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못 갚는 청년들”... 20대 신용불량자 3년 새 25% 증가 [국회 방청석]
연체자 10명 중 9명은 소액 연체
고물가·고금리 속 취업난 겹쳐
“거시적 청년정책 실행해야”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업권별 신용유의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원에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20대는 6만5887명(중복 인원 제외)을 기록했다. 2021년 말(5만2580명) 대비 25.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신용유의자가 54만8730명에서 59만2567명으로 8%가량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20대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신용유의자는 연체 기간이 정해진 기간(대출 만기 3개월 경과 또는 연체 6개월 경과 등)을 초과하면 신용정보원에 등록되며 신용카드 사용 정지와 대출 이용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금융 생활에 여러 불이익을 받는다. 은행권에서 받은 대출을 갚지 못해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경우는 3만3610명으로 전체의 절반 수준이다. 이어 저축은행(2만2356명), 여전사(1만6083명) 등 순이다.
청년 연체자 10명 중 9명은 수십만에서 수백만원을 갚지 못한 소액 연체자다. 신용평가회사(CB)에 단기 연체 정보가 등록된 20대는 지난 7월 말 기준 7만3379명(카드대금 연체 제외). 이중 연체 금액이 ‘1000만원 이하’인 경우는 6만4624명(88.1%)에 달했다. 금액이 소액인 점을 고려할 때 생활비나 주거비 등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이 상당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경기 둔화 여파에 취업난은 계속되고 있다.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2022년 11월 이후 2년 가까이 전년 대비 감소세다. 지난 7월 청년층 가운데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는 청년도 44만3000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7월 기준 역대 가장 큰 규모다.
이강일 의원은 “저성장이 지속되는 중에 20대 신규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청년들의 생계 어려움이 소액연체라는 결과로 드러났다”며 “청년층 소액 연체를 채무조정 등 금융으로 해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와 사회 정책 등 거시적 청년정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뜨는 상권 1위, 명동…돌아온 직장인에 ‘가디단’도 부활 - 매일경제
- [단독]투자 임박했다던 발란···“시장서 도는 얘기 주섬주섬 정리한 것” - 매일경제
- “학폭 사실무근”이라던 안세하…추가 폭로 줄줄이 - 매일경제
- 문다혜, 해명없이 “난 아버지에게 칼 겨누는 ‘말’”주장 - 매일경제
- 2024 상권 트렌드 ‘MORE’ - 매일경제
- 환자 조롱, 복귀의료진 ‘블랙리스트’까지... 한덕수 “안참겠다” - 매일경제
- 뉴진스가 밝힌 하이브 실체 “비인간적 회사...뭘 배우겠나” - 매일경제
- [속보] 김건희 디올백 사건 차기 총장 심우정 손으로 - 매일경제
- “오빠, 서울 안 가길 잘했지”...연일 신고가 경신하는 이곳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경제
- [속보]美 대선 토론...사회자 팩트체크에도 격분한 트럼프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