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기업] [기고] 제5회 임업인의 날을 맞이하며

2024. 10. 29. 05: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고

최무열 한국임업진흥원 원장

“오늘 누군가가 그늘에 앉아 쉴 수 있는 이유는 오래전에 누군가가 나무를 심었기 때문이다.” 오마하의 현인이라 불리는 워런 버핏의 이 말처럼,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산림의 혜택은 임업인들의 노력과 산촌 정주 인구의 유지 때문이다. 산림은 매년 약 400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고, 생태계 보전과 맑은 물의 공급 등 다양한 공익적 가치를 제공한다. 산림의 공익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는 임업인들은 그들의 삶의 터전인 산촌에서 묵묵히 산을 가꾸고 산다.

이러한 산촌이 급격한 인구 유출과 이로 인한 지역 경제 침체로 인해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2019년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인구감소위험 지역과 법정 산촌(읍·면·리)을 겹쳐보면 약 84%가 산촌 지역에 해당한다. 산촌 지역소멸의 문제는 공간적 측면에서 임업의 지속가능성과 연계되고, 이는 곧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지구촌 현안에 닿는다. 산촌 소멸 대응과 나아가 산촌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수단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지원해야 하는 이유다.

급격히 소멸해 가는 우리의 산촌을 위해 다음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조건불리 지역인 산촌 내 인적 물적 인프라에 대한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산촌 주민들이 국공유림을 비롯한 각종 산촌 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주민들이 주체가 돼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자작나무 숲(국유림)의 사례가 숲과 지역사회가 상생하고 있는 좋은 예시가 되겠다.

다음으로 산촌의 생활 인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산촌 체험과 관광 산업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산촌을 찾는 고객의 관점에서 산촌 생태 관광이나 체험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프로그램 운영 역량을 키워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산림청에서 제도화한 숲경영체험림을 확대·발전시켜 산촌마다 적합한 모델림을 두는 것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단기적 정책 성과를 달성하는 데 급급하기보다 긴 호흡을 가지고 ‘새로운 청년 인구의 산촌 정착’이나 ‘아기의 울음소리가 들리는 산촌’과 같은 담대한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의 지속성을 담보해 줘야 한다.

오는 11월 1일, 제5회 임업인의 날을 맞이해 우리에게 쉴 그늘을 만들어 준 임업인의 노고가 널리 인식되고, 임업의 공간적 근간인 산촌의 활성화에도 많은 국민적 관심이 생기길 바란다.

최무열 한국임업진흥원 원장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