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갈등'에 대안으로 떠오른 공공 배달앱…소비자는 "글쎄"

오삼권 2024. 10. 13. 0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달 앱과 입점 업체 간 배달 수수료 갈등이 길어지자 공공 배달 앱 등 대안 배달 플랫폼이 주목 받고 있다. 자영업자와 프랜차이즈 업계는 대안 플랫폼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소비자는 불편한 대안 앱 사용을 꺼리고 있다. 사진 뉴시스

“‘땡겨요’로 주문이 들어오면 말 그대로 눈물나게 반가워요. 그런데 아직도 공공 배달 앱을 모르는 사람이 많길래 만나는 사람마다 수수료 낮은 공공 앱을 써보라고 말하고 다녀요.”(서울 양천구 목동깨비시장 한식집 사장 강모(52)씨)

“첫 주문 혜택을 보고 공공 앱을 몇 번 사용했는데, 입점 업체가 적어서 불편했어요. 가격이 더 싼 것도 아니라서 결국 익숙한 배달 앱을 찾게 되더라고요.”(서울 동대문구 주민 유모(29)씨)

배달 앱과 입점 업체 간 수수료 갈등이 장기화하자 공공 배달 앱 등 대안 플랫폼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자영업자와 프랜차이즈 업계는 공공 앱과 자사 앱 활성화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들 앱이 배달의민족이나 쿠팡이츠·요기요보다 불편한 점이 많은 만큼 소비자들은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정부가 공공 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이 ‘세금 낭비’라고 비판받는 이유다.
일각에선 공공 배달 앱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지만 전문가들은 지속할 수 없는 정책이라고 지적한다. 사진은 서울의 한 대학가에 배달 라이더들이 이동하는 모습. 사진 뉴스1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상황을 고려해 배달앱을 활용한 비대면 외식 할인 지원을 우선 시행한다고 밝혔다. 1만원 환급 대상 배달 앱은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배달특급, 띵똥, 배달의명수, 일단시켜, 어디go, 배달올거제, 위메프오, 먹깨비, PAYCO, 딜리어스, 카카오톡주문하기 등 14개다. 2021.5.24/뉴스1


“수수료 낮은 플랫폼 활성화 기대”


배달 앱 갈등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자 소상공인들은 수수료가 저렴한 대안 앱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지난 11일 서울 강서구의 한 프랜차이즈 치킨집에서 만난 김모(30)씨는 “온종일 주문을 받아도 ‘노크’나 ‘땡겨요’ 같이 수수료가 낮은 앱 주문은 하루에 한 건 들어올까 말까 한다”라며 “정부가 나서서 공공 앱을 널리 홍보해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hy(옛 한국야쿠르트)가 운영하는 노크와 신한은행의 땡겨요는 중개 수수료가 각각 5.8%, 2%로 배달 앱 주요 3사의 수수료(9.7~9.8%)보다 낮다.
신한은행이 운영하는 공공 배달 앱 땡겨요. 땡겨요는 배달 3사(9.7~9.8%)보다 낮은 2%의 중개 수수료로 운영하고 있다. 신한은행 제공
프랜차이즈 업계는 자사 주문 앱 활성화에도 힘쓰고 있다. 자사 앱 주문 시 배달비 할인이나 포인트 적립 등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제너시스BBQ는 이달 31일까지 자사 앱으로 2만5000원 이상 주문하면 황금올리브치킨 반 마리를 증정한다. bhc치킨은 대표 메뉴 뿌링클을 자사 앱으로 주문하면 10년 전 가격인 1만7000원에 판매한다. 교촌치킨은 자사 앱으로 신메뉴 교촌옥수수 치킨 주문 시 추후 현금처럼 쓸 수 있는 4000포인트를 제공한다.
배달앱 점유율. 와이즈랩
하지만 각종 할인 프로모션에도 공공 앱이나 프랜차이즈 앱 사용자는 거대 배달 앱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배달 앱 시장 점유율은 배달의민족(59%), 쿠팡이츠(24%), 요기요(14%) 순이었다. 공공 앱 등 기타 배달 앱의 점유율은 3%에 불과했다. 한 프랜차이즈 치킨 업계 관계자는 “그나마 치킨은 각 회사별 앱이 활성화된 편인데도, 자사 앱 주문은 아무리 많아도 10% 정도”라고 했다.

“불편한 공공 앱, 안 써”


소비자는 대안 플랫폼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불편함을 꼽는다. 공공 앱은 입점 업체가 적어서 원하는 음식을 주문할 수 없고 사용자 환경(UI)이 불편하단 것이다. 서울 종로구에 사는 직장인 김모(29)씨는 “공공 앱도 써보고 프랜차이즈 자사 앱도 써봤지만 배달 기사 위치 추적이 안 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다”라며 “결국 원하는 음식을 주문하려면 모든 가게가 다 들어와 있는 기존 앱을 쓰게 된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정부가 나서서 공공 배달 앱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상갑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지난 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4년간 43억원을 투입한 끝에 광주의 공공 앱 점유율을 17.3%까지 올리고 47억원의 중개수수료 절감 효과를 냈다”라며 “공공 배달 앱 활성화를 위해선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이날 참고인으로 출석한 이상갑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공공 배달 앱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 뉴스1

이러한 주장에 대해 전문가들은 재정 투입을 통한 공공 앱 활성화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세금을 투입해 공공 앱을 지원하는 건 지속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배달을 하지 않는 자영업자는 혜택에서 배제돼 형평성 문제가 있다”라며 “배달 앱 간의 공정한 경쟁을 촉진하고 경쟁을 저해하는 행위를 규제하는 방식의 접근이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오삼권 기자 oh.samg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