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분을 토하는 대한민국, 절반의 국민이 억울하다
[국민총행복전환포럼]
여러분은 오늘의 대한민국이 얼마나 공정하다고 생각하시나요? 혹은, 우리 정부와 대한민국 사회를 얼만큼 신뢰하고 계신가요? 여기 한 연구는 20~30대가 전반적으로 "세상이 공정하지 않다"고 여긴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국민 3명 중 2명이 "사회 불공정"을 느끼고 있고 중장년이 청년보다 불공정 인식 높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의 인식 상태와 원인이 무엇일지 두 가지 연구 결과를 소개해드립니다.
▲ 국민 절반가량이 장기적으로 울분 상태에 놓여있다. |
ⓒ Unsplash / SEO Galaxy |
여러 문헌에서 울분은 '부당하고, 모욕적이고, 신념에 어긋나는 것으로 여겨지는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으로 설명됩니다. 이 조사에서는 '울분 수준'에 대해 1.6점 미만(이상 없음), 1.6점 이상∼2.5점 미만(중간 수준), 2.5점 이상(심각 수준) 등 3개 구간으로 나누고, 1.6점 이상은 중간 수준 이상의 울분 속에 있거나 그런 감정이 계속되는 '장기적 울분 상태'로 규정했습니다.
▲ 성인 울분 수준 조사결과 49.2%가 장기적인 울분상태 |
ⓒ 국민총행복전환포럼 |
응답자의 평균 울분상태는 1.56점으로 중간수준 울분에 가까웠는데 여러 요인을 함께 분석하니 특히 연령, 교육·소득수준 등 인구 사회적 변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에 따라서는 만 18세~ 59세에서 평균 약 12.3%가 2.5점 이상의 심각한 울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각한 수준의 울분을 겪는 비율이 30대에서 13.9%로 가장 높고 만 60세 이상(3.1%)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사회·경제적 여건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스스로의 위치를 묻고 상중하 3개 구간으로 나눈 뒤 울분 점수를 비교했을 때 자신을 하층으로 인식하는 이들의 60%가 장기적 울분 상태에 해당한 것과 달리, 자신을 상층으로 인식하는 이들은 61.5%가 이상 없다고 답해 사회 경제적 여건이 이들이 겪는 '울분상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렸습니다.
이어서 최근 1년 부정적 사건을 하나라도 경험한 경우는 전체의 77.5%를 차지했습니다. 10명 중 약 8명이 부정적 사건을 경험했다고 답한 것인데요, 이 같은 결과가 월소득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다고 전했습니다. 가구 월소득이 300만 원 이하인 사람들의 부정적 사건 경험은 3.40점인 반면 월소득 700만 원 이상은 2.62점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부정적 사건을 경험했다고 답한 것입니다. 연구진은 이런 경험이 높아질수록 울분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고도 전했습니다.
사회의 공정함에 대한 믿음은 바닥 수준
▲ 울분을 일으키는 주요 사회정치 사안 상위 5위에는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 '정부의 비리나 잘못 은폐', '언론의 침묵·왜곡·편파 보도' 가 지속적으로 포함된다 |
ⓒ 국민총행복전환포럼 |
▲ 사회통합실태진단 및 대응방안(X)-공정성과 갈등인식 보고서, 31p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영역별로는 대학입시의 공정성에 대한 부정적 답변 비율이 27.4%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반면, 사법·행정 시스템(56.7%), 기업 성과 평가 및 승진 심사(57.4%)의 공정성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응답자가 절반 이상으로 많았습니다. 또한 신입사원 채용이 공정하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은 43.4%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이들이 말하는 불공정이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기득권의 부정부패'로, 응답자의 37.8%가 의견을 모았습니다. 이후 '지나친 경쟁 시스템'(26.6%), '공정한 평가 체계의 미비'(15.0%), '공정에 대한 사람들의 낮은 인식'(13.0%), '계층이동 제한과 불평등 증가'(7.6%) 순으로 원인을 나열했습니다.
여러 원인으로 인한 불공정에 대한 인식은 일터에서는 약간 달랐는데요, 일터에서의 여성, 장애인, 청년에 대한 처우의 공정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여성, 청년에 대한 처우의 경우 65.3%와 62.6%가 매우 혹은 비교적 공정하다며 긍정적인 응답을 했습니다. 반면 장애인에 대한 처우의 경우 절반에 못 미치는 45.1%만 긍정적인 답변을 해 장애인에 대한 불공정이 여전히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여성에 대한 처우에 대해서는 남성의 71.3%가 공정하다고 생각한 반면, 여성 가운데서는 59.2%가 공정하다고 답해 남녀간 생각 차이가 크게 보이는 부분도 눈여겨볼 결과입니다.
▲ 사회통합실태진단 및 대응방안(X)-공정성과 갈등인식 보고서, 32p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거의 모든 지역에서 청년정책이 쏟아지고 있지만 정책이 청년당사자들에게는 닿지 않은 걸까요? 조사 중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청년에게 혜택을 주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항목에 대해 청년들은 86.6%가 동의했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동의 응답률은 이보다 10.6%포인트 낮은 76.0%였습니다.
이들은 청년 세대 내에서도 여러 갈등이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남녀 갈등(52.6%), 계층 갈등(55.4%), 정치적 이념 갈등(50.8%)이 아주 심각하고, 65.6%는 이런 갈등이 언론, 정당, 기성세대 등 특정 집단에 의해 부추겨지고 있다고 보아 마찬가지로 위의 '울분을 일으키는 주요 사회정치 사안'과 일맥상통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사회에서 가장 위협받는 사회적 가치를 물었을 때 '사회적 신뢰'를 1/3이상인 약 35%가 가장 위협받는다고 꼽았습니다. 이는 전체 응답자와 청년응답자의 답변은 거의 차이가 없이 동일하여 전반적으로 사회적인 신뢰가 무너진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급변하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갈등을 둘러싼 인식을 파악하여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정책 추진 방향 설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한 만큼, 다음 여섯 개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1. 사회갈등의 제도화를 통한 사회통합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2. 공정성 회복을 위한 위원회 설치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3. 사회갈등 조정을 위한 공론장을 활성화해야 한다.(다만 온라인 공론장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
4. 개인과 사회에 대해 성숙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시민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5. 사회적 연대를 구축하고 강화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6. 사회갈등 모니터링을 정기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연구진이 '불공정은 상대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불리한 입장에 있거나, 권력과 경제력에서 상위를 점하지 못한 다수의 사람에게 열패감을 심어준다'며 '공정성을 강화해 사회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면 사회갈등을 낮추고 부정적인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 것처럼, 우리 사회의 울분과 불공정성 해결에 있어서는 사회적 연대와 정부 및 시민의 협력을 통한 순차적인 신뢰 회복이 첫걸음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문재인 부녀는 '경제공동체', 윤석열 부부는 아니다?
- 박정훈 대령 곁에 선 수녀 "인간의 고통 앞에 중립은 없다"
- "예술작품"? 딥페이크 망언 의원 5인방, 지금은...
- 육지가 전부인 세상, 남쪽 끄트머리 '검은 산' '붉은 섬' 이야기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국틀막
- [손병관의 뉴스프레소] 계엄 상황에서 '법대로'가 과연 지켜질까
- OECD 국가 중 '우울증' 1위 오명, 이 사업으로 씻는다
- 채상병 특검 철회? 오도가도 못하고 끼어버린 한동훈
- "괴담 선동" "집단 실성" 계엄령 의혹 연일 방어하는 국힘
- 야6당, 한동훈안대로 제3자 추천 '채상병 특검법'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