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오스크 못 써요" 시각장애인의 한숨…유럽에선 '없는 일'

채혜선 2024. 10. 14. 05: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기 장애청년드림팀' 채유성 팀원이 지난 8월 튀르키예 이스탄불 국제공항에서 공항 직원과 소통하고 있다. 공항 측은 장애인 등을 위한 별도의 안내 데스크를 따로 마련해 실시간 원격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시각장애인인 채유성씨는 "한국 공항에선 이런 서비스를 경험해본 적 없다.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채혜선 기자

"키오스크(무인 주문·결제 기기)를 쓰려면 점원을 불러야 하는 상황이 꼭 생기니까 그럴 바엔 처음부터 도움을 요청해 주문하고 말죠."

시각장애인 채유성(20)씨는 요즘 흔해진 키오스크를 아예 쓰지 않는다. 장애인에게 친절한 기기가 아니라서다. 26개 업종 키오스크 1002개 중 648개(64.7%)에 음성·점자표시 등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 기능이 없었다는 국가인권위원회 조사 결과(2022년)도 있다. 채씨는 "아무리 좋은 기술·기기라도 접근이 어려운 사람이 있다는 걸 사회가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은 이런 이유로 스마트폰·키오스크·전자책과 같은 전자 기기를 일종의 '장벽(Barrier)'으로 규정한다. 2019년 EU 이사회는 "유럽 장애인 8000만 명이 일상적인 제품·서비스에서 장벽의 영향을 받는다"며 '유럽 접근성 법(EAA)'을 승인했다. 모든 사람이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한국과 다른 접근 방식은 현장에서 잘 적용되고 있을까. 신한금융그룹이 후원하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장애청년 해외연수 프로그램 ‘장애청년드림팀 6대륙에 도전하다’를 지난 8월 3~12일 동행했다. 유럽 접근성 법처럼 디지털 포용을 실현하려는 시도를 벨기에·프랑스·스위스에서 들여다봤다.

장애청년드림팀이 지난 8월 9일(현지시간) 프랑스 리옹 제3대학교에서 접근성 애플리케이션(앱)인 '이벨리티(Evelity)'를 사용해보고 있다. 해당 앱은 햅틱(진동) 기능 등으로 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혼자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채혜선 기자

내년 6월 이 법이 시행되면 접근성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모든 제품·서비스에 대한 유럽 27개국 내 생산·유통이 금지된다.

인마쿨라다 포레로 EU 집행위원회 수석 전문가는 "법에 따른 접근성 개선이 없다면 장애인이 기업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성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사무총장은 "키오스크·PC·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고려하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지원도 반드시 포함하는 식으로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8월 6일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장애인포럼(EDF) 사무실에서 수석총괄 알레한드로 몰레도(왼쪽)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장애청년드림팀 채유성(가운데) 팀원과 남레베까(오른쪽) 팀원. 몰레도는 시각장애인이다. 채혜선 기자

유럽 접근성 법 제정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 건 유럽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인 '유럽장애인포럼(EDF)'이다. 이들은 2009년부터 "ATM 등 비장애인이 당연하게 생각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장애인도 손쉽게 누려야 한다"며 EU를 압박했다. EDF 수석 총괄인 알레한드로 몰레도는 "예를 들어 ATM 사용이 쉽더라도 그게 있는 건물에 장애인이 갈 수 없다면 디지털 접근성은 의미가 없다"며 "향후 물리적 접근성까지 포괄적으로 연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한국엔 디지털 분야에 대한 장애 포괄적 접근법, 그리고 이를 챙길 정책 컨트롤타워가 아직 없는 편이다. 장애인의 디지털 기기 역량과 활용 수준도 각각 일반 국민 대비 75.2%, 82.0%(2022년 기준)에 그친다.

국제 사회는 정보기술(IT) 강국인 한국의 역할이 디지털 접근성에서 커지길 기대하고 있다. 마리야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주한 EU 대표부 대사는 "삼성·LG 같은 한국 기업들은 유럽 접근성 법을 통해 유럽 시장 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엔 산하 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록사나 위드머-일리에스쿠 수석 프로그램 책임자는 "빠른 기술 발전을 이루고 있는 한국은 ITU와 협력해 디지털 접근성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했다.

지난 8월 5일 EDF 사무실에서 수석 총괄 알레한드로 몰레도와 사진을 찍은 장애청년드림팀 기획연수팀 '바다(BADA)'. 바다(BADA)는 '모두를 위한 장벽 없는 디지털 접근성(Barrier-free Accessibility to Digital for All)'을 의미한다. 채혜선 기자

브뤼셀·제네바=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