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독 안 퍼지게 철사로 꽁꽁? 그러다 더 큰일, 올바른 대처법
벌초·성묘를 비롯한 야외활동이 많은 추석 연휴의 ‘불청객’은 벌과 뱀이다. 무심코 나갔다가 벌에 쏘이거나 뱀에 물리는 사고가 적지 않다. 특히 올해는 유독 길고 강했던 폭염 영향으로 말벌 등 위험 요인이 더 커졌다. 소방청에 따르면 올해 벌에 쏘여 숨진 사람은 12명(3일 기준 누적치)으로, 최근 5년 새(2020~2024년) 가장 많은 규모다.
━
벌은 어떻게
연중 벌 쏘임 사고가 많은 시기는 바로 8~9월이다. 전체 사고의 약 30%가 이때 발생한다. 특히 추석이 낀 9월엔 가족·친지가 모여 벌초를 하다 보니 미처 벌집을 보지 못하고 건드렸다가 집중 공격을 받곤 한다.
벌에 쏘인 뒤 증상은 벌 종류와 쏘인 횟수, 개인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진다. 말벌이 아닌 일반 벌에 쏘였다면 통증·붓기·가려움 등이 발생하지만, 이러한 증상도 대부분 하루 이틀이면 사라진다.
결국 벌에 쏘였을 경우 가장 주의해야 하는 건 ‘알레르기 반응’이다. 벌독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일반 벌에 쏘여도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가 창백해지고 땀이 나거나 두드러기와 설사,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나는 식이다. 이러한 이상 반응을 ‘아나필락시스 쇼크’라고 하는데, 쇼크가 심하면 1시간 이내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
뱀은 어떻게
뱀에 물렸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는 대부분 안다. 뱀독이 온몸에 퍼지는 걸 막기 위해 끈이나 수건 등으로 상처 부위 주변을 묶는 것이다. 실제로 뱀에 물린 뒤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은 상처 위아래를 풀기 어려울 정도로 겹겹이 꽉 묶거나, 가는 철사·케이블타이 등으로 칭칭 감기도 한다.
하지만 혹시 모를 독이 퍼지는 걸 막으려다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처 주변 부위를 너무 꽉 묶어버리면 혈액 순환을 방해하면서 심한 부종이 나타날 위험이 있다. 또한 압력이 강한 철사나 케이블타이 등을 쓰면 혈액 흐름을 아예 막아버려 상처 아래쪽이 괴사할 수 있다. 초기 응급처치를 제대로 하는 게 중요한 이유다.
제일 좋은 방법은 뱀에게 물린 부위 5~10cm 위쪽을 끈·수건 등을 이용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만 여유 있게 묶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동맥혈은 어느 정도 순환하게 하는 대신, 정맥혈이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건 막을 수 있다.
또한 상처 부위를 미지근한 물로 닦아낸 뒤, 심장보다 낮게 유지한 상태로 가까운 병원에서 치료받는 게 좋다. 다만 마음이 급하다고 뛰지 않아야 한다. 흥분해서 심장이 빨리 뛰게 되면 독이 더 빠르게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병헌·김태희도 몸 담갔다…'남녀 혼탕' 온천 이용법 | 중앙일보
- 여성 코미디언 가슴 만지고 '씨익'…마라톤 생중계 찍힌 성추행 충격 | 중앙일보
- 尹-이성윤 원래 절친이었다…여의도 입성한 ‘반윤’ 검사들 | 중앙일보
- [단독] 대통령실 로고 파우치엔 콘돔이…용산 뒤집은 불륜사건 | 중앙일보
- 옷 전부 벗고 대화한다…핀란드 외교 '비밀 무기'는 [세계한잔] | 중앙일보
- 미국판 '나는 자연인이다'…"위험한데 재밌다" 괴짜 영화 스타 | 중앙일보
- "마사지업소서 성매매"…세계 휩쓴 유명 피아니스트, 경찰 조사 | 중앙일보
- 황재균, 지연과 이혼설 와중에 새벽 술자리 포착…"여성들도 동석" | 중앙일보
- 아내에 약물 먹인 후 72명 남성 모집…잔혹 성폭행한 프랑스 남편 | 중앙일보
- "지구서 공룡 뛰놀 때, 달에선 화산 터져"…학계 발칵 뒤집혔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