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제닉스 상장…청약은 쉬어가기 [마켓인사이트]
[한국경제TV 정원우 기자]
<앵커> 인사이트 브리핑입니다. 매주 금요일에는 IPO 소식들 짚어보고 있습니다. 다음주 수요예측 진행하는 기업들부터 살펴볼까요?
<캐스터> 우선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전문기업 셀비온과 인쇄회로기판 장비 업체 와이제이링크가 수요예측 이어가고요. 지구관측 위성 개발 기업 루미르도 수요예측 이어갑니다. 또, 오늘 수요예측에 돌입하는 희귀유전질환 진단 기업 쓰리빌리언도 다음주까지 수요예측 진행하고요. 월요일엔 전자 제품 제조 업체 에이치엔에스하이텍과 인공지능 비전 로봇 전문 기업 씨메스가 수요예측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앵커> 상장 일정도 짚어보겠습니다. 한동안 로봇 관련 기업 상장이 뜸했는데 다음주에는 앞서 언급한 인공지능 로봇 기업 씨메스가 '수요예측'을 진행하는데다, 로봇 관련 기업 '상장'도 예정돼 있습니다.
<캐스터> 네, 다음주엔 스마트팩토리 물류 로봇 전문 기업인 제닉스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합니다.
무인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공장 자동화에 필요한 솔루션도 제공하는 기업인데요. 수요예측에 이어 일반 청약에서도 경쟁률 896:1을 기록하며 준수한 성적 거뒀습니다. 상장 당일 유통가능물량은 29.51%로 집계됐고요. 공모가는 희망밴드를 초과한 4만원에 확정됐습니다. 첫날 주가 흐름 지켜보시죠.
<앵커> IPO 관련 이슈도 살펴보겠습니다. 9월 공모 일정을 잡았던 기업 중 상당수가 10월로 일정이 밀렸죠. 그러다보니 포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요?
<캐스터> 네, 이미 15곳 이상의 기업에 수요예측 일정이 잡혀 있는데요. 여기에 하반기 대어로 꼽히는 두 기업, 케이뱅크와 더본코리아도 10월 중 수요예측과 청약을 진행할 예정인 만큼 중소형 공모주들에 대한 관심도 하락과 유동성 분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요예측이 10월로 몰리게 된 건 금융감독원이 증권신고서 심사를 강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요. 실제로 금감원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로 인해 수요예측 일정을 10월로 연기한 기업은 전체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7곳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 한해서 살펴보자면, 주급 납입 능력만 있으면 되는 기관투자가들은 청약금을 내야 하는 개인투자자들에 비해 선별적으로 투자할 유인이 적은 만큼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평가가 지배적인데요.
게다가 케이뱅크와 관련해서는 IPO 시장 유동성을 좌우할 가능성이 낮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높은 공모가나 인터넷전문은행이라는 업종 특성상 투자 심리를 크게 자극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건데요. 실제로 살펴보면, 케이뱅크의 적용 PBR은 2.56배로, 피어그룹인 카카오뱅크의 1.62배보다 높아 기업가치 고평가 논란이 실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공모 규모가 유동성을 크게 흡수할 정도는 아니고 의무보유확약 물량이 많지 않아서 당일에 파는 경우가 부지기수일 터라 이후 다른 종목에 영향을 줄 일은 없어보인다는 증언도 나왔는데요.
다만, 우려되는 점은 개인투자자들의 주목도입니다. 최근 들어서는 흑백요리사로 백종원 대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며 더본코리아에 대한 관심이 함께 높아지는 것처럼요. 케이뱅크나 더본코리아쪽에서 이슈가 계속 발생하는 경우, 중소형주는 소외될 수 있다는 건데요. 특히 개인투자자들의 경우 자금이 한정적인 만큼 청약과 수요예측이 몰릴 때 자금이 분산될 수 있어 주가에도 불가피하게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시장 상황까지 잘 고려해서, 10월 공모주 전략은 더 밀도 높게 짜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다음 소식도 확인해볼까요. 금융당국이 규정을 개정하면서 주관 증권사가 중개수수료를 받을 수 있게됐는데, 당초 실효성이 없을 것이란 관측도 있었는데, 최근 분위기는 어떤가요?
<캐스터> 네, 기업공개 절차가 중단되더라도 주관 증권사가 수수료를 일부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간수수료'가 업계에 정착하고 있습니다. 당초 업계에서는 발행사와 관계가 나빠질 수 있는 만큼 수수료 도입에 소극적지만요. 최근 들어 주관사들에서 다 함께 중간수수료를 시작하자는 합의가 생기면서 분위기가 반전된 겁니다.
8월 신규 계약부터 중간수수료를 적용하기 시작해 아직까지 대외적으로 알려진 사례는 없지만요.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IPO 진행 단계별로 천만 원부터 수천만 원까지 취소수수료를 책정했고요. 삼성증권 등 일부 증권사에서는 최대 억대로 수수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PO 성공 수수료의 경우 공모금액의 1~3% 등 비율로 따져 받지만, 중간수수료는 아예 금액을 정해놓는 정액제로 진행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인데요. 상장 적격성이 낮은 회사에 대해 무리하게 상장을 추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요.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우려의 핵심은 한마디로 책임감이 떨어질 수 있다는 건데요. 상장에 실패하면 발행사만 손해를 보게 되는 만큼 업계가 위축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이와 관련해 업계에서는 현재로선 수수료에 대한 기준이 없는 만큼,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요. 금융당국에서는 자율성을 보장한다는 취지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은 만큼, 관련해서는 신중한 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인사이트브리핑, 심수현 캐스터와 함께했습니다. [심수현 캐스터]
※ 전체 방송 내용은 마켓인사이트 홈페이지 또는 유튜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원우기자 bkjun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