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後生可畏(후생가외)

2024. 9. 2. 00: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장작이나 연탄을 땔감으로 비축할 때면 어른들은 “후생가외(後生可畏)니라, 연탄이나 장작도 늦게 들여온 놈이 위에 쌓이지 않느냐?”라고 하시며, 늦게 태어난 젊은이가 먼저 태어난 어른을 딛고 위로 올라설 수 있음을 비유로 설명했다. 후배에게 추월당하지 않고 정진할 것을 면려하는 비유였다. 지금은 우리 사회가 워낙 한자를 기피하다 보니 ‘후생가외’라는 말을 사용하기는커녕 뜻을 아는 사람도 거의 없는 것 같다. 깊은 의미가 담긴 좋은 말이니 지금이라도 익혀 사용함이 옳으리라.

後: 뒤 후, 生: 살 생, 畏: 두려울 외. 뒤에 오는 이가 두렵나니. 25x71㎝.

후생가외! ‘시간과 체력이라는 재산을 가진 후생(젊은이)을 두려워하자’라는 뜻이다. 경쟁의 대상으로 여겨 적대시하자는 게 아니라, 젊은이에게 뒤지지 않도록 정진함과 동시에 젊은이를 격려하며 인재가 되기를 축원하자는 의미로 쓰는 말이다. 그런데 ‘무한경쟁 시대’ 운운하면서부터 ‘후생가외’라는 사자성어에서 후생에 대한 격려와 축원의 뜻은 사라지고 불안한 경쟁심만 늘게 된 것 같다. 불행한 시대이다. 아름다운 삶은 ‘베스트(best) 1’을 향한 줄서기가 아니라, ‘온리(only) 1’을 향한 자기완성이다. 정진을 통한 자기완성과 함께 후배에 대한 격려와 축복도 너그럽게 할 수 있는 아름다운 ‘후생가외’를 실천하도록 하자.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