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三復白圭(삼부백규)

2024. 10. 17. 00: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시를 모아 교육 교재로 삼기도 했다. 그게 바로 『시경』이다. ‘억(抑: 빈틈없음)’이라는 시에는 “백규지점, 상가마야, 사언지점 불가위야(白圭之玷, 尙可磨也, 斯言之玷 不可爲也, 玷: 티 점, 尙: 오히려 상, 磨: 갈 마)”라는 구절이 있다. “흰 옥으로 만든 홀(笏)에 있는 티는 갈아 없앨 수 있지만, 말의 티는 어찌할 수 없네”라는 뜻으로, 말조심할 것을 강조하는 구절이다. 제자 남용(南容)은 매일 이 구절을 세 번씩이나 반복해 외움으로써 스스로 말조심할 것을 다짐하곤 했다. 이에 공자는 남용을 신뢰하여 조카사위로 삼았다.

復: 다시(거듭) 부, 圭: 홀(笏: 제후를 봉할 때 주던 신표) 규. 『시경』 ‘억(抑)’편 ‘백규’ 구절을 하루 세 번씩 반복하여 읽으니. 36x69㎝.

죄인에게 먹였던 사약의 주원료인 비상(砒礵)은 비소가 주성분인 독약이다. 중국 강서성 신주(信州)에서 생산되므로 ‘신석(信石)’이라고도 불렀다. 그런데 ‘信(믿을 신)’은 ‘亻 (人)+言’으로 이루어졌으므로 ‘信石’을 ‘인언석(人言石)’이라고도 불렀다. 급기야 ‘인언(人言)’은 독약 ‘비상’의 별칭이 되었다. 당연히 ‘인언’ 즉 ‘사람의 말’이 비상보다 더 독한 독약이 될 수 있다는 뜻을 내포하게 되었다. 실지로 유언비어와 오보 등 말로써 사람을 죽이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사람의 말이 독약이다. 남용처럼 ‘백규(白圭)’ 구절을 세 번 이상 외우는 수련을 하자.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