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킹통장' 열풍, 인뱅 지고 지방·저축銀 주목[1mm금융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때 '매일 이자를 받는 수시입출금식통장'으로 인기몰이를 했던 인터넷전문은행의 파킹통장 상품이 상대적으로 낮아진 이자율로 매력을 잃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초기 열풍을 주도한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고객 확보에 성공한 상황이지만, 지방 ·중소형은행은 아직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저축은행의 경우 올해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경우 적극적으로 대출자산을 늘리기 위해선 수신이 필요하다는 점, 과거 고금리 예금상품의 만기가 연말 돌아오고 있다는 점이 파킹통장을 적극적으로 판매하는 원인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때 '매일 이자를 받는 수시입출금식통장'으로 인기몰이를 했던 인터넷전문은행의 파킹통장 상품이 상대적으로 낮아진 이자율로 매력을 잃고 있다. 반면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이후 영업 확대에 나서야 하는 저축은행, 고객 확보가 절실한 지방·중소형은행의 틈새 파킹통장 상품이 인기를 끄는 분위기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최근 대표 예금상품인 '생활통장'과 관련해 예치금 300만원 이하에 적용되는 금리를 2.0%에서 0.1%로 1.9%포인트나 낮췄다. 0.1%의 금리는 통상 일반 은행의 보통예금에나 적용될 법한 수준이다.
물론 이 상품의 금리가 인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파킹통장과 예금을 결합한 생활통장은 출시 당시엔 300만원 이하 금액에 대해 연 3.0%의 금리를 제공한 바 있다. 초기엔 월 평균 잔액을 300만원 이상 유지하면 쿠팡의 와우멤버십(당시 4990원), 네이버플러스 멤버십(4900원)을 환급(캐시백)해 짠테크족의 인기를 끌기도 했다.
파킹통장 열풍의 '원조' 격이라 할 수 있는 토스뱅크도 현재 파킹통장 금리는 한도 없이 연 1.8% 수준이다. 카카오뱅크도 파킹통장 상품인 세이프박스에 적용되는 금리는 2.0%(1억원 이하)다. 각기 상대적으로 높은 예치액까지 이자를 적용하나 이자율 자체는 낮은 편이다.
반면 지방은행과 중·소형은행, 저축은행의 파킹통장 상품은 상대적으로 높은 이율로 주목받고 있다. 지방은행 중에선 전북은행이 첫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씨드모아통장이 한도 없이 3개월간 최고 연 3.51%의 이자를 지급하고 있다. 기본이율 2.70%에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3개월 한도로 0.71%의 우대금리를 부여하는 식이다. 이는 인터넷전문은행 상품은 물론,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기예금 상품 평균 금리(3.35~3.40%)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외 SC제일은행의 제일EZ통장도 최고금리는 연 3.1%에 달한다.
저축은행권 역시 시장금리 하락에도 적극적으로 파킹통장 유치전에 나선 상태다. 한도가 각기 30만~50만원으로 적긴 하지만 OK저축은행의 OK토스플러스통장·짠테크통장은 각기 연 7, 8%의 금리를 제공한다. 에큐온저축은행도 5000만원 이하의 금액에 대해 최고 연 3.6%의 이율을 적용하고 있다. 다른 저축은행들도 최고 연 3.2~3.3% 수준의 파킹통장 상품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다.
이런 파킹통장 전략의 차이는 각 사가 처한 상황과 맞물려 있다는 게 금융권 설명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초기 열풍을 주도한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고객 확보에 성공한 상황이지만, 지방 ·중소형은행은 아직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저축은행의 경우 올해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경우 적극적으로 대출자산을 늘리기 위해선 수신이 필요하다는 점, 과거 고금리 예금상품의 만기가 연말 돌아오고 있다는 점이 파킹통장을 적극적으로 판매하는 원인으로 보인다"고 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승려들과 성관계 후 164억 뜯어내"…초대형 스캔들에 불교의 나라 발칵 - 아시아경제
- "하루 보낼 줄은 몰라, 무료에 경악"…일본인 유튜버, 서울서 놀란 까닭 - 아시아경제
- "운동장서 냄새난다더니"…초등학교서 코피·두통 잇달아 호소한 중국 - 아시아경제
- "폭우 땐 절대 장화 신지 마세요"…전문가 경고, 이유는? - 아시아경제
- "이제 그만 좀 사세요"…꾸준히 오르던 금, 갑자기 멈춘 이유 - 아시아경제
- 퇴마의식 해준다며 미성년 성폭행…검찰, 20대 무속인에 징역 7년 구형 - 아시아경제
- "하루 3차례나"…대만 대학여자축구선수들 '강제 채혈' 논란 - 아시아경제
- '더목란 국밥' 있으면 가져오라…이연복 셰프 믿고 먹었는데 '무슨 일' - 아시아경제
- '베트남 현지인 폭행' 韓 여성 결국 회사 잘렸다…사측 "피해자·베트남 국민께 사과" - 아시아경
- 치아 81개, 입 속에서 '6층집' 지었다…11세 소녀에 학계마저 '화들짝'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