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극우 부상에 WSJ "정부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국민 불신 때문"

백일현 2024. 9. 3. 11: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우파 반대 시위 참가자들이 "나치 사냥!"이라는 슬로건이 적힌 현수막을 들고 있다. AP=연합뉴스


유럽 각국에서 극우 반체제 포퓰리즘이 득세하는 배경엔 정부의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자리잡고 있다고 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진단했다.

매체는 전날 독일 튀링겐 주의회 선거에서 극우 정당인 독일을위한대안(AfD)이 선두를 차지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앞서 선거를 겪은 프랑스·이탈리아·네덜란드·스웨덴·핀란드 등 유럽 각국에서 나타난 극우 포퓰리즘 정당들의 부상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이민과 물가 상승, 우크라이나 전쟁 등 수많은 위기가 포퓰리스트들의 선거 승리를 도왔다고 하지만 위기는 새로운 게 아니다. 새로운 점은 선출된 정부가 위기를 해결할 수 있다는 유권자들의 신뢰가 무너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의회 분열이 우유부단한 연합 만들어”


지난주 발표된 독일 유권자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가 어떤 정당도 국가 문제를 해결할 거라고 믿지 않는다고 답했다. 16%만 정부를 신뢰한다고 답했다.

올해 초 프랑스 파리정치대학(시앙스포)가 공개한 프랑스·독일·이탈리아·폴란드 유권자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약 60%가 정치 제도를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같은 비율로 나왔다.

김영희 디자이너


WSJ는 이처럼 유권자들이 정부를 불신하며 포퓰리즘 정당을 지지하고 기성 정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면 의회가 한층 분열된다고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통치에 어려움을 겪는 우유부단한 연합 정부를 구성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안정적인 과반수를 보장해온 2차 투표(결선 투표) 시스템을 갖춘 프랑스에서조차 지난 7월 총선 뒤 두 달 가까이 내각을 구성하지 못하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3개 정당의 연립 정부인 독일 내각은 끊임없는 내부 의견 충돌로 올해 예산안을 간신히 마련했다.

지난달 25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왼쪽), 가브리엘 아탈 프랑스 총리(가운데), 야엘 브라운-피베 국회의장(오른쪽)이 파리 당페르 로슈로 광장 옆에서 열린 파리 해방 8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AP=연합뉴스

“공공 부채도 정부 능력 떨어뜨려”


정부의 효율성이 떨어진 데는 공공 부채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9년 이래 경제가 침체돼 있는 독일에선 수년간의 저투자로 경찰, 군대, 교육 등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서 정부 불신이 팽배하다. 지난달 23일 발생한 ‘묻지마 흉기 테러’의 주범인 시리아 출신 망명 신청자는 2년 전 추방됐어야 했으나 추방되지 않았다. 지난해 6월 당국이 그를 추방하려 수배했지만 찾지 못하자 찾는 걸 그만뒀다.

특히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의 경우 과도한 정부 부채로 정책을 제대로 펴지 못하고 있다. 유럽 전역의 급속한 고령화로 의료 수요가 늘면서 치료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등 의료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도 국민들이 정부를 불신하는 원인 중 하나다.

2023년 주요 유럽국 경제성장률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글로벌 통계 플랫폼 스태티스타]


국가 권력의 ‘견제와 균형’이 기본 원칙인 민주주의 국가에선 위기에 느리게 반응할 수 있고, 이 내재적인 취약점은 포퓰리스트들이 공격하는 초점이 돼 왔다.

아울러 정치인들은 해결을 위해 큰 대가를 치러야 하는 문제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 문제라고 치부하는 경향도 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이후 독일 정부가 러시아로부터 수입하는 천연가스 의존을 줄이지 않은 일이 대표적이다. 이로 인해 독일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스 공급을 제한하기 시작한 러시아의 협박에 취약해졌다.

정치학자인 헤르프리트 뮌클러는 “해결되지 못한 위기가 쌓이면서 정부가 압도당하고 있다”며 1920년대 유럽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치적 타협이 한계에 도달했을 수 있다”며 “이에 대다수 유권자들이 타협하지 않고 그냥 결정하는 강한 인물을 요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안병억 대구대 교수(국제관계)는 “독일 연립 정부는 3당 3색인 데다 경제, 난민 문제에 대처를 못해 국민들의 불만이 커졌다”며 “정부가 민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심판을 받는다는 건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로, 정부 능력에 대해 불신이 커질수록 정치적 효능감도 떨어진다”고 말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1일 독일 졸링겐에서 지난주 3명의 목숨을 앗아간 칼부림 사건의 희생자들을 위한 헌화식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백일현 기자 baek.ilhyu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