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 발생한 연희동 일대 전수조사…지반침하 사고 64%, 상하수관이 원인
서울시가 지반침하(땅꺼짐) 예방을 위한 개선안을 4일 발표했다. 지난달 29일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 관련 후속 조치다. 하지만 성산로 사고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서울시는 “복합적인 요인으로 지하에 공동이 발생했고, 결국 도로 하부 토사가 일부 유실돼 포장면이 파괴된 것으로 전문가들이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복합적인 요인으로 사고구간이 경사지 중간이라는 지형적 특성, 최근 폭우ㆍ폭염으로 인한 지하수위 변화, 폐하수관을 비롯해 노후한 지하매설물, 인근 공사장 등이 꼽혔다. 하지만 이 중에서 사천 빗물펌프장 공사로 인한 직접적인 원인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이 서울시 견해다. 시는 명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공사 구역 내 진동계와 지하수위계를 설치하는 등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연희동 사고 지역 일대를 특별 점검 대상 지역으로 지정해, 지하 매설물을 전수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또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30년 이상 된 노후 상하수관로 정비에 들어간다. 시는 2015년부터 지난 1일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 222건 중에서 상ㆍ하수관로에 의한 사고가 64%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낡은 하수관로가 터져 흙이 관 안으로 유입돼 하수와 함께 흘러가다 지반침하가 일어나는 게 111건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 서울시 상ㆍ하수관로 중 30년 이상 된 하수관로는 6019㎞(55.6%), 상수관로는 4811㎞(36%)에 달한다. 서울시는 9월부터 30년이 넘은 모든 하수관로에 폐쇄회로(CC)TV가 장착된 내시경 카메라를 활용해 정밀히 조사할 방침이다. 또 연차별 계획을 세워 노후한 상·하수관로를 정비할 계획이다.
━
지하 2m까지 레이더로 볼 수 있어 예방 한계
하지만 현재 기술력으로 지반침하를 예방하기까지 한계가 많다는 지적도 나온다. 주요 예방책인 GPR 탐사가 지하 2m 정도까지만 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반침하가 일어난 성산로만 해도 지난 5월 GPR 탐사를 했지만,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가 3개월 만에 사고가 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점차 도시 관리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GPR 장비로 찾기 어려운 지반침하 이상 징후를 찾아내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한은화 기자 onhwa@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가지 상식 깨부쉈다…서울대·의대 간 '최상위 1%' 전략 | 중앙일보
- 아내에 약물 먹인 후 72명 남성 모집…잔혹 성폭행한 프랑스 남편 | 중앙일보
- 이런 집주인, 어디 또 없다…120채 ‘강남 아파트왕’ 비밀 | 중앙일보
- "만지지 마라""밤에 무섭더라"…송도 출몰한 야생동물에 깜짝 | 중앙일보
- 1억짜리 벤츠, 1년 만에 6000만원 됐다…"이게 무슨 날벼락" | 중앙일보
- '육즙수지' 본 과즙세연 "뭐야 저게?"…박수 치며 보인 반응 | 중앙일보
- 8m 싱크홀 빨려들어간 여성, 시신도 못찾았다…9일만에 수색 중단 | 중앙일보
- '5대1 예약 폭발' 필리핀 이모님…실제 서비스 들어가니 줄취소 왜 | 중앙일보
- '스타킹'서 우동 50그릇 뚝딱…사라졌던 일본 먹방 유튜버 근황 | 중앙일보
- '젊은 대장암' 한국 MZ가 세계 1위…이 음식은 드시지 마세요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