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알파룸을 한옥 사랑방처럼 꾸민다면…아름지기의 실험

권근영 2024. 9. 1. 15: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름지기 전시, '방, 스스로 그러한'
최윤성 아름지기 아트디렉터는 왼쪽 벽체에 한식 들창을 냈고, 오른쪽은 휴식과 수납 공간으로 만들었다. 나무로 만든 시스템 행어(가운데)도 좁은 공간 활용의 묘를 보여준다. 사진 (재)아름지기ㆍ그루비주얼

" “알파룸 어떻게 꾸밀까요?” " 집 꾸미기와 관련해 요즘 많이 나오는 질문이다. 알파룸은 신축 아파트 평면 설계에서 남는 내부 자투리 공간. 방으로 쓰기에는 모호한 이 작은 공간은 식재료를 보관하는 창고, 미니 공부방, 홈바 등 거주자들이 취향과 요구에 맞게 변신하며 다 똑같기만 할 것 같은 아파트에 개성을 더하고 있다.

서울 효자로 아름지기의 전시 ‘방(房), 스스로 그러한’에서 맨 처음 만나는 공간은 바로 이 알파룸이다. 최윤성 아름지기 아트디렉터는 한옥의 사랑방에서 알파룸 연출의 실마리를 찾았다. 벽에 들창을 내 좁은 공간에 숨통을 만들고, 알파룸 밖 응접실과 연결되게 했다. 수납장 앞에는 보료에서 응용한 이동식 데이베드를 뒀다. 그는 “한옥 건축의 중첩 미를 현실에 반영할 묘를 들창에서 떠올렸다. 들창을 통해 공간이 겹쳐지면서 깊이감을 주고 풍성해지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경복궁 맞은편 아름지기 사옥 2층에 전시된 박지원의 '의자연(椅子然)'. 사진 (재)아름지기ㆍ그루비주얼


한국적 공간은 정말 현대 생활과 동떨어진 걸까. 우리 의식주를 주제로 매년 가을 전시를 여는 아름지기가 올해 전시 ‘방(房), 스스로 그러한’을 통해 던지는 질문이다. 한국미의 특징을 ‘가공되지 않은 자연스러움’으로 보고, 있는 그대로 삶에 스며든 한국적 공간의 현대적 가능성을 탐구했다. 2014년 ‘소통하는 경계, 문’, 2017년 ‘해를 가리다’, 2020년 ‘바닥, 디디어 오르다’에 이어 벽ㆍ천장ㆍ바닥이 모인 방을 공간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창ㆍ병풍ㆍ한지 등 전통건축의 구조와 소재에서 한국적 미를 담은 인테리어를 제안한다. 김민재ㆍ김찬혁ㆍ박지원ㆍ최원서, 스튜디오 히치, 임태희디자인스튜디오 등 9팀이 참여했다.

한지로 집을 만들어 전시장에 매단 '부드러운 은신처'(임태희디자인스튜디오). 권근영 기자


디자이너 임태희는 한지로 만든 집을 전시장에 매달았다. 좌탁도 창틀도 액자도 모두 한지로 감쌌다. "손가락으로 한지 창호에 구멍을 내자 할머니는 그 자리에 한지를 꽃 모양으로 오려 붙여주셨다. 방학이면 머물던 할머니의 한옥 창호지 너머의 눈부신 아침 햇살도 아직 기억한다"는 그가 가볍고 약하고 부드럽고 유연한 한지로 ‘아늑함’이라는 정서를 시각화했다.

동궐도(1828~30년) 중 창덕궁 중희당 부분, 마당 병풍 취병(翠屛)이 보인다. 사진 고려대박물관


전통문화연구소 온지음 집공방은 한옥 가리개의 유연한 공간분할을 오늘에 가져왔다. 고구려 덕흥리 고분벽화 묘주도에 나오는 삼선병(세 개의 날개를 가진 병풍), 조선 동궐도 속 취병(대나무로 틀을 짜 식물을 심어 쓰는 정원용 병풍), 옛사람들이 야외활동을 할 때 쓰던 삽병(한 폭 병풍을 지지대에 끼워 세우는 가벽) 등이다.

온지음 집공방은 대나무로 틀을 짜 식물을 심어, '동궐도' 속 취병을 재현해 보았다. 권근영 기자


한국적 공간에 맞는 가구도 있다. 온지음 디자인실 이예슬은 고구려 무용총 접객도에서 삼발이(소형 입식 상)를 보고 ‘고구려 왕이 내게 가구를 만들라 명한다면 어떤 소재를 활용할 수 있을까’ 자문했다. 『숙종실록』에 “철보다 가벼운 가죽에 옻칠하면 화살촉과 총알이 뚫고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강력하다”는 기록도 눈길을 끌었다. 궁리의 결과물은 옻칠로 마감한 가죽 상판을 세 개의 금속 다리가 받친 탁자다.

온지음 디자인실 이예슬은 옻칠한 가죽을 상판으로 '삼발이'를 만들었다. 사진 (재)아름지기ㆍ그루비주얼


아름지기 신연균 이사장은 “재료가 지닌 고유한 물성을 존중하고 주변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태도를 통해 만들어진 한국의 미감이 현대 주거 공간에 스며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름지기는 우리 문화유산을 보살피고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알리는 비영리 문화단체다. 전시는 11월 15일까지, 성인 8000원.

권근영 기자 yo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