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들에게 "괜찮아, 잠시 멈춰도 돼"라고 말해주세요
[김동근 기자]
한국 사회는 어린 시절부터 끝없이 달리게 만든다. 어쩌면 급속한 성장을 경험했던 어른들은 빠르게 달리는 것이 살아남는 유일한 방법이라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자신들의 아이들에게도 더 빨리 달려야 한다고 요구한다.
영화 <괜찮아, 앨리스>는 인천 강화군에 위치한 꿈틀리 인생학교의 사람들을 보여주며, 우리가 지금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질문을 던진다. 꿈틀리 인생학교는 2016년에 설립되었으며, 설립자는 오마이뉴스의 오연호 대표이다.
이 학교는 1년간 기숙 생활을 하면서 자신에 대해 고민하고, 자신만의 삶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현대 사회의 일반적인 교육과는 다르게, 이 학교에서는 '멈추기'를 권장한다. 그리고 아이들은 그 멈춤 속에서 진정한 자신 찾기를 시작한다.
▲ 영화 <괜찮아, 앨리스> 면 |
ⓒ 미디어나무㈜ |
일부 사람들은 이들을 낙오자'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영화는 묻는다. 지금의 한국 사회는 이들처럼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잠시 시간을 주어, 자기 삶을 돌아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가. 우리는 아이들이 잠시 멈추어 자신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은 단순히 교육 시스템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우리 사회가 아이들을 대하는 방식을 돌아보게 만든다.
▲ 영화 <괜찮아, 앨리스> 장면 |
ⓒ 미디어나무㈜ |
오연호 대표는 덴마크를 여러 차례 방문하며, 그곳에서 아이들이 더 많은 선택과 고민을 스스로 하도록 돕는 교육 과정을 보게 됐다고 한다. 그리고 이는 꿈틀리 인생학교라는 결실로 이어졌다. 그는 한국 사회에서 어린 학생들이 너무 일찍 경쟁에 내몰리며, 자신의 삶을 돌아볼 기회를 박탈당하는 현실을 안타깝게 생각했다.
영화에도 나오지만 현재의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가 마주한 경쟁 상황은 완전히 다르다. 과거의 부모들이 겪었던 경쟁이 '성장'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면, 지금의 아이들은 끊임없는 평가와 비교 속에서 자신을 증명해야 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 아이들에겐 잠시 멈추고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 절실히 필요했다. 꿈틀리 인생학교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설립된 공간이며, 오연호 대표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곳이다.
▲ 영화 <괜찮아, 앨리스> 장면 |
ⓒ 미디어나무㈜ |
이 메시지는 단순히 타인이 전하는 위로가 아니다. 꿈틀리 인생학교에서 아이들은 스스로에게 '괜찮아'라고 말한다. 이 말은 아이들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됐으며 영화는 이 과정을 아름답고 진솔하게 보여준다.
<괜찮아, 앨리스> 가 던지는 질문
중고등학교 시절은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이 중요한 시기에 공부만을 강조하며, 아이들이 자신을 돌아볼 여유를 주지 않는 것은 아이들을 병들게 할 뿐이다. 꿈틀리 인생학교와 같은 공간에서 잠시 멈추고,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꿈틀리 인생학교는 계속해서 운영되어야 한다
이 영화는 아이들이 스스로를 돌아보고, 자신만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한다. 또한 더 나은 사회로 가기 위한 고민을 던져준다. 우리 아이들에게 '괜찮아, 잠시 멈춰도 돼'라는 말해보면 어떨까. 그럴 때 우리는 조금 더 따뜻한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브런치와 개인 블로그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망가진 한국을 구하는 글...나는 왜 가디언에 그렇게 말했나
- "윤 대통령, 매정함 넘어 잔인" 대자보 나붙기 시작한 부산 대학가
- 이러다 12월에 김장하겠네... 저희 집만 그런가요?
- "동물 이하 취급에 폭력, 굶기까지"... 82년만에 차려진 제사상
- 브리질 학생이 첫 해외여행으로 한국을 선택한 이유
- "나라 엉망으로 만든 사람 이름 새겨진 훈장, 안 받겠다"
- [단독] 법원, 한양도성 배출가스 5등급 차량 단속 '제동'
- "땅바닥에 몸도장 찍으며" 자벌레처럼 장군봉 기어오른 까닭
- "국회 가로수에 묶인 보라색 목도리 보고 울컥"
- 나경원·오세훈 등, '윤·한' 모두 비판하며 소통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