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영화 만들었는데 일 끊긴 건 처음, 상황 어렵다"

이선필 2024. 8. 21. 11: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획] 천만영화 낙수효과 사실상 제로, 중급영화 기획 개발 또한 어려워져

[이선필 기자]

 영화 <파일럿> 스틸
ⓒ 롯데엔터테인먼트
2024년 상반기 기준 국내 극장가에선 두 편의 천만 관객 돌파 영화가 나왔다. 앞서 1년에 천만 영화 두 편이 나온 사례는 있었지만, 상반기 내에 한국영화 두 편이 모두 천만을 넘은 건 최초다. <파묘>와 <범죄도시4>의 대흥행으로 인한 낙수효과가 있었던 걸까.

여러 관계자들은 천만영화 등장으로 극장에 관객들이 더욱 몰릴 것이라는 낙수효과를 들며 대형 영화 중심의 공격적인 배급을 지지했다. 하지만 한국영화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기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2017년~2019년) 평균 매출액의 약 72% 수준에 그쳤다.

우려스러운 건 두 편의 천만영화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중저예산 한국영화가 모두 손해를 봤다는 점이다. 제작비 100억 원 미만, 손익분기점 200만 관객 규모인 중급 영화 중에서 올해 6월까지 200만을 넘긴 영화는 단 한 편도 없다. 그나마 7월 들어 개봉한 <탈주>와 <파일럿>이 200만 관객과 300만 관객을 넘기며 체면을 살렸다. 두 영화의 순제작비는 각각 80억 원과 60억 원 수준이다. 하반기, 특히 본격적인 여름 성수기를 살짝 피한 배급 전략이 통했다는 분석도 있지만 상반기 천만영화의 낙수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건 분명해 보인다.

양극화 심화 현상, 도대체 왜?

<범죄도시4> 개봉 당시 일일 상영 점유율은 82%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이는 역대 최고 점유율에 해당한다. 평소 같았으면 스크린 독과점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극장 상황과 한국영화산업 침체를 해소할 마중물이 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 또한 존재했다. 하지만, 중저예산 영화 입장에선 스크린을 힘들게 확보해도 개봉 2주 차 이상 유지하기 어려운 환경이었기에 <하이재킹>처럼 수요일 개봉이 아닌 금요일 개봉을 울며 겨자 먹기로 택하는 사례도 나왔다.

이런 이유로 2024년 상반기 평균 관람 요금(객단가, 영화의 전체 매출액을 총 관객수로 나눈 금액. 이 금액을 극장과 제작사가 나눠 갖는다) 또한 3년 만에 1만 원 아래로 떨어졌다. 영진위가 발간한 상반기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평균 관람요금은 9698원이다. 외국영화 및 특수관 영화들의 매출 감소가 주원인이라 분석하고 있지만, 이 또한 천만영화의 낙수효과가 없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앞서 일각에서는 <탈주>와 <파일럿> 사례를 들며 중급영화의 강세를 점치기도 했지만, 업계 분위기는 심상찮다. 과거 CJ ENM 투자배급으로 천만영화 흥행을 경험한 한 제작자는 "25년 영화 일을 하면서 기획 개발이든 촬영이든 계속 일을 붙잡고 있었는데, 이번처럼 일이 딱 끊긴 건 처음"이라며 "중급 예산 영화를 기획하고는 있지만 투자 심사에 올라가는 것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라 귀띔했다.
 영화 <탈주> 스틸컷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실제로 한 대형 투자배급사 관계자 A씨는 "투자를 하고 싶어도 좋은 시나리오 찾는 게 쉽지 않다. 좀 좋다 싶으면 OTT 플랫폼에서 이미 잡은 경우가 많다"며 "지금은 예전처럼 흥행 추이를 예측하기 쉽지 않다. 이런 경우 투자배급사 입장에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라도 더욱 규모가 큰 텐트폴 영화에 집중하게 된다"고 생각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제작단가도 너무 올랐다. 인건비를 줄일 수는 없고, 배우들 출연료도 너무 많이 오른 상태라 이름 있는 배우 두 명 정도 캐스팅하고 로케이션 한 번 다녀오면 제작비 80억 원 정도를 훌쩍 넘긴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투자 관계자 B씨는 "이번 추석도 텐트폴 영화(텐트를 칠 때 세우는 지지대처럼, 한 투자배급사의 라인업에서 가장 흥행 가능성이 높은 영화 - 기자 말)라고 하면 <베테랑2> 한 편밖에 없는데, 그만큼 시장이 양극화된 것은 맞다"며 "콘텐츠의 질로 평가받아야 하는 게 마땅하지만 이런 상황에선 중저예산 영화 같은 경우 전략적으로 강한 영화를 피해 빈집털이하는 식으로 배급한다든가, 마케팅에 힘을 주는 방식으로 가게 된다"고 답했다.

B씨는 "당연히 시나리오가 좋다면 중급 영화 또한 투자하겠지만, 단순히 손익만 계산해서 들어오는 작은 영화의 경우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며 "작은 영화든 큰 영화든 마케팅 비용은 비슷하게 들어가기에 극장만 바라보고 영화를 택하기보다는 해외 판매나 부가판권 등까지 고려해서 투자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당분간 암울한 상황 이어질 것으로 보여
 지난 7월 27일 오후 서울 종로의 한 카페에서 열린 영화산업 위기극복 영화인연대 출범식이 끝난 후 이어진 일일호프에서 출범선언문을 낭독하고 있는 백재호 한국독립영화협회 이사장
ⓒ 성하훈
이런 상황에서 지난 7월 27일 '영화산업 위기극복 영화인연대'(아래 영화인연대)가 공식 발족했다. 영화인연대는 무너진 영화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해 국회 토론회 주최 및 국내 멀티플렉스 극장의 불공정 행위를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하는 등 적극적인 행동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DGK),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PGK),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SGK),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여성영화인모임, 전국독립영화전용관네트워크 등 국내 18개 영화 단체가 참여했다. 영화인연대는 지난 5월 전주국제영화제에서의 포럼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객단가 정상화, 스크린독과점 방지, 영진위 지원사업 복원, 홀드백(극장 상영에서 다른 부가 상영 플랫폼으로 넘어가는 기간) 법제화 등 멀티플렉스와 정부를 향해 적극적인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이 같은 영화인연대의 행동엔 ▲공정하고 객관적인 극장의 수익 배분으로 제작사와 일선 영화인들의 창작 동기를 부여하고 ▲법적으로 특정 영화의 독과점 상영을 막고 ▲극장 상영 기간 자체를 확보함으로써 다양성 확보 및 기본적 기회를 보장한다는 취지가 깔려 있다.

이처럼 영화계에서 여러 목소리가 나오지만, 주요 투자배급사 중에서 내년 및 내후년을 바라보고 중급 영화들에 투자를 확정했다는 소식은 요원하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개봉하지 못했던 영화들이 올해까지 대거 개봉한 가운데, 새 작품들 투자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당장 이번 여름 시즌을 겨냥하고 개봉한 <행복의 나라>와 <빅토리>> 또한 기대 관객수에 훨씬 못 미치면서 손익분기점 돌파가 어려워졌다. 당분간은 한국영화산업 위기론이 거세게 불거질 전망이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