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벌어진 윗-아랫동네… 아파트 26억은 돼야 서울 상위 2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파트값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8월 서울 상위 20% 아파트값은 평균 25억7759만원으로 하위 20% 아파트값(평균 4억8873만원)보다 5.27배 비쌌다.
아파트값 격차가 커진 데는 코로나19 이후 계층 간 소득·자산 양극화, 수도권과 지방 양극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위 20% 5억… 5배 격차 ‘역대 최대’
똘똘한 한 채 선호에 자산도 쏠림
비싼 곳 더 오르고 싼 곳 더 떨어져
아파트값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서울과 지방의 격차가 커지고, 서울 안에서도 ‘똘똘한 한 채’ 선호 심리가 강해지면서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의 차이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주택이 투자 자산이 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가계 순자산 70% 이상이 부동산이다. 커지는 집값 격차는 자산 양극화로 이어진다.
KB국민은행은 27일 월간 주택시장동향 시계열 통계를 바탕으로 8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5분위 배율은 5.27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5분위 배율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 해 상위 20%(5분위)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8월 서울 상위 20% 아파트값은 평균 25억7759만원으로 하위 20% 아파트값(평균 4억8873만원)보다 5.27배 비쌌다.
2008년 12월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2008년 12월 서울 상위 20% 평균 가격은 9억3389만원, 하위 2억3333만원으로 약 4배 차이가 났다. 2024년 8월까지 상위 20% 아파트가 평균 16억4370만원 오를 때, 하위 20%는 평균 2억5540만원 올랐다. 상승 규모는 약 6.4배 차이다.
서울 아파트값 5분위배율은 2017년 상반기까지 줄곧 4배 안팎 수준이었다가 하반기부터 점차 상승하면서 2018년 4월 5.1까지 올랐다. 이후 코로나19 시기 전국적 부동산 광풍으로 저가 아파트까지 동반 상승한 영향 등으로 2021년 7월 4.0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점차 상승하며 이달 5.27까지 벌어졌다.
최근에는 비싼 곳은 더 오르고, 싼 곳은 더 떨어지는 현상이 이어지면서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서울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 1년간 1억6191만원 상승(24억1568만원→25억7759만원)했지만, 하위 20%는 같은 기간 1630만원 떨어졌다.
8월 전국 기준 아파트값 5분위 배율은 10.67로, 이 역시 2008년 12월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다. 전국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4738만원, 하위 20%의 평균 매매가격은 1억1692만원이었다. 수도권도 상위 20%는 16억6546만원, 하위 20%는 2억3274만원으로 5분위 배율은 7.15를 기록하며 2013년 4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아파트값 격차가 커진 데는 코로나19 이후 계층 간 소득·자산 양극화, 수도권과 지방 양극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코로나19 당시 서민·자영업자는 돈을 못 벌었지만 자산가들은 돈을 벌었다. 부의 양극화가 자산 양극화로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또 지방은 아파트값이 빠지고 있는데 수도권은 오르고, 서울도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주요 지역이 오르면서 지역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자산 대부분이 부동산, 특히 아파트에 쏠리기 때문에 아파트값 양극화는 부의 양극화를 나타낸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 가계의 평균 자산(5억2727만원) 중 부동산 자산(4억140만원) 비중은 약 76%에 달했다. 박 수석전문위원은 “주택이 투자 자산이 되면서 아파트값 격차는 더 커졌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위험 미리 알렸다” 美 주간거래 취소 보상 받기 어려워졌다
- “응급실 가려면 전화만 30분”…병상 있어도 의료진 없어 ‘뺑뺑이’
- ‘노무현 명예훼손’ 정진석, 2심 벌금 1200만원으로 감형
- 항공기서 잠든 승객 몰래 수하물 훔친 중국인…추가범행 덜미
- ‘김건희 여사 가방’ 내달 6일 수사심의위… 당일 결론 전망
- 러시아가 준 무서운 선물?… 北, 자폭무인기 새로 공개
- ‘상가의 몰락’… 망해서 나온 경매 매물 11년반만에 최다
- 추석 물가 들썩이는데… 한우·쌀값 폭락할까 걱정
- 이복현 한마디에 요동치는 대출… 은행권 “이제 와 책임 전가”
- 김희영, 위자료 20억 노소영에 입금… “전액 개인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