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부 차관, 한국에 HBM 중국 수출통제 동참 요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상무부 차관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생산 중인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중국이 아닌 미국과 동맹에 공급해야 한다고 밝혔다.
앨런 에스테베스 상무부 산업안보차관은 10일(현지시간) 워싱턴 헤이애덤스호텔에서 열린 한·미 경제안보 콘퍼런스에서 "새로운 전장의 승패는 우리가 오늘 개발하는 기술이 좌우할 것"이라며 중국이 미국과 동맹을 위협하는 첨단기술을 확보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스테베스 차관은 또 대중국 수출통제에 한국의 참여를 주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상무부 차관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생산 중인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중국이 아닌 미국과 동맹에 공급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첨단기술 수출 통제에 한국의 적극적 참여를 주문했다.
앨런 에스테베스 상무부 산업안보차관은 10일(현지시간) 워싱턴 헤이애덤스호텔에서 열린 한·미 경제안보 콘퍼런스에서 “새로운 전장의 승패는 우리가 오늘 개발하는 기술이 좌우할 것”이라며 중국이 미국과 동맹을 위협하는 첨단기술을 확보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HBM과 관련 “세계에 HBM을 만드는 기업이 3개 있는데 그중 2개가 한국 기업”이라며 “그(HBM) 역량을 우리 자신과 우리 동맹의 필요를 위해 개발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HBM 시장은 한국의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미국의 마이크론이 장악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31일 마이크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중국에 HBM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대중국 반도체 추가 통제 조치를 단행할 수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에스테베스 차관은 또 대중국 수출통제에 한국의 참여를 주문했다. 그는 “이런 것들을 독자적인 방식으로 하면 국가 안보를 보호하지 못하고 다자적으로 해야 한다”며 “운이 좋게도 우리는 그렇게 하는 면에서 한국이라는 훌륭한 동맹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상무부가 지난 5일 양자 컴퓨팅, 첨단반도체 제조 장비, 3D 프린팅과 관련해 발표한 새로운 수출통제에도 한국의 동참을 희망했다. 그는 “다른 여러 유사 입장국이 이런 품목에 대한 새로운 국가 차원의 수출통제를 이미 발표했거나 시행했고, 우리는 더 많은 국가가 그러기를 예상한다”며 “우리는 한국도 곧 이런 통제를 시행한다고 발표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에스테베스 차관은 상무부가 추진하는 커넥티드 차량 규제에 대해서는 중국과 러시아 등 안보에 위협이 되는 국가에서 만든 부품과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차량의 미국 수입을 제한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행사에 참석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HBM 관련 취재진 질문에 “미국이 아직 아무것도 확정이 안 된 상태에서 우리가 뭐라고 얘기할 수가 없다”면서 “관련 당국 간에는 어쨌든 그런 이슈에 대해 미국은 우리한테 협의를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경제안보 조치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미국과의 수출통제와 기술안보 협력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성년자 사진 놓고 “선착순 10명”… 집단 성매매 알선
- 드러난 ‘안세영 폭로’ 실상… 횡령·배임 가능성도 포착
- 불타고 무너지고… 오물풍선 테러에 정부는 ‘속수무책’
- 日 쌀 부족 심각… 기어이 발생한 햅쌀 90㎏ 도난 사건
- ‘이상한’ 밴스 또 설화…“아이티인이 반려동물 납치해 먹는다”
- ‘손흥민 차력쇼’로 첫 승리…홍명보 “준비한대로 잘됐다”
- ‘佛 몽블랑 조난’ 한국인 남녀, 사흘만에 숨진채 발견
- 카메라 박힌 ‘가짜 바위’…日 온천女 1000명 찍었다
- “쌀 150포 배달 가요” 뚝…15년간 명절마다 ‘익명 기부’
- 전공의 떠난 자리, 암수술 줄었다… 응급실 절반 “겨우 버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