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든 넘어 생긴 제자, 버들공예 명맥 잇는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용인시민신문]
▲ 전통 방식으로 버들공예를 이어가고 있는 김계일씨에게 여든이 넘어서 제자들이 생겼다. 왼쪽부터 신서희, 김계일, 배갑숙씨. |
ⓒ 용인시민신문 |
김계일씨가 키와 동고리를 접한 것은 6.25전쟁 후 처인구 역북동 피난민 수용소에서 생활하던 때였다. 이웃집 중년의 남자가 풀로 무언가 엮는 모습을 보고 호기심에 손을 댔는데, 눈썰미와 손재주가 좋아 중년 남자의 눈에 들어 시작한 것이 버들공예였다.
군에 입대하기 전인 18살 때까지 10년간 키와 동고리를 만들다 군 제대 후 타지에서 목수 등의 생활을 했다. 그러던 김씨는 다시 용인으로 돌아와 숙명처럼 처음 일을 배운 버들 키와 동고리 제작에 몰두했다. 그의 나이 일흔이던 2011년이다.
▲ 전통 방식으로 버들공예를 이어가고 있는 김계일씨. |
ⓒ 용인시민신문 |
김계일씨가 만드는 키와 동고리는 대나무로 만드는 공예품과 달리 고리버들과 참버들을 엮어 만든 버들공예품이다. 특히 전통 방식에 따라 버들로 한땀 한땀 엮어서 만드는 버들 동고리는 김계일씨에 의해 용인에서 그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참버들을 구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은 데다, 사계절 중 봄에만 얻을 수 있는 새순으로 공예품을 만들기까지 손이 많이 가는 특성 때문이다.
갈수록 고리버들 새순 재료를 구하기 쉽지 않은 게 흠이지만, 한국산 키와 동고리 맥이 끊기면 안 된다는 생각에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동고리 제작에 손을 놓지 못하고 있다.
"그만두고 싶은 생각도 있었는데, 그냥 놔두질 않아요. 이걸 해서 꼭 돈을 벌어야겠다는 것보다도 공예품을 찾는 사람들을 외면할 수 있어야지요. 예전에는 4~5개도 만들었는데, 이젠 2~3개 만들고 있어요."
그러던 2023년 초 그에게 희소식이 날아들었다. 고된 작업도 마다하지 않고 버들 공예를 배워보겠다고 나선 제자들이 생겼기 때문이다.
"버들공예를 배우고 싶다며 찾아왔는데, 험한 말을 하며 소위 면접이란 걸 봤는데 얼굴조차 찌푸리지 않더군요. 어찌나 반갑던지, 여든이 넘어서 나타나 아쉽긴 하지만 전통 공예를 배워보겠다고 오는 게 참 대견해요."
뒤늦게나마 민속공예 전통을 잇는 김계일씨를 세상이 알아본 것이다.
하루에 한 개를 만들지, 두 개를 만들 수 있을지 모르지만 만들 수 있는 데까지 하겠다는 김계일씨는 제자들보다 빠른 손놀림으로 동고리를 만들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용인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람 죽인 무덤? 더 이상 억울한 죽음 만들지 말라
- 지방에 삽니다, 서울 빅5병원 경영난을 알아야 하나요?
- '김건희 수심위', 공정성 높이려면 명단 공개하라
- 윤석열 취임 닷새만에 잘린 TF팀장 "딥페이크 고통, 국가 뭐했나"
- 윤석열 '의문의 1패'? 김태효 "대통령, 뉴라이트 의미 정확히 모를 것"
- 살다 보면 올여름이 가장 선선했음을 알게 될 것이다
- [단독] 대통령 관저 '13평' 증축 공사, 드레스룸·사우나였다
- 북한, 240mm 방사포 검수사격... 김정은 참관
- 간호법 반대했던 정부와 국힘... 지금은 찬성, 왜?
- 대구-경북 행정통합 100일만에 무산... 이견 못 좁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