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답보상태’ 도심복합사업…LH, 공사비 올려 시공사 찾기 ‘재도전’

배수람 2024. 10. 22. 16: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H, ‘쌍문역 동측’ 사업참여자 2차 공모 진행
1차 대비 공사비 2.8% 소폭 인상…참여조건도 완화
건설업체 참여 유도할까…“여전히 리스크 남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 후보지 가운데 처음으로 시공사 선정 절차를 밟는 사업장이 등장했지만, 건설업체의 외면 속에 사업이 답보상태에 놓여 있다.ⓒ데일리안DB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 후보지 가운데 처음으로 시공사 선정 절차를 밟는 사업장이 등장했지만, 건설업체의 외면 속에 사업이 답보상태에 놓여 있다.

앞서 한 차례 고배를 마신 LH는 공사비를 인상하고 사업 참여 자격 등 일부 조건을 변경해 재공고를 냈다.

민간에서 추진하는 사업도 자잿값, 인건비 인상 등 비용 문제로 사업이 삐걱거리고 있어 2차 공모에선 시공사 선정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2일 업계 등에 따르면 LH는 최근 서울권 도심복합사업 후보지 가운데 가장 먼저 시공사 선정 절차에 돌입한 ‘쌍문역 동측’에 대한 복합사업참여자 2차 공모 공고를 냈다.

이 사업은 서울 도봉구 창동 663-3번지 일대를 용적률 498.58%를 적용해 최고 38층, 639가구 규모의 공공주택을 짓는 사업이다.

2차 공모 세부일정을 살펴보면 오는 24일부터 28일까지 사업신청확약서를 받고 다음 달 29일께 사업신청서류 접수를 실시한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발표는 12월로 예정돼 있다.

사업신청확약서 제출업체에 한해 사업신청서류 접수가 가능하며 확약서 제출 후 사업신청서류를 접수하지 않은 업체는 사업신청서류 제출일로부터 6개월간 도심복합사업 참가가 제한된다.

앞서 8월 쌍문역 동측을 비롯해 연신내역, 방학역 인근 등 3곳에 대한 시공사 선정 공모가 진행됐으나,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힌 업체가 없어 3곳 모두 유찰된 바 있다.

역세권 입지를 갖췄음에도 낮은 사업비와 까다로운 사업 참여 조건 등으로 업체들의 관심이 저조했다.

이에 LH는 입찰 내용을 일부 수정했다. 우선 2차 공모에선 공사비가 소폭 인상됐다. 전체 추정사업비는 4039억원으로 1차 공모 당시 3960억원 대비 2.0% 올랐다. 기타비용 등을 포함한 추정 공사비는 2548억원으로 종전보다 2.8% 상승했다.

사업 참여 자격조건도 완화했다. 1차 공모 당시 LH는 신용평가등급 기준 회사채 BBB+ 이상 또는 기업어음 A+ 이상의 사업자만 신청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2차 공모에선 신용평가등급 회사채 BBB- 이상 또는 기업어음 A3- 이상으로 문턱을 낮췄다.

LH 관계자는 “건설업체 간담회, 주민의견 수렴, 공사 난도 및 사업 특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업체들이 참여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수준으로 공사비를 재검토했다”고 설명했다.

쌍문역 동측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연신내역, 방학역 인근에 대한 2차 공모도 시행 예정이다. LH는 현재 연신내역 후보지에 대한 공사비 및 공모지침서 등을 검토 중이다. 이르면 이달 말 해당 후보지에 대한 2차 공모 공고를 낸단 계획이다.

업계에선 이들 선두 사업지에 대한 시공사 선정 절차가 어떻게 마무리되느냐 따라 향후 도심복합사업의 성패도 가능할 수 있을 거란 관측이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공모에 참여하더라도 사업을 따내려면 통과해야 할 관문이 너무 많다”며 “LH 심사를 받아 순위권에 들어야 하고, 순위권 업체들끼리 사업지 주민들의 투표를 거쳐서 뽑혀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역세권 입지를 갖추고 있지만 이미 설계도 나와 있고 사업성을 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LH와 주민들의 눈치를 모두 보면서 사업을 진행해야 할 텐데 부담이 적지 않을 것”이라며 “사업에 관심이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몸집이 작고 브랜드 인지도가 떨어지는 업체들은 어느 정도 리스크를 안고 뛰어들어야 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2021년 도입된 도심복합사업은 사업성이 낮아 민간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 주거지를 공공이 주도해 속도감 있게 개발하는 주택공급 모델이다. 3년 한시로 도입돼 지난 9월부로 사업이 일몰될 위기였으나, 최근 일몰기한이 2026년 12월 말까지 연장됐다.

전국적으로 53개 후보지, 8만8000가구 규모로 사업이 추진 중이며, 사업 승인이 완료된 곳은 9월 기준 4곳에 불과하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