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연속 ‘한계기업’ 16.4%…정상기업 매출·이자율에도 악영향
‘번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 상태로 3년을 버틴 한계기업 비중이 지난해 말 16%를 넘어섰다. 한계기업이 급증한 업종에선 매출이 줄고, 이자율이 뛰는 ‘부정적인 외부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한국은행은 경고했다.
26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외부감사를 받는 전체 기업(2만8946곳) 가운데 16.4%(4761곳)가 한계기업으로 나타났다. 1년 전(15.5%)보다 0.9%포인트 증가했다. 기업의 전체 빚 가운데 한계기업의 차입금 비중은 1년 사이 17%에서 26%로 늘었다. 한국은행은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을 한계기업으로 정의한다. 돈을 벌어도 이자를 갚지 못하는 상태가 3년간 이어진 이른바 좀비기업들이다.
업종별로는 숙박ㆍ음식(59%), 운수(49.2%), 전기가스(46.1%), 부동산(43.8%) 등 업종에서 한계기업의 차입금 비중이 높았다. 이와 달리 전기전자(11.3%), 석유화학(4.1%), 항공(0.2%) 업종은 상대적으로 채무상환능력이 높았다.
한계기업이 늘면 금융권 재정 건전성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예금취급기관의 한계기업 신용공여(대출과 회사채 등)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은행권이 125조3000억원으로 전체 차입금의 88%를 차지한다. 상호금융(13조1000억원), 저축은행(3조900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전체 한계기업 신용 공여액 중 저축은행 등 비은행업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1.9%로 2020년(7.3%)과 비교하면 눈에 띄게 늘었다.
한계기업 상당수는 ‘빚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동안 빚내서 빚을 갚다 보니 이미 대출 원금과 이자가 크게 불어나 있어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차입금 증가율은 한계기업 진입 2년 전부터 정상기업 대비 8.2%포인트 높았고, 한계기업 진입 2년 후엔 정상 기업보다 평균 0.95%포인트 높은 이자율을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문제는 부실기업이 많아지면 정상기업의 영업 환경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한계기업이 금융지원 등으로 장기간 버틸수록 정상기업은 신규 연구개발 투자나 자금조달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한국은행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업종 내 한계기업 비중이 10%포인트 상승할 경우 정상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2.04%포인트 하락했다. 또 정상기업의 평균 차입 이자율도 0.1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 내 한계기업이 늘면 금융기관은 해당 업종 전반의 신용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보고, 대출 문턱을 높이기 때문이다.
이런 부정적 외부효과를 고려해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과 함께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취약업종의 구조개선 노력도 뒷받침돼야 한다는 게 한국은행의 주장이다.
염지현 기자 yjh@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순자는 의대도 때려쳤다…전두환 '처가살이 8년' 이유 | 중앙일보
- 남편이 준 약물 취해 50명에 성폭행…그녀, 페미 영웅 되다 | 중앙일보
- 성매매 건물로 1000억 벌었다? '재계 30위' 강남사옥 비밀 | 중앙일보
- "살려줘요" 6세 비명에 달려온 원숭이…성폭행범 때려 쫓아냈다 | 중앙일보
- "심각합니다 정말" 김신영도 당했다…유명인들 분노 부른 이놈 | 중앙일보
- 문세윤 "치어리더와 결혼, 유독 김태균 심하게 반대했다" | 중앙일보
- 일어나 악수 건넨 '축구협회 저격수' 박주호, 홍명보 반응 봤더니 | 중앙일보
- "배민 꼭 망하게 해주세요"…폐업 자영업자의 절규 [창간기획, 자영업 리포트] | 중앙일보
- [단독] 문 "딸에게 준 건 생활비 아닌 임대료…태국행 안 도왔다" | 중앙일보
- "성인인데"…야간통금에 점호까지 받는 필리핀 가사관리사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