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울가에서 이상한 돌이 나왔다" 신고 확인해보니
[임영열 기자]
▲ 국보로 지정된 신라비석 삼총사. 좌로부터 울진 봉평리 신라비, 포항 냉수리 신라비, 포항 중성리 신라비 |
ⓒ 국가유산청. 국립경주박물관 |
이런 탓에 고대사 일부분은 주변 국가의 역사서에 기댈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실정이며 현재까지도 많은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우리 역사를 폄훼·왜곡하고 심지어는 자기네 것으로 날조하기도 한다.
아직 완벽하게 풀리지 않은 고대 역사를 온전한 우리의 것으로 남기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연구와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 그럴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학계에서는 역설하고 있다. 전적으로 공감한다. 고대사는 곧 우리의 뿌리이기 때문이다.
문서로 남겨진 사료가 부족한 고대사의 경우 당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이 돌이나 금속에 그림이나 글로 남겨 놓은 '금석문(金石文)'은 매우 중요한 1차 사료로 취급된다. 다른 유산에 비해 정확하고 진실하기 때문에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2023년 말 기준 우리나라에는 358점의 국보가 있다. 그중 돌에 새겨진 금석문은 13점이 있다. 이 가운데 신라사람들이 남겨놓은 '비석(碑石)'이 9점을 차지하고 있다. 돌은 다른 재료에 비해 비교적 구하기가 쉽고 내구성이 강해 기록으로 남기기에 최적의 소재였기에 가능했다.
옛 신라 비석 중 역사학자나 고고학자들의 손을 거치지 않고 논과 밭 혹은 도로에서 일하던 농부들이 우연히 발견한 3점의 비석이 있다.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보로 지정됐지만 비교적 최근에 발견됐기에 그리 많이 알려지지 않은 '신라비석 삼총사'를 살펴보자.
▲ 경북 울진군 봉평리 신라비 전시관에 전시 중인 국보 울진 봉평리 신라비 |
ⓒ 국가유산청 |
그리고 두 달이 지나고 같은 해 3월 중순 경 마을 이장 권대선씨는 개울가에 버려진 돌덩어리를 정원석으로 쓰려고 마을옆 공터로 옮겨 놓았다. 그렇게 한동안 방치되었던 돌에 묻은 흙이 빗물에 씻겨 내려가면서 바윗돌에 새겨진 많은 글자들이 드러나게 되었다.
▲ 발견당시 포클레인에 뽑히고 개울가에 던져지는 과정에서 비석 중간쯤의 글자들이 일부 훼손돼 판독할 수 없게 됐다 |
ⓒ 국가유산청 |
발견된 지 10개월이 지난 1988년 11월 국보로 지정된 봉평리 신라비는 높이 204cm, 위폭 32cm, 아래폭 55cm이다. 사다리꼴 형태의 자연석 화강암에 글을 새겼다. 고구려 장수왕 3년(414)에 세운 광개토대왕비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형태는 유사하다.
▲ 경북 울진 봉평리 신라비 전시관 |
ⓒ 울진군청 |
이 비석을 통해 당시 신라의 관등 체계와 국가 중대사를 왕과 6부의 귀족들이 의논해서 결정했다는 것과 신라에 성문법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됐다. 국보 울진 봉평 신라비는 원래 발견되었던 주두원씨 논에서 약 50m 떨어진 신라비 전시관에 전시 중이다.
▲ 국보 포항 냉수리 신라비 |
ⓒ 국가유산청 |
돌은 땅 위로 약 15cm 정도 돌출되어 있어 농사짓기에 거추장스러웠다. 청년은 아버지와 함께 돌을 파내 빨랫돌로 쓰기로 하고 주변을 파기 시작했다. 땅밑을 한참 파내려 가자 높이 약 66cm 너비 74cm 두께 30cm 정도 되는 사다리꼴 모양의 납작한 돌이 드러났다. 빨랫돌로 쓰기에 안성맞춤이었다.
손수레에 실어 집으로 가져와 우물가에서 흙을 털어내고 깨끗이 씻어 보니 빼곡히 적힌 글자가 드러났다. 국보 '포항 냉수리 신라비'가 세상에 드러난 순간이었다. 평소 고고학 분야에 관심이 많았던 청년은 실물 크기 그대로 비석의 명문을 모사해 심재완 영남대 명예교수와 계명대학교 노중국 교수에게 판독을 의뢰했다.
▲ 국보 포항 냉수리 신라비 앞면(좌)과 뒷면(우) |
ⓒ 국가유산청 |
▲ 포항시 신광면 면사무소 내 비각에 전시 중인 포항 냉수리 신라비 |
ⓒ 국가유산청 |
대대로 이곳 진이마촌에 절거리(節居利)라는 인물이 살았다. 절거리는 국가로부터 재산권과 상속권을 인정받았는데 어느 날 촌민인 말추와 사신지라는 사람이 이의를 제기하면서 분쟁이 일어났다.
이에 대해 지증왕과 각부의 귀족들이 합의하여 절거리의 소유권과 상속권을 인정하고 추후라도 말추와 사신지가 트집을 잡으면 중죄로 처벌하겠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6세기초 신라의 변방에서 발생한 민사소송의 판례를 기록으로 남긴 이 비석은 발견된 지 2년이 지난 1991년 국보로 지정됐다. 발견된 곳에서 멀지 않은 포항시 신광면사무소 앞마당 비각에 전시되어 있다.
▲ 국보 포항 중성리 신라비와 탑본. 현존하는 신라비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
ⓒ 국가유산청 |
화분 받침대로 쓰기에 제격이라 생각한 김씨는 집으로 옮기려 했으나 돌이 워낙 크고 무거워 바로 가져갈 수 없었다. 이튿날 돌 밑바닥에 지주목을 받치고 밧줄로 묶은 다음 조금씩 당겨서 겨우 집으로 운반했다. 그리고 돌을 정성스럽게 씻는 김씨의 눈이 반짝였다.
돌에 묻은 흙이 씻겨 나가면서 낙서처럼 새겨진 글씨들이 보였기 때문이다. 뭔가 심상치 않다고 생각한 김씨는 매일신문사에 근무하는 친구에게 제보했다. 신문사와 향토 사학자들이 비석에 새겨진 12행 203자의 비문을 판독한 결과 5~6세기 초에 만들어진 국보급 신라비석으로 추정했다.
▲ 국립경주박물관 신라 역사관에 전시 중인 국보 포항 중성리 신라비 |
ⓒ 국립경주박물관 |
울진 봉평리비, 포항 냉수리비와 함께 '신라 3비'로 불리는 포항 중성리 비석은 논란이 있지만 501년 지증왕 2년에 건립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존하는 신라 비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점이 중성리 비석의 가치를 높였고 포상금 5천만 원은 이를 반영한 것이다. 2015년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되어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 포항 중성리 신라비. 서기 501년 지증왕 2년에 세워진 것으로 보고 있다. 개인 간의 재산다툼을 신라 중앙 정부가 나서서 해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 국가유산청 |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격월간 문화매거진 <대동문화> 144호(2024년 9, 10월)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