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산책]작품 관람에서 '제목'이 갖는 의미…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이름의 기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양하게 창작된 제목의 시대별, 매체별 특징을 찾아보고, 작품 관람에서 제목의 역할을 살펴보는 독특한 전시가 관객을 찾아온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름의 기술'은 작품의 해석을 돕는 메신저로서 '제목'을 새롭게 인식할 기회"라며, "작품 관람을 보다 더 능동적이고 새롭게 경험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범·이상남 등 25명, 37점 공개
다양하게 창작된 제목의 시대별, 매체별 특징을 찾아보고, 작품 관람에서 제목의 역할을 살펴보는 독특한 전시가 관객을 찾아온다.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기획전 '이름의 기술'이 오는 11일부터 2025년 2월 23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에서 개최된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이번 전시에 대해 작품의 제목을 조명하는 기획이라고 설명한다.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1만여점 가운데 관람객이 난해하게 여길 만한 제목을 분류해 제목의 효용성을 질문하고, 창작의 영역에서 제목을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총 25명 작가의 작품 37점을 공개한다.
총 네 부분으로 구성된 전시는 기획 취지와 배경을 소개하는 '프롤로그-이름의 기술'을 시작으로, 1장에서는 '무제' 작품 16점을 선보인다. 2장은 기호화된 제목을 통해 작품과 제목의 의미망을 탐색하고, 마지막 3장 '문장-이것은 이름이 아니다'에서는 언어와 이미지의 동시대적 특징을 살펴본다.
전시 도입부인 ‘프롤로그-이름의 기술’에서는 미술관 소장품 1만1560점(24년 8월 기준) 가운데 무제·기호·문장형 작품을 분류한 자료를 소개하고, 미술관이 작품에 귀속되는 정보 중 이름(작가명, 작품명)을 어떻게 기술하는지에 대해 공유한다.
이번 전시의 가장 특징적인 공간인 '이름 게임'은 전시장 중앙에 조성된 참여형 프로그램이다. 각 장(무제, 기호, 문장)을 연결하고 관람객이 자유롭게 오가면서 게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참여자는 이름을 변경하고 싶은 작품을 선택한 다음 게임의 절차를 따라가면서 새로운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이름은 작품 옆에 부착된 디지털 명제표에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전시와 연계해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2층, 보이는 수장고에는 유산 민경갑의 작품 '얼 95-2'가 전시된다.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시도한 민경갑 화백은 한국화의 확장을 끊임없이 모색한 대표적 한국 화가다. 4폭으로 구성된 대형 작품은 '산울림 95-2'로 알려졌으나 소장품 정보의 조사연구를 통해 '얼 95-2'로 수정 등록됐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름의 기술'은 작품의 해석을 돕는 메신저로서 '제목'을 새롭게 인식할 기회"라며, "작품 관람을 보다 더 능동적이고 새롭게 경험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차박, 어디까지 해봤니?"…일본 편의점서 파는 '1박 3만원' 상품 - 아시아경제
- 속옷 맞다 vs 아니다…축구팬들 난리난 女 리포터 의상을 보니 - 아시아경제
- 이시영 "전 남편 동의없이 시험관"…둘째 임신 발표에 '갑론을박' - 아시아경제
- "25만원에 서울서 여름휴가 즐긴다"…공개 3분 만에 예약마감된 '숲캉스' 숙소 - 아시아경제
- 짜장면 1000원, 탕수육 5000원…"이 가격 실화" 난리난 중식당 - 아시아경제
- 만원 전철? 앉아 갈 수 있는 법칙 있다 - 아시아경제
- 화장실서 만지면 위험한 물건…"손 씻어도 소용없어" - 아시아경제
- "러브버그를 무료급식소처럼 이용하고 있더라"…목격담 확산에 "반갑다" - 아시아경제
- 네 마음속에도 있던 '은밀한 욕구'…'멋진 사람'이 되고 싶나요? - 아시아경제
- "40만원짜리 핸드폰이 어제부터 공짜…지금 안 바꾸면 손해"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