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내향인이 사람 사귈 때 하는 '이상한' 상상
[장혜령 기자]
▲ 영화 <죽고 싶지만 사랑은 하고 싶어> 스틸컷 |
ⓒ (주)디오시네마 |
반복되는 일상, 무료한 하루, 몇 안 되는 직원이 시시콜콜한 대화를 이어가는 평범한 사무실에 출근한 프랜(데이지 리들리)은 때때로 죽음을 떠올린다. 우울증이거나 고통을 자극 삼는 즐거움이 아니다. 죽음이 어떤 느낌일지 단순한 궁금증이다. 프랜은 현실을 떠나 죽음을 떠올리며 묘한 감정에 사로잡히는 걸 좋아한다. 고독을 사랑하고 외로움을 즐긴다. 또 동료들과 어울리기보다 혼자 업무를 보는 걸 편하게 여긴다.
프랜은 잘 움직이지 않는다. 말주변도 없고 대화에 반응도 잘 하지 않는다. 무표정이나 느릿하고 짧게 답하고 마는 식이다. 퇴임하는 동료를 축하하는 파티에도 꿔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어정쩡하게 서 있다가 자신의 몫(케이크 한 조각)을 들고 자리로 돌아가는 소심하고 조용한 사람이다. 그렇기에 그의 동료들도 억지로 행사에 참여하라거나, 함께 커피를 마시자고 하거나 식사를 하자고 강요하지 않는다.
전형적인 내향인의 기질을 타고난 프랜은 타인과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동료들은 프랜은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고, 저마다의 사정이 있다며 프랜을 그대로 인정한다.
지루해 보이는 업무, 조용한 세상이 너무 좋은 프랜의 일생에 갑자기 큰일이 벌어진다. 바로 로버트(데이브 메르헤예)가 신경 쓰이는 거다. 로버트는 회사 생활의 적응과 어려움을 비품 관리자인 프랜에게 토로한다. 둘은 사내 메신저로 비품 신청 방법을 묻고 답하며 짧은 농담도 한다. 온라인에서 작은 비밀을 공유하던 둘은 오프라인 만남을 이어간다. 차를 마시고 영화를 보고, 가벼운 식사에 이어 데이트, 집들이, 파티까지 함께한다.
자기 영역으로 넘어오고 싶어 문을 두드리는 로버트를 계속 되돌려 보내던 프랜은 그의 본격적인 방문에 스스로 문을 잠가 버린다. 상처받은 로버트는 프랜을 경계하고 밀어낸다. 자기 감정조차 해석하기 버거워했던 프랜은 주말 동안 자신의 마음을 돌아본다.
▲ 영화 <죽고 싶지만 사랑은 하고 싶어> 스틸컷 |
ⓒ (주)디오시네마 |
로버트와 프랜의 관계는 겉으로는 로맨스로 보이지만, 실은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는 순간을 빗댄 것으로 보인다. 자기감정에 솔직한 로버트는 시종일관 과거, 관심사, 취미(영화)를 쏟아내며 상대와 연결 고리를 찾는다. 감정 표현에 서툰 프랜은 로버트의 속도를 따라가기 버겁다. 누군가와 친해지는 법을 잘 모르기에 뭐라고 대답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한다. 컴퓨터 앞에 앉아 본인 업무만 잘하면 되는 일 말고는 고장 난 로봇처럼 삐걱거린다. 결국 프랜은 로버트의 진심을 할퀴는 말을 함 그에게 상처 준다.
주말이 지나고 다시 시작된 월요일. 태어나 처음으로 도넛을 한 박스 사 온 프랜. 사무실은 화기애애하다. 다들 해가 서쪽에서 떴냐며 들뜬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프랜은 로버트를 잠시 불러 미안한 마음을 전한다. 그러면서 처음으로 자기 이야기를 들려준다. 혹여나 실망할까 봐 하지 못했던 두려운 마음을 꺼낸다.
▲ 영화 <죽고 싶지만 사랑은 하고 싶어> 스틸컷 |
ⓒ (주)디오시네마 |
현실적인 사무실과 생활감이 묻어나는 배우들은 일상을 그대로 스크린에 옮겨 온 듯하다. 사무실-집이라는 한정된 공간의 답답함을 부둣가의 전경 등으로 상쇄한다. 시간이 멈춘 것 같은 도시는 오리건주의 항구도시 애스토리아다. 처음에는 영화가 다소 재미없다고 느꼈는데, 며칠 동안 영화의 잔상이 남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영화가 생각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단순히 '사랑'이라는 열정적 감정보다 주변의 온기를 느끼는 작은 '관심'으로 변화가 이어진다. 누군가는 친해지는 데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다. 이런 사람을 충분히 기다려 주는 섬세함이 담긴 기분 좋은 영화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