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심위 "딥페이크 피해자 인권 보호…경찰·유관기관과 공조 강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최근 텔레그램과 구축한 협조체계를 기반으로 경찰·유관기관과의 공조 체계를 강화한다고 11일 밝혔다.
딥페이크 불법 성범죄와 관련해 방심위 심의와 경찰 수사가 상호 시너지를 내고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방심위는 "경찰 등 유관기관과의 공조 강화를 통해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피해자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성인권진흥원과 대응 협력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최근 텔레그램과 구축한 협조체계를 기반으로 경찰·유관기관과의 공조 체계를 강화한다고 11일 밝혔다.
딥페이크 불법 성범죄와 관련해 방심위 심의와 경찰 수사가 상호 시너지를 내고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관련 기사=텔레그램, 방심위 긴급삭제 요청 25건 삭제…사과의 뜻도 전해]
예를 들어 경찰의 원활한 수사를 돕기 위해 텔레그램과 소통한 채증 증거 등을 포함해 더욱 강화된 증거수집으로 협조하기로 했다.
나아가 경찰이 수사 중인 사건의 경우 해당 정보의 삭제를 넘어 실제 처벌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는 등 경찰청과의 공조시스템을 더욱 활성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와 업무협약으로 구축된 24시간 핫라인을 시작으로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등 유관기관들과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 삭제뿐만 아니라 피해자 중심 공동 대응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방심위는 "경찰 등 유관기관과의 공조 강화를 통해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피해자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성폭력·디지털성범죄·가정폭력·교제폭력·스토킹 등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여성긴급전화1366(국번없이 1366)에 전화하면 365일 24시간 상담 및 긴급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옷 맞다 vs 아니다…축구팬들 난리난 女 리포터 의상을 보니 - 아시아경제
- "차박, 어디까지 해봤니?"…일본 편의점서 파는 '1박 3만원' 상품 - 아시아경제
- 화장실서 만지면 위험한 물건…"손 씻어도 소용없어" - 아시아경제
- "이게 실수라고? 해명하라"...SRT 특실 간식박스에 '일장기' 펄럭이는 거북선이 - 아시아경제
- 짜장면 1000원, 탕수육 5000원…"이 가격 실화" 난리난 중식당 - 아시아경제
- 폭염에 '예산 부족' 초등학교 에어컨 중단…학부모 항의에 결국 - 아시아경제
- "이제 괜히 군만두 추가 안해도 되네"…'한그릇도 갑니다' 배민의 승부수 - 아시아경제
- "죄 없는 러브버그 학살 멈춰" 환경운동가의 읍소, 알고보니 - 아시아경제
- 검은 고양이 옷 입고 밤마다 '야옹'…주민들 놀래킨 英 남성 - 아시아경제
- "대장암 피하려면 먹지마"…하루 한 개만 먹어도 위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