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명과 퇴계 두 거봉의 닮음과 다름
[김삼웅 기자]
▲ 퇴계 이황 퇴계 이황 1501 ~ 1570 |
ⓒ 김서연 |
정암 조광조(1482~1514), 화담 서경덕(1489~1546), 보우(普雨, 1549~1565), 휴정(休靜, 1520~1604), 토정 이지함(李之函, 1527~1578), 퇴계 이황(1501~1570), 남명 조식, 율곡 이이(1536~1584) 등이다.
▲ 퇴계 이황이 손수 지었으며, 생전 머물며 학동들을 가르쳤다는 도산서당이다. 세로 현판과 이어 넓힌 처마가 독특하고 고유한 건축물이다. |
ⓒ 김현자 |
남명은 연산군 7년 1501년 6월(음) 경남 합천군 삼가면 토동에서 태어나 선조 5년(1572) 음력 2월 산청군 시천면 사륜동에서 돌아가셨다. 퇴계는 같은 해 11월(음) 경상도 안현 온계리에서 태어나 1570년(선조 3) 음력 12월 18일 출생지에서 돌아가셨다. 남명이 퇴계보다 5개월 일찍 태어나 2년 2개월 늦게 돌아가셨다.
이들보다 2세기 늦게 출생한 성호 이익은 두 사람이 차지하던 위생에 대해 언급했다.
단군시대는 원시적이어서 문화가 개척되지 못했고, 천여 년을 지나 기자가 동쪽 지방에 봉합을 받게 되면서 암흑이 걷혀졌으나, 그것도 한강 이남까지는 미치지 못하였다.
9백여 년을 지나 삼한시대에 이르러 이 지역의 경계선이 모두 정해져 삼국의 영토가 정해졌고, 또 천년을 지나 우리 왕조가 창건되면서 문화가 바로 열렸다.
▲ 남명 조식 선생 영정 |
ⓒ 김종신 |
성리학이란 용어는 원래 '성명(性命)·의리지학의 준말'이다. 이 용어의 의미로 짐작할 수 있듯이, 성리학은 심성의 수양을 과거 어느 유학보다도 철저히 하면서, 동시에 규범 법칙 및 자연법칙으로서의 이(理)〈또는 성(性)〉을 깊이 연구하여 그 이의 의미를 완전히 실현하려는 유학중의 하나이다.
한마디로 하여 존심양성(存心養性)과 궁리(窮理)를 지극히 중요시함으로써, 종래의 유학 〈주체 객관 양면을 망라〉을 형이상학적으로 재구성·발전시킨 것이다. (주석 1)
두 사람은 성리학을 공부하였다. 당시에는 이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대부들이 성리학을 배웠고, 성리학은 조선사회의 정학(正學)의 자리에 위치하였다. 퇴계와 남명은 같은 시대의 대표적 성리학자로서 공통점도 많았지만 처세관과 현실인식에서 그리고 학문관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점이 있었다. 퇴계는 출사하여 대사성의 자리에까지 올랐고 남명은 시종 초야에서 처사의 길을 걸었다.
▲ 남명 조식 선생이 태어난 생가(합천군 삼가면 외토리(外吐里) |
ⓒ 김종신 |
출사와 시국관에서 차이가 있었다고 했거니와, 남명이 1564년 퇴계에게 다소 비판적인 편지를 띄웠다. 유생들의 부패타락상에 퇴계의 침묵에 대한 항의였다.
요즘 공부하는 자들을 보건대, 늘 손으로 물 뿌리고 비질하는 정도도 모르면서 입으로는 진리를 담론하여 이름을 훔치고 세상을 속이려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도리어 남에게 상처를 입게 되고, 그 피해가 다른 사람에게까지 미치니, 아마도 선생 같은 장로(長老)께서 꾸짖어 그만 두게 하시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주석 3)
이에 대한 퇴계의 답신이다.
보내주신 글월에 "이름을 훔치고 세상을 속인다"는 말씀은 유독 그대만이 걱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저도 역시 걱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꾸짖고 억제하기를 바란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어째서 그렇겠습니까? 마음 가짐이 본래부터 세상을 속이고 이름을 훔치려고 하는 자는 말할 것도 못 됩니다. 홀로 생각건대, 하늘이 본성을 내려주어 사람들은 모두 선을 좋아합니다. 사람의 영재 가운데서 성심으로 학문을 원하는 사람이 어찌 한이 있겠습니까?(…)내가 하늘과 성인의 문정(門庭)에서 죄를 얻는 것이 이미 심하거늘, 어느 겨를에 다른 사람이 세상을 속이고 이름을 훔치는 것을 걱정하겠습니까? (주석 4)
남명은 이에 대해 회신을 하지 않고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식으로, 자신의 소신을 밝혔다.
(…) 시속이 숭상하는 바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당나귀 가죽에 기린의 모형을 뒤집어씌운 것 같은 고질이 있습니다. 온 세상이 모두 그러해 혹세는 면하는데 급급하고 있으니, 크게 어진 이가 있더라도 구제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는 실로 사문의 종장인 사람이 오로지 상달만 주로하고, 하달을 궁구하지 않아 구제하기 어려운 습속을 이루었기 때문입니다. 일찍이 그와 더불어 처신을 왕복하여 논란을 했지만, 돌아보려 하지 않았습니다. 공은 지금 폐단을 구제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지 않으면 안 됩니다. (주석 5)
주석
1> 윤사순, <한국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189쪽, 우석, 1982.
2> 강정화, 앞의 책, 125~126쪽.
3> <퇴계에게 드림>, <교감국역 남명집>
4> <퇴계전서>, 권 10, <답조전중(答曺傳仲)>.
5> <교감국역 남명집>, <오자강에게 줌>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 진짜 선비 남명 조식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한남동 대통령 관저, 허가 없이 불법 추가 증축 의혹
- '전 국민 건강정보 넘겨라'... 윤석열 정부의 위험한 계획
- 한국에 공범들이 널렸으니 일본 극우는 얼마나 좋을까
- 손흥민과 황희찬의 수모... 그리고 하늘색 리본
- 한동훈 "오염수 방류=청담동 술자리 의혹, 괴담 정치 종식해야"
- '사격' 김예지 선수의 연예 활동을 응원하는 이유
- 쿠팡 과로사 기사에 달린 충격 댓글... 김남주 처방 절실
- 정부 조사에서도 '낙동강 녹조' 더 심해졌다
- 국가명승마저 위험, 윤석열 환경부의 '황당 삽질 계획'
- "윤석열 정부 입틀막, 칼틀막 이어 횡틀막" 인권위 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