시코와 쿠바 등지에 사는 한민족도 동참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1919년 3·1운동, 1926년 6·10만세운동과 함께 일제하 3대 독립운동이 됐다.
▲ 나주 소녀상. 나주학생독립운동 기념관을 배경으로 세워졌다. |
ⓒ 이돈삼 |
▲ 나주학생독립운동 기념관 내부. 학생독립운동 전개과정을 소상히 알려준다. |
ⓒ 이돈삼 |
옛 나주역이 그대로 보존돼 있다. 역사는 1913년 호남선 개통에 맞춰 지어졌다. 70년대까지 나주교통의 요충지였다. 나주 상권과 문화 중심지였다. 여인숙과 음식점, 주점 등이 역전에 들어서고, 활기를 띠었다. 지금도 그 흔적이 일부 남아 있다.
나주역사 앞에 학생독립운동 기념탑과 기념관도 들어섰다. 기념관에선 학생독립운동 과정을 보여준다. 1전시실에선 일제의 호남 침탈, 침탈의 전초기지였던 영산포와 나주 이야기를 풀어준다.
▲ 나주시 죽림동 전경. 남산시민공원에서 내려다 본 풍경이다. |
ⓒ 이돈삼 |
▲ 나주반. 간결하면서 소박한 것이 특징이다. |
ⓒ 이돈삼 |
지명은 대숲이 많았던 데서 유래한다. 죽공예품도 상인들한테 인기를 끌었다. 상인들은 대바구니에 나주특산 배를 담아 열차 안팎에서 팔기도 했다.
나주학생독립운동 기념관 앞에 무형문화재 나주반(羅州盤) 전수교육관도 있다. 조선에서 세 손가락에 꼽힌 나주반은 별다른 장식 없이 간결하면서도 견고했다. 둥근 다리 선이 날렵하고, 다리와 다리를 연결하는 가락지는 미끈했다. 한 마디로 소박하고 실용적인 상이다. 나주반은 중요무형문화재 '소반장'으로 지정된 김춘식 선생이 명맥을 잇고 있다.
▲ 동학농민군 희생자 기리는 사죄비. 일본과 한국민 성금에다 나주시 도움으로 세워졌다. |
ⓒ 이돈삼 |
▲ 옛 나주읍성 동점문. 일제강점 때 훼철된 읍성 4대문 가운데 동문이다. |
ⓒ 이돈삼 |
동점문과 삼성아파트 사이에 다께나까 통조림공장(옛 화남산업)도 있었다. 군납용 쇠고기 통조림을 생산한 공장이었다. 날마다 소 200∼300마리를 잡았다고 전한다. 죽은 소의 영혼을 달래는 작은 위령비가 세워졌다. 광복 이후엔 복숭아(황도, 黃桃)를 가공하고, 파병 군인용 김치통조림도 만들었다.
▲ 남산시민공원에 세워진 의병장 순절비. 오른쪽에 김태원, 왼쪽에 조정인 의병장 순절비가 세워져 있다. |
ⓒ 이돈삼 |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전남일보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명태균, 김영선에게 호통 "김건희한테 딱 붙어야 6선... 왜 잡소리냐"
- [이충재 칼럼] 대통령 권력 사유화한 '부부 공범'
- 북한에서 들려오는 괴상한 소리... 윤석열 정부가 감춘 것
- [단독] 쌍방울 법인카드, 수원지검 앞 연어 식당 결제 확인
- 구덩이 속 유해는 20여구, 총탄은 131점... 누가 어떻게 쐈나
- [손병관의 뉴스프레소] 명태균의 임기단축 개헌 제안에 윤 대통령 "내가 2년짜리냐?"
- 홍준표 초상화 비튼 작품에 전시실 폐쇄? "특정인 비방, 부적절"
- 윤-명 통화 녹취 공개... 조중동 "매우 부적절", "어이없다"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무사집권의 전야
- 북한 "신형 ICBM '화성포-19형' 시험발사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