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국방수장, SCM 성명에서 "비핵화" 빼…"北에 나쁜 신호"
한·미가 올해 제56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비핵화’를 추구한다는 내용을 빼 비판을 받고 있다. 양국 국방수장의 고위급 정례 회의체에서 가장 중요한 대북 목표가 누락된 것으로 볼 수 있어서다. “SCM에서 다른 중요 사안을 우선 다룬 것일 뿐 비핵화 목표는 견고하다”는 게 국방부의 해명이지만, 비핵화보다는 핵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궤도를 수정하는 게 현실적이라고 보는 미 워싱턴 조야의 분위기가 작용한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김용현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펜타곤(미 국방부 청사)에서 SCM을 개최하고 내놓은 공동성명을 보면 비핵화라는 단어는 단 한 차례도 등장하지 않는다.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SCM에서 꾸준히 명시한 비핵화가 사라진 건 올해로 9년 만이다.
성명에는 “양측은 동맹의 압도적 힘으로 북한의 핵 위협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조율해나가는 동시에,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의 핵 개발을 단념시키고 지연시키는 노력을 추진해나가기로 했다”고 돼 있다. 지난해 성명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양측은 동맹의 압도적 힘으로 북한의 핵 위협을 억제하는 동시에, 제재와 압박을 통해 핵개발을 단념시키고, 대화와 외교를 추구하는 노력을 위한 공조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핵 개발을 지연시킨다’로 대체된 셈이다.
이를 두고 미 정부 안팎에서 제기되는 북한 비핵화에 대한 회의론이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이 상당하다.
미라 랩-후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동아시아·오세아니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지난 3월 ‘중앙일보-CSIS 포럼 2024’에서 “북한과 비핵화를 향한 ‘중간 단계의 조치(interim steps)’를 논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통상 ‘중간(잠정) 조치’는 완전한 비핵화 이전에 북한의 핵 동결 혹은 감축에 상응해 대북 제재 완화 등 대가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고위 당국자가 처음 이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공식화해 주목 받았다.
반면 장호진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는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시절이던 지난 5월 KBS에 출연해 “미국 고위층 상당수가 중간 단계라는 건 없다고 확인했으니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는 중간 단계에서 스몰 딜이 이뤄진 뒤 북한의 핵 보유를 사실상 인정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한국 내에 존재한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국방부는 “북한의 비핵화라는 공동 목표를 견고히 견지하고 있다”면서 확대해석하지 말아 달라는 입장이다. 비핵화 의제는 직후로 예정된 한·미 외교·국방장관 2+2 회담(31일)에서 비중 있게 다뤄지는 만큼 SCM에선 북한 핵능력 고도화에 따른 대응 방안에 집중했다는 취지다.
그럼에도 양국 국방당국이 합의해 내는 공식 문서인 공동성명에서 비핵화가 빠진 건 상식적이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공동성명까지 나오는 제도화된 SCM은 2+2 못지않게 의미가 크다”며 “한·미 동맹에서 가장 중요한 핵억제와 비핵화가 SCM에서 빠졌다면 지금 한·미 동맹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가 무엇인지 반문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익명을 요구한 군 관계자는 “대북 대화를 강조하던 문재인 정부 시기 2018년 SCM 공동성명조차도 비핵화라는 단어를 세 차례나 넣고 한반도 평화의 목표만큼은 분명히 했다”며 “동맹의 목표가 훼손된다면 이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북한에 ‘나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대목이다. 북한은 지난 28일 유엔총회 제1위원회(국축·국제안보 담당) 회의에서도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개념은 이제 이론적으로도 실질적으로도 물리적으로도 소멸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김 장관은 비군사적 도발에 가까운 북한의 대남 오물·쓰레기 풍선 살포에는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그는 이날 SCM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 풍선 도발이 지금 거의 선을 넘어가고 있다”며 “그래서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행 ‘낙하 후 수거’ 방식 외에 물리적 타격 등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미는 이번 SCM 공동성명에서도 “지속된 '오물·쓰레기 풍선' 살포 등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들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는 구절을 담았다.
워싱턴=이근평 기자 lee.keunpy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난 머리만 대면 잠들어" 치매 부르는 엄청난 착각 | 중앙일보
- "5초만 만져보자, XXX"…KTX 여승무원·여승객 울린 '막말 노인' | 중앙일보
- "돈 빌릴 땐 오전엔 가지 마라"…대출의 신이 픽한 은행 2곳 | 중앙일보
- 11세 소녀 죽은척해 살았다…미 대저택 '일가족 살인 사건' 전말 | 중앙일보
- '폭풍군단' 탈북민 "살인병기 양성소…귀순 심리전 통할 것" | 중앙일보
- 무인 사진관 부스서 성관계한 커플…충격받은 업주 "가게 접겠다" | 중앙일보
- 퇴직금·전세금 다 날렸다…죽을 때까지 준다는 '평생연금' 정체 | 중앙일보
- 지드래곤 "반평생 화려하게 살았다"…'유퀴즈' 상금 기부한 곳 보니 | 중앙일보
- "나라 망신"…태국서 음란행위 생중계 한 20대 유튜버 결국 | 중앙일보
- 코로나도 제쳤다…작년에만 125만명 목숨 앗아간 '이 병'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