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상승에 ‘대출 조이기’ 계속…기준금리 3.5% 동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행 연 3.5%로 유지하기로 22일 결정했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확산하면서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만큼 자칫 섣부른 금리 인하가 부동산·금융 시장 불안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하반기 두 번째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연 3.50%의 기준금리를 조정 없이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불안한 부동산·금융 시장을 고려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성장률은 2.5%→2.4%로 하향 조정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행 연 3.5%로 유지하기로 22일 결정했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확산하면서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만큼 자칫 섣부른 금리 인하가 부동산·금융 시장 불안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하반기 두 번째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연 3.50%의 기준금리를 조정 없이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한은은 2021년 8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하며 통화정책을 긴축기조로 틀었다. 이후 같은 해 11월, 2022년 1·4·5·7·8·10·11월, 지난해 1월까지 0.25~0.5% 포인트씩 인상하며 1년2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3.0% 포인트 올렸다.
급격한 금리 인상 흐름은 지난해 2월 멈췄다. 지난해 2월 기준금리 동결 이후 13차례 동결이 계속되면서 연 3.5%의 기준금리는 이날까지 1년7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다음 금통위가 10월에 예정된 만큼 3.5%의 기준금리는 1년9개월간 이어질 전망이다.
불안한 부동산·금융 시장을 고려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특히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 시중은행이 대출 금리를 인상했음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4일 기준 719조9178억원으로 이달 들어 보름도 지나지 않아 4조1795억원 증가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금통위 개최에 앞서 “최근 금리 결정 요소 가운데 물가의 비중은 줄고 반대로 가계부채, 주택가격의 비중이 훨씬 커졌다”며 “여러 지표상 가계부채와 주택가격이 불안하기 때문에 당장 금리를 낮추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달 금리 동결 결정 직후 “(통화정책 방향 전환 상황은 조성됐지만) 외환시장, 수도권 부동산, 가계부채 등 앞에서 달려오는 위협 요인이 많아 언제 전환할지는 불확실하고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가계부채의 위험성을 언급한 바 있다.
한편 한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4%로 낮췄다. 지난 2분기 성장률이 -0.2%를 기록한 데 이어 3분기 내수지표가 개선되지 않은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한은 전망치는 정부·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6%, 한국개발연구원(KDI)·국제통화기금(IMF)의 2.5%보다 낮은 수준이다. 해외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2.3%)보다는 높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갭투자 사전에 막는다… 신한은행 조건부 전세대출 중단
- “나 죽었다”… 양육비 안주려 사망 기록 위조해 실형
- 살인 의대생 母 “아들, 피해자측 소송 우려에 공포”
- ‘비틀’ 고속도로 오르던 만취여성…퇴근길 경찰이 구조
- “반려견 같이 묻어달라”던 알랭 들롱… 딸 “계속 키울 것”
- [단독] 유명 유튜버, 120억원대 전세사기 혐의로 구속
- ‘등골랜드’ 된 디즈니랜드… 미국 엄빠 45% 빚까지
- 새마을금고 어쩌나… 부실채권 폭탄에 1조원 손실 예상
- ‘2병 2만8000원’ 성시경 막걸리, 판매 첫날 매진
- “수수료 폭탄, 배달은 비싸게 팝니다” 음식점주들 집단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