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何必改作(하필개작)
2024. 10. 31. 00:37
노나라 사람이 ‘장부(長府)’라는 창고를 짓자, 공자의 제자 민자건이 “옛것을 수리하여 사용하면 될 걸, 기필코 새로 지어야 한단 말인가(何必改作)?”라고 말했다. ‘改’는 흔히 ‘고칠 개’라고 훈독하지만 여기에서 ‘개작(改作)’은 ‘고쳐 짓는다’는 뜻이 아니라, ‘새로 짓는다’는 뜻이다. 민자건의 말을 전해 들은 공자는 “민자건, 이 사람은 차라리 말을 안 할지언정, 했다 하면 반드시 들어맞는 말을 하곤 한다”며 칭찬했다.
요즈음 우리는 뜯어내 버리는 게 너무 많다. 옷이며 신발이며 가재도구며 집이며…. 절실한 필요에 의해 새로 사고 새로 짓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 멀쩡한 데도 단지 유행이 지났다는 이유만으로 내다 버리고 뜯어내고선 또 사고 새로 짓는 경우가 참 많다. 그게 다 지구 자원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이어진다는 생각을 하면 ‘인류는 벌을 받을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그럼에도 심지어는 ‘소비가 미덕’이라며 자꾸 사고 버리고 또 짓는다. ‘새로움’과 ‘발전’이라는 이름의 호랑이 등에 탄 ‘기호상인(騎虎上人, 騎:탈 기)’이 되었다. 만족을 모르는 채 더 편리한 새것을 탐내느라 호랑이 등에 얹혀 불안에 떨며 내달리고 있는 우리네 삶이 끝 가는 곳은 어디일까? ‘하필개작’이리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중앙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난 머리만 대면 잠들어" 치매 부르는 엄청난 착각 | 중앙일보
- "5초만 만져보자, XXX"…KTX 여승무원·여승객 울린 '막말 노인' | 중앙일보
- 100번 부르거나 ‘출장 서비스’…검찰이 쥔 ‘선택적 소환’ 특권 | 중앙일보
- 코로나도 제쳤다…작년에만 125만명 목숨 앗아간 '이 병' | 중앙일보
- 11세 소녀 죽은척해 살았다…미 대저택 '일가족 살인 사건' 전말 | 중앙일보
- "이정도면 사기"…홈쇼핑서 때처럼 밀린 '발 각질' 황당 정체 | 중앙일보
- '사생활 논란' 트리플스타…서울시 "행사 출연 예정대로" 왜 | 중앙일보
- 압구정 아파트 화단 파헤치던 男…주민에 '묻드랍' 딱 걸렸다 | 중앙일보
- '생방 중 욕설' 안영미 사과…"벌거숭이 임금님 된 것 같다" | 중앙일보
- 고깃집 40인분 '노쇼' 정선군청, 논란되자 "최대한 보상할 것"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