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테크 스타트업의 호소 “단기에 고수익 가능한 아이템에만 돈 몰려”

김민정 2024. 9. 12. 00: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혁신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한국 창업 생태계를 어떻게 평가할까. 중앙일보 연중기획 ‘혁신 창업의 길’에서 인터뷰한 딥테크 스타트업 대표 53명에게 물었다.

응답자 중 42.3%가 현시점 한국 창업 생태계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창업 당시 생태계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이 65.4%인 것과 비교하면 20%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딥테크 스타트업 특성상 단기적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인데 투자금 대부분이 초기에 몰려 있어 초·중기 단계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는 경우 많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한 인공지능(AI) 솔루션 스타트업 대표는 “미국, 유럽은 잠재력 있는 기업을 국가 차원에서 지원해 주나 한국은 후기로 갈수록 지원받기가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모빌리티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한 대표는 “벤처캐피털(VC)들의 평가 시스템이 미비하다 보니 모험 자본 역할을 제대로 못 하고 있다”며 “그 결과 (수익 실현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딥테크보다 단기간에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 아이템에 투자가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상황에 대해선 “정부 정책 방향은 대체로 긍정적(반도체 장비 스타트업 대표)”이라고 평가하는 쪽이 있는 반면 “규제 시스템이 바뀌지 않는 한 혁신적 창업은 어려울 것(바이오 스타트업 대표)”이란 비판적인 견해도 나오는 등 시각이 갈렸다.

오픈 이노베이션(기술과 아이디어 등을 외부로부터 들여오는 개방형 혁신모델)이라는 기조 아래 대기업과 스타트업 상생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다만 아직 딥테크 스타트업들은 대기업과 협업에 확신이 없는 상태다. ‘대기업의 역할’에 대해 25%만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그저 그렇다(42.3%)’와 ‘부정적(32.7%)’이라는 응답이 더 많았다.

김민정 기자 kim.minjeong6@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