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에게 친절하기… 왜 그렇게 어려울까요?
심리치료를 시작할 때, 자기에게 중요한 사람이 누구인지 적어 보기를 환자에게 권하곤 합니다. 삶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이나 대상을 떠올리고 발견하는 작업이 곧 치료가 나아갈 방향, 그리고 자신의 삶을 꾸려가고자 하는 방향을 알려주기 때문이죠. 진료실을 찾아온 사람의 대답은 저마다 다양하지만, 꽤 많은 사람이 그 목록에 자기 자신을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그 사실을 짚고 나면 진료실에는 짧은 정적이 감돕니다. 회한 섞인 표정이 스쳐 가기도 하고, 눈물을 글썽이시기도 하고, "그렇게 적는 사람이 실제로 있느냐"고 반문하기도합니다. 네, 가끔 목록에 자기 자신을 곧잘 올리는 분들도 있지만, 이들도 이어지는 질문에서는 멈칫하곤 합니다. "매일 자기 자신에게 다가가는 삶을 살고 계신가요?". 고개를 가로젓는 모습에 저는 이렇게 답하곤 하지요. "다행이네요, 저만 그런 게 아니군요" 서로에게서 가볍게 새어 나온 웃음이 사라지고 나면 의문 한 가지가 남습니다. 우리는 왜 이렇게 자신에게 친절해지기 어려운 걸까?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로는 자신에게 친절한 것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뿌리 깊은 통념 때문입니다. 자신에게 친절해지면 이기적인 사람이 될 뿐 아니라, 나태하게 살다가 무엇도 이뤄내지 못할 거라는 생각이 우리 대부분에게 단단히 심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수많은 연구 결과로 이 통념은 뒤집힌 지 오랩니다. 자신에게 친절한 사람이 타인에게도 친절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에 기꺼이 자신의 단점을 인정하고 더 많이 도전합니다. 게다가 실제로 더 많은 성취를 해내기도 하지요. 이 연구 결과는 자신을 채찍질하며 치열하게 살다가 번아웃이 온 환자들에게 '입에는 쓰지만 마음엔 좋은 약'으로 쓰일 때가 있습니다. 이제는 그 채찍을 내려놓아도 괜찮다는 의미이니까요.
두 번째 이유는 자신을 친절하게 대하고 싶어도 그 방법을 제대로 배울 기회가 드물었기 때문입니다. 건강하고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자신을 사랑할 방법을 알려줄 사람도, 배울 곳도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지요. 반대로 우리 자신의 부족한 면을 부각시키고, 무엇이 '문제'인지 지적하고 깎아내리는 순간들은 넘쳐나기에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들은 나이를 먹을수록 차곡차곡 쌓여만 갑니다. 게다가 우리 뇌는 생존을 위해 부정적인 것들을 훨씬 더 잘 담아두기에, 누군가 우리의 좋은 점을 이야기할 때도 내면에서는 또 다른 단점거리들을 늘어놓으며 반박하지요. "결국 나를 초 치는 건 나 자신"이라고 털어놓던 한 청소년의 말이 문득 떠오르네요.
그렇다면 우리가 힘들고 괴로울 때는 자신에게 조금이나마 친절해질까요? 안타깝게도 그렇지 않습니다. 기다렸다는 듯 내면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더 거세어입니다. 그 순간 괴롭고 힘든 것은 분명 나 자신인데도, 우리는 나를 힘들게 한 그 누구의 탓보다 '내 탓'을 하느라 더 괴로워집니다. 힘들어 하는 이유가 자신이 무능하거나 나약한 탓이라며 악순환에 빠지게 되는 것이죠. 그러니 수많은 정신건강 문제의 표면 아래에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믿음이 자리하고 있는 것은 놀랄 일도 아닙니다. 도대체 어떻게 해야 이러한 자기비난의 악순환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우리 자신에게 친절해질 수 있을까요?
현대 정신의학에서는 자기비난의 해독제로 '자기자비(연민)'를 제안합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자기자비란 힘겨운 그 순간 우리 자신이 괴롭다는 것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고, 모양새는 각기 다를지라도 그 괴로움이 인간으로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겪어내고 있는 것임을 인식하며, 친절함을 담아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스스로 주고자 하는 실천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대척점에 있는 상태, 즉 자신의 괴로움을 부정하고 억누르거나 자신의 전부인 양 여기는 태도, 다른 이들과 연결되지 않고 고립된 생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주는 대신 자신을 비난하거나 건강하지 못한 방식으로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모습들을 떠올려 보면 자기자비가 무엇인지 더 잘 와닿을 겁니다. 필요한 순간에 부드럽고 따뜻하게 자신을 위로하고 돌보는 것도, 동기를 부여하고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두렵지만 용기를 내는 것도 모두 자기자비라 할 수 있지요. 열심히 살아가다 넘어졌을 때 아픈 무릎을 어루만지며 잠시 쉬는 여유도, 눈물 콧물 쓱 닦아내고 훌쩍이면서도 다시 걸어가게 하는 배짱도 자기자비로부터 비롯합니다.
나의 '쓸모'를 애써 보여주지 않아도 언제든 내 곁에 있어줄 존재를 우리는 늘 바라왔기에, 치료 작업에서 자기자비를 만나는 순간은 참 특별합니다. 자기비난이라는 엄청나게 크고 시끄러운 목소리 때문에 듣지 못했던 내면의 진실하고 자비로운 목소리에 처음 귀 기울일 때, 낯설어 하면서도 반짝이던 눈빛들과 깊은 안도감에 흘리던 눈물들을 기억합니다. 때로는 자기비난의 목소리가 다시 귀를 따갑게 하기도 하지만, 자기자비를 만난 이후에는 적어도 그 날이 선 목소리에 휘둘리는 일이 줄어든다고 입을 모아 전해주시기도 했지요. 다행스럽게도 국내에도 자기자비를 다룬 서적과 프로그램들이 하나 둘 소개되고 있어, 앞으로는 더 많은 이들이 자기자비라는 내면의 좋은 친구를 만나볼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그리고 만약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받고 있거나 염두에 두고 계신다면, 특히 스스로를 채찍질하고 비난하며 애써 끌고가는 하루에 지쳐 있다면 치료자와 함께 자기자비를 만나는 시간을 계획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나이 지긋한 환자들께서 자기자비를 어릴 적에 알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고 아쉬워하시는 모습을 종종 봅니다. 하지만 관점을 살짝 바꾸어 본다면, 우리는 남은 인생 중 제일 어린 순간에 자기자비를 만나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어느 때 속상하고 힘든 순간이 찾아오거든 내가 힘들다는 것을 누구보다 먼저 이해해 주고, 지금 이 순간 나와 함께 어디선가 고군분투하고 있을 모든 존재와 잠시 마음으로 연결되어 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런 다음 진정으로 나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천천히 발견해 보세요. 온전히 나를 위한 시원한 물 한 모금, 긴 심호흡 한 번에서부터 내면의 친절하고 자비로운 목소리를 만날 가능성은 하나 둘 열릴 것입니다.
[본 자살 예방 캠페인은 보건복지부 및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대한정신건강재단·헬스조선이 함께합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외로운 사람, '이 병'으로 사망할 위험 높아
- 마음의 맷집 '회복탄력성'… 어떻게 키울까?
- 눈가 떨릴 때 마그네슘 보충하면, ‘이 효과’는 덤으로 본다
- “흔들리지마 하체야” 이윤지, 고난도 ‘이 동작’ 중… 어떤 효과 있나?
- “30년째 아침마다 남편과 ‘이것’ 한다”… 신애라, 연예계 대표 ‘잉꼬부부’ 비결?
- 영양사가 “절대 냉장고에 안 넣는다”고 밝힌 네 가지 음식, 뭘까?
- 크리스마스에 ‘와인’ 직접 담가볼까? [주방 속 과학]
- 운동 실컷 해놓고… ‘이 간식’ 먹으면 살찌는 지름길
- 1~3분기 의약품 매출 2조원 증가… 중소기업만 감소
- "'이 음료' 마시니 살겠다" 차정원… 자주 마시면 위험한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