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모차 끄는 아빠 '급증'…"회사는 어쩌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육아휴직 급여를 수령한 남성의 비율이 8년 전과 비교해 5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휴직급여 수급자(8만7천명) 중 남성의 비율이 5.6%(4천800여명)였던 2015년보다 5배가량 증가한 것이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남성 근로자 비율은 2015년 4.7%에서 지난해 17.1%로 3.6배 늘었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여성과 남성의 삶을 세심히 살펴 일·생활의 균형 등 국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지난해 육아휴직 급여를 수령한 남성의 비율이 8년 전과 비교해 5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제29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해 남녀의 모습을 분석한 '2024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5일 발표했다.
이번 통계는 각 부처에서 공표한 자료를 활용해 ▲ 인구와 가구 ▲ 노동시장 ▲ 일·생활 균형 ▲ 경제 상황 ▲ 사회안전망 ▲ 의사결정 ▲ 여성 폭력 ▲ 건강 ▲ 사회 인식 등으로 분야를 나눠 작성했다.
여가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12만6천명 가운데 28%(3만5천명)는 남성으로 집계됐다. 육아휴직급여 수급자(8만7천명) 중 남성의 비율이 5.6%(4천800여명)였던 2015년보다 5배가량 증가한 것이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남성 근로자 비율은 2015년 4.7%에서 지난해 17.1%로 3.6배 늘었다.
같은 기간 여성은 4.6%에서 13.9%로 3배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직장 내 일·가정 양립 문화에 만족한다'고 답한 여성과 남성은 각각 35.1%, 34.9%였다. 이는 2017년 대비 각 11.5%포인트, 13.6%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여성 51.9%, 남성 43.9%였다. 2017년보다 각 3.5%포인트, 4.9%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1인 가구는 782만9천 가구로 일반 가구의 35.5%를 차지하며, 2010년과 비교해 그 비중이 11.6%포인트 증가했다.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연령대의 경우 남성은 30대(21.8%), 여성은 60대(18.6%)로 집계됐다.
지난해 초혼 건수는 2015년(23만8천건)보다 37.2% 감소한 14만9천건이었다.
평균 초혼 연령은 여성 31.5세, 남성 34.0세로, 2015년 대비 각 1.5세, 1.4세 올랐다.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1.4%로, 2015년(55.7%) 대비 5.7% 포인트 올랐다.
특히 30대 초반 여성 고용률은 71.3%로, 2015년(59.6%) 대비 11.7%포인트 상승해 'M커브 곡선'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M커브 곡선은 연령별 여성 고용률을 그렸을 때 30대 고용률이 하락해 M자 모양이 되는 그래프를 뜻한다.
지난해 기혼 여성 가운데 출산이나 육아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134만9천명으로, 2015년(207만3천명) 대비 34.9% 줄었다.
이밖에 2023년 기준 다문화 가구 가구원은 8년 전보다 34.2% 증가한 119만2천명으로, 이중 여성 가구원이 52.5%를 차지했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여성과 남성의 삶을 세심히 살펴 일·생활의 균형 등 국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