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는 마르지 않는 물감, AI는 냄새도 꿈꾼다”…아시아 첫 개인전 연 레픽 아나돌

권근영 2024. 8. 28. 14: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촌 '푸투라 서울' 개관전
AI 미디어 아티스트 작품 첫선
"1시간 동안 흘러 나오는 영상은 어느 하나 같은 게 없다"고 레픽 아나돌은 설명했다. AI가 전세계 자연의 데이터에서 학습해 만든 이미지다. 서울 북촌로 푸투라 서울서 다음달 5일부터 열리는 레픽 아나돌 개인전 '대지의 메아리: 살아있는 아카이브'의 대표작 '기계환각'이다. 연합뉴스


층고 10.8m 벽면에 걸린 세 개의 대형 스크린에서 색 입자가 쏟아질 듯 일렁거린다. 좌우 화면에는 때때로 꽃잎이나 산호ㆍ새ㆍ폭포의 이미지가 떠오르며 가운데 추상적인 화면과 대조를 이룬다. “기계가 자연을 꿈꾼다면 어떤 모습일까”, 레픽 아나돌(39)의 신작 ‘기계환각’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이다.

" “오늘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발달된 AI(인공지능) 모델을 볼 겁니다. 자연의 이미지로 소리도 내고, 향기도 내뿜게 됩니다.” " 27일 서울 북촌로 푸투라(FUTURA) 서울, AI 미디어 아티스트 레픽 아나돌의 첫 마디다, 자신의 아시아 첫 개인전 ‘대지의 메아리: 살아있는 아카이브’를 소개하면서다.


“기계가 자연을 꿈꾼다면, 어떤 모습일까”…미술관 들어온 ‘AI 예술’


벽면을 가득 채운 스크린에 아마존ㆍ아프리카ㆍ동남아 등 전 세계 16곳의 우림에서 사진ㆍ소리와 3D 스캔 데이터 등을 수집하는 장면이 흘러갔다. 이어 긴 복도 양쪽 화면에서 10분당 5억 개의 자연 이미지가 쏟아졌다. 레픽 아나돌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생성형 AI 모델인 ‘거대 자연 모델(Large Nature ModelㆍLNM)’을 시각화한 것이다.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능력을 갖춘 인공지능 모델인 '거대 언어 모델(LLM)'처럼 자연의 이미지를 학습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든다는 설명이다. 아나돌은 올 초 다보스 포럼에서 이 LNM을 소개하기도 했다.
AI 미디어 아티스트 레픽 아나돌이 본인의 아시아 첫 개인전에서 '거대 자연 모델(LNM): 개발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월 런던 서펜타인 갤러리에서 연 전시의 한국판이다. 5주 동안 열린 서펜타인 전시에는 7만 명이 몰렸다. 서펜타인 공동 디렉터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는 이날 온라인 메시지를 통해 “예술은 보이지 않는 걸 보이게 하는 작업이라고 한다. 레픽의 작품은 미디어가 문화적 격차를 줄이고 새로운 문화를 열어줄 수 있다고 한 백남준의 비전 떠올리게 한다”고 말했다.

'살아있는 아카이브: LNM'은 긴 전시장 양쪽 벽면을 캔버스 삼아 만든 데이터 터널로 그의 작품이 강조하는 '정보에 둘러싸인 상태'를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연합뉴스


‘기계환각’이 상영되는 마지막 전시실에서 아나돌은 소나무숲을 연상시키는 냄새를 시향해 보이며 “이번 전시에 새로 추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4년째 축적해 온 자연의 향 분자 데이터에서 AI 모델이 수많은 향을 만들었고, 인간인 내가 이번 전시에 맞는 걸 택했다”고 덧붙였다.


기계의 꿈ㆍ환각에 주목…“값비싼 화면보호기” 혹평도


AI 미디어 아트의 스타, 시작은 8살 때 어머니가 빌려온 ‘블레이드 러너’ 비디오였다.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나고 자란 그는 “사촌의 설명을 통해 영화를 겨우 이해했다. 안드로이드에게 ‘네 기억은 실은 다른 사람의 것이야’라고 말하는 장면을 잊지 못한다”고 돌아봤다. 이스탄불에서 시각예술을 전공한 그는 27세에 ‘블레이드 러너’의 배경이 된 미국 LA로 갔다. UCLA에서 미디어 아트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여기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기계 환각(Machine Hallucinations)- LNM: 식물'은 수백만 장의 식물 이미지(오른쪽)을 학습한 AI가 내놓는 이미지다. 사진 레픽 아나돌 스튜디오


”우리의 가장 중요한 데이터인 기억을 어떻게 보존할 수 있을까?“ 2016년 삼촌이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으면서 가진 질문은 뇌 신호를 노이즈 알고리즘으로 변환한 작품 ‘녹아내리는 기억들(Melting Memories)’를 낳았다.

2019년 12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의 '서울라이트'에서 레픽 아나돌이 연출한 미디어 파사드 '서울해몽'. 서울의 역사ㆍ문화와 관련된 600만 개 가량의 SNS 이미지, 3만5000여 점의 과거 이미지를 활용했다. 뉴스1


2018년 LA필하모닉 오케스트라 100주년을 맞아 이곳 디지털 아카이브를 학습한 영상을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월트디즈니 콘서트홀에 투사했다. "건물은 어떤 꿈을 꿀까"라는 질문은 이듬해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외벽 영상 ‘서울해몽’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들른 관객들을 오래도록 로비에 머물게 한 아나돌의 '비지도(Unsupervised)', 200여 년에 걸친 MoMA 소장품 데이터를 학습해 만든 AI 예술이다. 뉴욕=권근영 기자


지난해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소장된 ‘비지도(Unsupervised)’는 AI 예술의 주요 미술관 입성으로 화제를 모았다. ”MoMA의 소장품을 본 기계는 어떤 꿈을 꿀까“라는 주제의 이 머신 러닝 영상 앞에는 화면을 멍하니 응시하는 사람들로 늘 북적였다. 논란도 따랐다. 미술평론가 제리 살츠는 이 작품을 ”50만 달러짜리 화면 보호기“라고 혹평했고, 아나돌은 엑스(Xㆍ옛 트위터)에서 "ChatGPT도 당신보다 글을 잘 쓰겠다"고 맞섰다. 이에 대한 질문에 아나돌은 ”백남준의 작업도 때론 혹평에 부딪혔겠지만 그걸 이해 못한 사람보다 오래 살아남았다. 세계는 클리셰를 넘어 새로운 미디어를 개척하는 사람과 함께 변화해 간다“고 답했다.

서울 여의도 63빙딩 로비에서 매일 상영중인 '희로애락'(2023). 권근영 기자


그의 작품은 63빌딩 로비에서도 볼 수 있다. 전 세계의 불꽃축제 데이터, 한국음악 데이터 등 189만 건을 AI가 분석ㆍ재해석한 ‘희로애락’이다. 그러나 MoMA 소장품 사진 이미지에서 나온 ‘비지도’나 ‘희로애락’, 그리고 자연의 이미지에서 나온 ‘기계 환각’ 모두 겉보기엔 비슷하다. 이에 대해 아나돌은 ”미술사를 보면 모네도, 반 고흐도 고유의 스타일이 있다. 나는 데이터라는 마르지 않는 물감으로 작업한다“고 말했다.

푸투라 서울


합성피혁 제조사인 백산에서 운영하는 푸투라 서울은 다음달 5일 개관한다. ‘프리즈 서울’의 삼청 나이트가 있는 4일 오후 8시에는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가 강연한다. 전시는 9월 5일~12월 8일까지, 입장료 성인 2만2000원.

권근영 기자 yo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