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선물처럼 수리부엉이 부부 '팔이'와 '현이'가 돌아왔어요!
[정수근 기자]
▲ 팔현습지의 수호신 수리부엉이 부부 중 암컷 '현이'의 모습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 팔현습지 수호신 수리부엉이 부부 중 수컷 '팔이'가 우우 ~~ 하며 울고 있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팔현습지 수호신 수리부엉이 부부의 5개월 만의 귀가
'팔현습지의 친구들' 중 한 명인 필자는 그 귀한 존재인 그들에게 이름까지 직접 지어서 불러주었습니다. 팔현습지의 팔현을 따서 '팔이'(수컷)와 '현이'(암컷)라는 이름을 각각 지어 불러왔고, 그 이름은 지금 널리 통용되어 지금은 정말 이들의 이름이 되었습니다. 녀석들이 지난 5월경부터 보이지 않았으니 거의 5개월 만에 이들이 그들의 집으로 돌아온 것입니다.
▲ 팔현습지 하식애에서 그것도 나뭇가지 뒤에 숨어 잠을 자고 있던 수리부엉이 '현이'를 어럽게 찾았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 보호색으로 위장하고 있는 수리부엉이 '팔이'의 모습도 어렵게 어렵게 찾았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어렵게 녀석들이 앉아 쉬고 있는 모습을 직접 확인하고 카메라에 담을 수 있었습니다. 카메라에 담을 때도 어찌나 조심스러웠던지요. 시각과 청각이 특히 발달한 수리부엉이는 그 앞에 얼쩡거리는 사물이나 소리 때문에 그들의 낮시간 잠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야행성인 그들은 낮에는 이렇게 그들의 은신처에서 잠을 자고 밤이 되면 본격적인 사냥을 하면서 그들이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우리 인간에게도 잠이 중요하듯 이들이 잠자는 시간은 보호받아야 마땅합니다. 이들 지난 5개월 이곳을 떠나게 된 것도 이곳의 소란스러움 때문일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의 부주의와 새 사진을 찍는 사진가들이 떼로 몰려온 그 소란스러움 등 때문에 이들은 이곳을 떠났고 거의 5개월 만에 다시 팔현습지에 나타난 것입니다. 그 5개월간 어디서 어떻게 지냈는지가 너무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 팔현습지 수호신 수리부엉이 '팔이' 팔현습지 수호신 수리부엉이 부부 중 수컷 '팔이'의 모습이다. 소리를 잘 들어보면 다른 곳에서 암컷 현이가 팔이를 부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5개월 만에 다시 보니 깃털이 조금 더 짙어지고 살도 약간 더 오른 듯해 어디서 굶으며 배고프게 지낸 것 같지는 않아 보여 너무 다행스럽습니다.
멸종위기종들의 숨은 서석처 팔현습지를 국가습지로
이제 팔현습지의 수호신들도 돌아왔으니 이곳이 국가습지로 지정돼야 하는 건 너무나 지당하고, 그것은 시간문제일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수리부엉이는 국가유산청이 보호하는 천연기념물이기도 하고, 환경부가 보호하는 멸종위기종(2급)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IUCN(세계자연보전연맹)이 '적색 리스트'로 지정해 보호하는 국제적 보호종이기도 합니다.
▲ 저 하식애 바로 앞에 8미터 높이의 교량형 보도교를 1킬로미터 가량 건설할 계획이다. 그것도 환경부가. 그렇게 되면 수리부엉이의 서식처는 완전히 교란된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만약 환경부 산하 낙동강유역환경청이 기어이 이 사업을 벌인다면 그것은 환경부이기를 스스로 포기선언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것은 큰 국민적 저항을 불러올 것이 불을 보듯 뻔합니다. 따라서 '팔현습지의 친구들'은 환경부발 엉터리 삽질을 반드시 막아내고 수리부엉이 부부를 비롯한 각종 야생동식물들의 집인 팔현습지를 지켜서 후대로 보전해나가겠다고 천명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 올 4월 팔현습지를 떠나기 직전에 담은 수리부엉이 암컷 현이의 모습.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묵언, 느린 발걸음, 작은 손짓만 허용됩니다. 자존의 시민사회 유럽인의 행동입니다. 소란, 바쁜 걸음이나 뛰는 행위, 큰 행동은 금물이고, 일몰 이후 출입은 금지해야 할 것입니다."
금호강 팔현습지에 수리부엉이 부부 팔이와 현이의 귀가라는 반가운 소식을 추석 선물로 드리면서 추석인사를 대신합니다.
▲ 팔현습지 중에서도 멸종위기종들의 숨은 서식처인 판현습지 하식애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덧붙이는 글 | 기자는 대구환경운동연합 활동가입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