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肉雖多 不使勝食氣(육수다 불사승사기)

2024. 9. 30. 00: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고기를 많이 먹더라도 밥 기운을 이기게 하지는 않았다. 여기에서 ‘식(食)’은 ‘먹다’라는 동사가 아닌 ‘밥’이라는 명사로 쓰여 ‘밥 사’로 훈독한다. 공자는 채소와 육류의 조화로운 식사를 실천한 것이다.

최근 늘어난 육류 소비가 생태계에도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한다. 면적에 비해 많은 가축을 사육하다 보니 초원이 망가져서 이웃 나라까지 흙바람이 불다가 결국 흙비가 되어 오염 물질과 함께 땅으로 돌아온다. 연한 살코기를 얻기 위해 가둬 놓은 채 철분 공급을 제한하는 송아지 사육, 제대로 서 있을 공간도 없는 닭 사육…. 인류의 죄악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현장 같다. 잡아먹을 때 잡아먹더라도 사는 동안은 제대로 살게 해야 하는 게 인류로서 갖춰야 할 최소한의 양심이 아닐까? 축사에 갇혀 종일 지루하게 우두커니 서 있기만 하는 소의 외침이 들리는 것 같다. “저 힘 좀 쓰게 해주세요! 불평 안 할 테니 제발 밖에 나가 일 좀 하게 해주세요!”

雖:비록 수, 使:하여금 사, 勝:이길 승, 食:밥 사, 氣:기운 기. 비록 고기를 많이 먹더라도 밥 기운을 이기게 하지 않다. 30x67㎝.

자연 속에서 얻은 한 톨의 쌀, 한 점의 고기라도 낭비 없이 조화롭게 섭취하는 절제된 식생활이 인류와 자연을 공생하게 할 것이다. 고기 굽은 불판 앞에서 ‘육수다, 불사승사기’라는 공자님 말씀을 상기했으면 좋겠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