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배제' 미 생물보안법…"K-바이오에 기회 될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하원이 중국 바이오 기업 제재를 목적으로 한 '생물보안법'을 통과시키면서 국내 바이오 기업들에 새로운 기회가 열릴 전망이다.
미국 생물보안법이란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기업을 '적대적 해외 바이오 기업'으로 규정하고 미국 시장 진출을 제한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밖에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4'에 참가한 유한양행과 HLB, 알테오젠 등 국내 주요 바이오테크 기업들의 연구 성과 발표도 주목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조연 기자]
미국 하원이 중국 바이오 기업 제재를 목적으로 한 '생물보안법'을 통과시키면서 국내 바이오 기업들에 새로운 기회가 열릴 전망이다. 수혜 기업들을 찾기 위한 투자자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미국 생물보안법이란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기업을 '적대적 해외 바이오 기업'으로 규정하고 미국 시장 진출을 제한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시장은 상위 5개 업체가 약 56%를 차지하는 과점 구조로, 3위인 중국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최근 북미 매출 비중을 47%까지 끌어올렸으나 이번 법안으로 타격이 예상된다.
한편 중국의 악재는 국내 CDMO 기업에는 호재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공격적인 증설을 통해 2032년 생물보안법 발효 시점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CAPA)에서 글로벌 1위를 차지할 전망이다. CAPA 확장은 바이오시밀러와 같은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대량 생산에 필수적이며,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요소다. 특히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28년까지 특허가 만료되는 블록버스터 의약품들이 많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달 유한양행이 개발한 폐암 치료제 '렉라자'가 미국 FDA 승인을 받는 등 국내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이어지고 있다. 렉라자는 존슨앤드존슨(J&J)의 '리브리반트'와 병용 요법으로 승인받아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성인 환자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될 예정이다. 비소세포폐암은 폐암 중 85%를 차지하며, 암 사망 원인 1위다. 최근 키트루다와 같은 블록버스터 치료제들이 등장하며 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시장에서는 K-바이오 시장으로 투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바이오 산업은 높은 리스크와 큰 수익 잠재력을 가진 전형적인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산업인 만큼 주의가 ETF를 활용한 분산 투자가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조언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헬스케어 ETF'는 다양한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에 투자하며, 분산 투자의 장점을 극대화한다. 또 'TIGER 바이오TOP10 ETF'는 지난 13일 정기변경을 거쳐 삼성바이오로직스(25%), 셀트리온(24%), 알테오젠(25%) 등 대형 바이오 기업을 모두 편입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은 미국의 약가 인하 정책의 주요 수혜 기업으로 꼽힌다. 약가 인하로 고가의 오리지널 의약품 대신 가격 경쟁력을 가진 바이오시밀러의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2028년까지 특허가 만료되는 블록버스터 의약품들이 많아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확장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밖에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4'에 참가한 유한양행과 HLB, 알테오젠 등 국내 주요 바이오테크 기업들의 연구 성과 발표도 주목된다.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기술이전 및 협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알테오젠은 올해 2월 머크와의 피하주사 제형 변경 기술 독점 계약 이후 추가적인 기술이전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 ETF'는 알테오젠, HLB 등 기술이전 기대주들을 50% 이상 편입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금리 인하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국내 바이오 산업이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고 있고,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성장과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으로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며 "바이오 산업 여러 유망 기업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바이오 ETF가 투자자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조연기자 ycho@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