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분에 물을 줘라" 유언 남긴 학자
조선 선비들의 유언을 통해 삶의 지혜와 통찰을 배워보고자 한다. 의로운, 이상적인, 유유자적한, 때론 청빈한 선비들의 유언은 유언에 그치지 않고, 후대 사람들에게는 세상을 살아가는 지침과 삶의 방향을 잡아주는 나침반이 되기도 한다. <기자말>
[이재우 기자]
▲ 경북 안동시 도산면 건지산 기슭의 퇴계 이황 묘소. 언뜻 봐도 소박한 느낌을 준다. (올해 3월 2일 방문 때 촬영) |
ⓒ 이재우 |
조선 최고의 도학자 퇴계 이황(1501~1570)은 생을 마감하기 나흘 전인 1570년 12월 8일, 조카에게 이런 유계(遺戒)를 받아 쓰도록 했다. 예장을 사양하라고 한 건 장례식을 호화롭게 하지 말라는 경계의 당부였다. 그렇다고 비석까지 세우지 말라는 건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 퇴계의 무덤 빗돌엔 도산으로 물러나 만년을 보낸 진성이씨의 묘라는 뜻의 ‘퇴도만은 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만 적혀 있다. (올해 3월 2일 방문 때 촬영) |
ⓒ 이재우 |
제자인 고봉 기대승 등 후인들은 대형의 석재를 구하여 생전에 받은 관작(官爵)과 직위를 호화찬란하게 써놓을 것이 분명하다. 퇴계는 그런 속된 현상을 피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래서 '인간 아무개 여기에 묻혔다'는 식의 표시만으로 만족한다는 뜻을 유계로 남겼다고 보인다.
'퇴도만은(退陶晩隱)', 이 네 글자는 자연에 살고 싶었던 퇴계의 삶을 함축한다고 볼 수 있다. 퇴계 묘소를 둘러보면서 놀란 건 이뿐 아니다. 묘소 가까이에 며느리 봉화 금씨(퇴계 맏아들 이준의 아내)의 묘가 있어서다. 이 산엔 퇴계와 며느리 묘만 있을 뿐이다. 아들도 아닌 며느리 묘가 왜 여기 있을까?
▲ 퇴계 묘소 올라가는 길. 가까운 거리에 며느리 봉화 금씨 묘가 있다. (올해 3월 2일 방문 때 촬영) |
ⓒ 이재우 |
퇴계 집안 여성들의 대단함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퇴계의 손자며느리인 권씨 부인 역시 남달랐다(권씨 부인은 퇴계의 맏손자 이안도의 아내다). 퇴계가 맏손자 이안도에게 보낸 편지를 묶은 <안도에게 보낸다>(정석태 옮김, 펴낸 곳 들녘)라는 책에 이런 대목이 있다.
권씨 부인은 임진왜란 중에 퇴계가 남긴 글과 전적(典籍), 그리고 퇴계의 유품 등을 청량산 축육봉 아래에 잘 갈무리해서 후세에 전할 수 있게 되었다. 후일 퇴계의 자손들은 그 장소를 '생이골(生李洞)', 곧 '이씨를 살린 골짜기'라고 이름 지었다.
▲ 안동 퇴계 고택의 솟을대문에 퇴계의 손자며느리 권씨 부인을 기리는 정려패(旌閭牌: 대문 위쪽)가 보인다. (올해 3월 2일 방문 때 촬영) |
ⓒ 이재우 |
퇴계 종가가 계속 이어지게 된 것도 권씨 부인 덕이라고 한다. 맏손자 이안도에겐 대를 이어 아들이 태어났지만, 권씨 부인의 젖이 부족해 죽고 말았다. 그런 권씨 부인은 남편의 동생인 이영도의 아들로 하여금 대를 잇게 했다.
▲ 주희(주자학 집대성자)의 글에서 따온 도산서원의 완락재(玩樂齋) 모습. (2021년 4월 18일 방문 때 촬영) |
ⓒ 이재우 |
퇴계는 "즐기고 완미하면 죽을 때까지 싫증 나지 않을 것(樂而玩之 固足以終吾身而不厭)"이라는 주희(주자학 집대성자)의 말에서 완락재라는 이름을 따왔다. 완락재의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퇴계의 삶과 철학은 모두 '즐거움'에서 비롯됐다.
누구보다 학문을 즐겼고, 반상을 가리지 않고 제자 가르치기를 즐겼으며(공식적인 제자만 368명에, 대장장이 제자까지 있었다), '우리 집안의 산(吾家山)'이라던 청량산을 즐겨 찾았고, 그리고 특히 매화를 무척 즐겼던 퇴계였다.
퇴계의 매화 사랑은 유별났다. 젊은 시절부터 노년기까지, 심지어 임종 순간에도 매화를 아끼고 즐겼다. 퇴계는 '매치(梅癡) 중의 매치'였다. 조선의 선비들은 매화에 빠진 스스로를 매치(梅癡: 매화에 미친 사람)라고 불렀다. 그도 그럴 것이 퇴계가 평생 남긴 매화시는 72제(題) 107수에 이른다. 그중에서 62제 91수를 뽑아 묶은 것이 <매화시첩(梅花詩帖)>이다.
▲ 퇴계 이황을 기리기 위해 선조 7년인 1574년 지어진 도산서원. 서원의 본당을 둘러보는 관람객들. (2021년 4월 18일 방문 때 촬영) |
ⓒ 이재우 |
퇴계의 매화시에도 임포가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면 '나는 포옹이 환골탈태한 신선(我是逋翁換骨仙)'이라는 구절이 있다. 포옹(逋翁)은 임포를 말한다. 퇴계는 임포와 자신을 동일시했던 것이다. 퇴계의 매화시 절창으로는 6수로 구성된 '도산의 달밤에 매화를 읊다(陶山月夜詠梅)'라는 시가 압권인데, 그중에 세 번째가 필자에게 가장 와닿는다.
마당을 거닐으니 달이 사람을 좇아오고(步屧中庭月趁人)
매화 곁을 돌고 돌아 몇 번이나 돌았던가(梅邊行遶幾回巡)
밤이 깊도록 오래앉아 일어날 줄 모르니(夜深坐久渾忘起)
향기는 옷깃에 가득하고 꽃 그림자는 몸에 가득하네(香滿衣巾影滿身)
<퇴계 매화시첩 (기태완 역주, 펴낸 곳 보고사) 참고>
퇴계의 매화시는 유독 감정이입이 깊어 보인다. 퇴계는 겨울 추위에 매화가 손상되자 그 안타까움을 시로 적었는데 '겨울 신은 어찌하여 내 매화에 재앙을 입혔는가(冥頊胡爲我梅厄)'라는 구절이 나온다. 하늘을 원망하며 재앙(厄)이라는 단어까지 동원했다.
한가로운 노인의 일상을 보여주는 재미난 표현도 있다. '수염을 꼬며 종일 외롭게 읊조리며 감상하네(撚鬚終日孤吟賞)'라는 구절이다. 수염을 꼬면서 매화와 노니는 퇴계의 모습을 한번 상상해 보시라.
퇴계는 서울의 임시 거처에 있을 때 분매(盆梅: 화분에 심어 기르는 매화)와 서로 대화하는 형식의 문답을 주고받기도 했다. 퇴계가 '고향으로 돌아갈 때 그대와 함께 가지 못함이 한스러운데(東行恨未携君去)/ 서울의 먼지 속에 고움을 간직해다오(京洛塵中好艶藏)'라고 말하자, 매화는 '공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천향을 피우리라(待公歸去發天香)'고 화답했다.
▲ 경북 봉화 청량산 자락의 청량사 찻집. 퇴계는 평생 동안 청량산을 즐겨 찾았는데, 필자는 이 찻집에서 가끔 퇴계의 삶을 그려 보곤 했다. (2021년 4월 18일 방문 때 촬영) |
ⓒ 이재우 |
깔끔하고 고고한 퇴계의 품성으로 볼 때, 자신의 추한 모습을 매화에게 보이고 싶지 않았던 심정을 이해하고도 남는다. 퇴계의 임종을 지킨 제자 이덕홍은 <계산기선록(溪山記善錄)>에서 스승의 임종 그날을 이렇게 적고 있다.
12월 8일 아침에 매화분에 물을 주라고 하셨다. 이날 날씨는 맑았다. 그런데 오후 5시가 되자 갑자기 흰 구름이 지붕 위로 모여들고 눈이 내렸다. 잠시 뒤에 선생은 누운 자리에서 부축을 받고 일어나 앉아서 돌아가셨다. 그러자 구름은 흩어지고 눈은 그쳤다.
'물을 주라'고 한 매화 화분은 퇴계가 서울에 두고 왔던 그 매화였다. 서울에 갔던 제자가 말년의 퇴계에게 보내주었는데 퇴계의 마지막 가는 길을 그 매화가 배웅한 것이다.
퇴계가 만약 매화가 피지 않는 계절에 생을 마감했다면? 아마도 퇴계의 마지막은 몹시 삭막하지 않았을까?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