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한필의 視線] 천안 두 문화원, 성환·아우내로 이름 되돌려야
조한필 2024. 9. 5. 10: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무리 봐도 정상은 아니다.
천안 신도심 불당동·두정동까지 아우르는 천안시서북구문화원이 성환읍에 있다.
유서 깊은 두 문화원 이름도 천안문화원과 함께 자취를 감췄다.
적어도 두 문화원 이름을 성환문화원, 아우내문화원으로 되돌려 가식적인 문화행정에서 벗어나자.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봐도 정상은 아니다. 천안 신도심 불당동·두정동까지 아우르는 천안시서북구문화원이 성환읍에 있다. 또 청수동·신방동 아파트촌을 관할하는 천안시동남구문화원은 병천면에 있다. 당연히 두 문화원장은 성환읍·병천면 주민이 번갈아 맡고 있다.
더 놀라운 건 이 문화원 이름들이 ‘불법’이란 사실이다. 지방문화원진흥법에 따르면 문화원 이름으로 시·군 및 자치구만이 그 지명을 사용할 수 있다. 천안 서북구와 동남구는 구청장을 주민이 뽑는 자치구가 아니다. 시장이 구청장을 임명하는 행정구로 문화원 이름으로 쓸 수 없다는 얘기다. 구청장을 뽑는 곳인 대전의 중구문화원·유성구문화원 등과 사정이 다르다.
어떻게 이런 불법이 가능했을까. 그 연원을 살피려면 2006년 시작돼 천안문화계를 뒤흔든 천안문화원 사태로 올라가야 한다. 당시 천안문화원은 신임 원장과 사무국장 간 갈등이 수년간 지속돼 쌍방 고소전까지 갔다. 2004년 개원 50돌 행사를 가진 지 2년 만의 일이다. 보다 못한 천안시가 2010년 문화원 건물을 회수하는 행정대집행을 단행했다.
50년 전통의 천안문화원이 사라지는데 시는 속수무책이었다. 이런 시가 겨우 생각해 낸 게 ‘눈가림식 잔꾀’였다. 천안문화원 공백을 감추기 위해 성환문화원(1963년 창립)과 아우내문화원(1958년, 아우내는 竝川)에 지침을 내렸다. 이사회를 통해 문화원 이름을 바꾸라는 것이었다. 시 예산을 받아 움직이는 문화원으로서 거부하기 힘들다. 시는 또 법인 등록을 허가하는 충남도까지 압박해 불법적 문화원 이름을 통과시켰다. 2011~2012년의 일이다. 천안시가 설계하고, 문화원은 끌려가고, 충남도가 눈감은 불법 문화원 개명이었다.
유서 깊은 두 문화원 이름도 천안문화원과 함께 자취를 감췄다. 이름을 바꿔 두 문화원이 좋아진 게 뭐 있었나? 서북구문화원장이라고 아파트 밀집지역 주민 앞에 떳떳이 설 기회가 있었나? 동남구문화원장이라고 청당동 주민들이 반긴 적이 있나? 이들 주민은 두 문화원의 존재를 피부로 느껴본 적이 없다.
두 문화원은 수십명 이사진에 도심 동(洞)지역 주민을 끼워 넣었다. 문화원 이름값 하려는 구색 갖추기다. 업무는 문화원이 있는 성환읍, 병천면 중심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시는 도심지역 문화원 공백을 주민자치센터, 천안문화재단, 천안시도서관, 천안박물관 등이 메꿔가고 있다고 변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할 수 없는 문화원의 고유기능이 있다. 관(官)기관이 할 수 없는 민(民)기관 역할과 기능이다.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지역 문화사업을 구상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서북구문화원은 이름은 서북구이지만 많은 부분이 성환에 집중됐다. 아예 홈페이지에 ‘성환의 문화’ 항목을 만들었다. 책을 내더라도 ‘성환사람들의 특별한 이야기’ 등 성환에 편중될 수밖에 없다. 이사진이 온통 성환 사람들인데 어쩌겠는가.
더 놀라운 건 이 문화원 이름들이 ‘불법’이란 사실이다. 지방문화원진흥법에 따르면 문화원 이름으로 시·군 및 자치구만이 그 지명을 사용할 수 있다. 천안 서북구와 동남구는 구청장을 주민이 뽑는 자치구가 아니다. 시장이 구청장을 임명하는 행정구로 문화원 이름으로 쓸 수 없다는 얘기다. 구청장을 뽑는 곳인 대전의 중구문화원·유성구문화원 등과 사정이 다르다.
어떻게 이런 불법이 가능했을까. 그 연원을 살피려면 2006년 시작돼 천안문화계를 뒤흔든 천안문화원 사태로 올라가야 한다. 당시 천안문화원은 신임 원장과 사무국장 간 갈등이 수년간 지속돼 쌍방 고소전까지 갔다. 2004년 개원 50돌 행사를 가진 지 2년 만의 일이다. 보다 못한 천안시가 2010년 문화원 건물을 회수하는 행정대집행을 단행했다.
50년 전통의 천안문화원이 사라지는데 시는 속수무책이었다. 이런 시가 겨우 생각해 낸 게 ‘눈가림식 잔꾀’였다. 천안문화원 공백을 감추기 위해 성환문화원(1963년 창립)과 아우내문화원(1958년, 아우내는 竝川)에 지침을 내렸다. 이사회를 통해 문화원 이름을 바꾸라는 것이었다. 시 예산을 받아 움직이는 문화원으로서 거부하기 힘들다. 시는 또 법인 등록을 허가하는 충남도까지 압박해 불법적 문화원 이름을 통과시켰다. 2011~2012년의 일이다. 천안시가 설계하고, 문화원은 끌려가고, 충남도가 눈감은 불법 문화원 개명이었다.
유서 깊은 두 문화원 이름도 천안문화원과 함께 자취를 감췄다. 이름을 바꿔 두 문화원이 좋아진 게 뭐 있었나? 서북구문화원장이라고 아파트 밀집지역 주민 앞에 떳떳이 설 기회가 있었나? 동남구문화원장이라고 청당동 주민들이 반긴 적이 있나? 이들 주민은 두 문화원의 존재를 피부로 느껴본 적이 없다.
두 문화원은 수십명 이사진에 도심 동(洞)지역 주민을 끼워 넣었다. 문화원 이름값 하려는 구색 갖추기다. 업무는 문화원이 있는 성환읍, 병천면 중심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시는 도심지역 문화원 공백을 주민자치센터, 천안문화재단, 천안시도서관, 천안박물관 등이 메꿔가고 있다고 변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할 수 없는 문화원의 고유기능이 있다. 관(官)기관이 할 수 없는 민(民)기관 역할과 기능이다.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지역 문화사업을 구상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서북구문화원은 이름은 서북구이지만 많은 부분이 성환에 집중됐다. 아예 홈페이지에 ‘성환의 문화’ 항목을 만들었다. 책을 내더라도 ‘성환사람들의 특별한 이야기’ 등 성환에 편중될 수밖에 없다. 이사진이 온통 성환 사람들인데 어쩌겠는가.
천안문화원을 다시 만들자는 얘기는 아니다. 적어도 두 문화원 이름을 성환문화원, 아우내문화원으로 되돌려 가식적인 문화행정에서 벗어나자. 버거운 이름을 벗고 정겨운 옛 이름을 돌아가자. 그래야 도심 시민들도 문화원 공백사태를 알고, 옛 문화원 기능을 대신할 기관의 필요성을 절감할 것이다.
성급히 문화원 이름을 바꾸다 그랬는지 두 문화원 도메인 주소에는 아직 성환(cnkccf.or.kr/sunghwan), 아우내(cnkccf.or.kr/aunae) 흔적이 남아있다. 이 참에 옛날로 돌아가자. cnkccf는 충남문화원연합회를 말한다.
조한필 기자 chohp11@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쿠키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배임 혐의' 받고있는 부산공동어시장···중도매인 관리 부실 '도마위'
- 국회 운영위, 김건희 여사에 동행명령장 발부
- 시민단체, ‘노태우 비자금’ 관련 헌법소원…“범죄수익 재산 인정 안 돼”
- 민주, ‘이재명 전 특보’ 통해 尹·명태균 녹취록 입수 “나머지 검토 중”
- 빗썸, 불공정거래 관련 참고인으로 검찰 압수수색
- 20%대마저 붕괴…尹대통령 지지율 19% [갤럽]
- 데뷔한 해에 정규앨범…베이비몬스터의 이유 있는 자신감 [들어봤더니]
- 추경호, 尹·명태균 통화 내용에 “법률적 문제 없다”
- “다른 이들 통해 살아 숨쉬어”…6명 살리고 떠난 두 아이 엄마
- 책무구조도 일찍 낸 주요 금융지주·은행…일부 빠진 곳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