휙휙 넘기는 재미에 중독된 숏츠·틱톡…지루함 더 커지는 이유

임주형 2024. 8. 20. 11: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튜브 쇼츠(숏츠가 표준어이지만 유튜브는 쇼츠로 씀), 틱톡 등 짧은 동영상에 중독되는 원인이 밝혀졌다.

탐 박사는 숏츠 등 짧은 동영상에 중독되는 원인이 인간의 지루함, 집중력과 연관성이 있다고 봤다.

166명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동영상을 건너뛸 수 있는 권한'이 주어졌을 때 건너뛸 수 없을 때보다 더 많은 지루함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상 생략할수록 뇌는 더 강한 지루함 느껴
틱톡 중독 원인, 영상 넘기면 집중력도 약화

유튜브 쇼츠(숏츠가 표준어이지만 유튜브는 쇼츠로 씀), 틱톡 등 짧은 동영상에 중독되는 원인이 밝혀졌다. 핵심은 동영상 콘텐츠 자체가 아닌, 손가락을 움직여 동영상을 '넘기는' 행위에 있었다고 한다.

1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캐나다 토론토 스카버러 대학 소속 케이티 탐 박사의 온라인 콘텐츠 중독 연구 내용을 소개했다. 탐 박사는 숏츠 등 짧은 동영상에 중독되는 원인이 인간의 지루함, 집중력과 연관성이 있다고 봤다.

그는 매체에 "우리가 특정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을 때, 실제 참여하는 정도와 우리가 참여하길 원하는 정도 사이의 갭이 클수록 지루함은 더 커진다"라고 전했다.

무심코 동영상을 넘길수록 인간의 뇌는 더 강한 지루함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출처=픽사베이]

이 원리는 틱톡, 숏츠에도 적용될 수 있다. 틱톡이나 숏츠는 휴대폰 화면에 짧은 동영상이 끊임없이 전환되는 구조로 이뤄졌다. 이용자는 손가락으로 동영상을 넘기며 다른 콘텐츠를 찾을 수도 있다.

손가락으로 동영상 여러 개를 순식간에 뛰어넘을 때 인간은 동영상 보기에 '덜 참여'하게 되며, 이 때문에 지루함이 증가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지루함을 느끼는 뇌는 더욱 흥미로운 영상 찾기에 몰두하게 된다. 이 때문에 숏츠, 틱톡을 검색하며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셈이다.

실제 탐 박사 연구팀은 수백명의 대학생 지원자를 받아 이론을 입증하는 실험에 나서기도 했다. 해당 연구는 '실험 심리학' 저널에 등재됐다.

166명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동영상을 건너뛸 수 있는 권한'이 주어졌을 때 건너뛸 수 없을 때보다 더 많은 지루함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분짜리 영상 한 개를 본 실험 참가자보다 5분짜리 비디오 여러 개를 넘나들 수 있었던 실험 참가자가 더 강한 지루함을 느꼈다고 한다.

다만 연령대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20대 초반)이 아닌 더 넓은 연령대의 참가자를 받아 실험한 결과, 10분짜리 동영상 한 개를 본 그룹과 5분짜리 영상 여러 개를 건너뛴 그룹 사이의 지루함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런 차이점에 대해 탐 박사는 "연령대에 따라 사람들이 동영상을 시청하는 습관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즉, 이미 틱톡이나 쇼츠 등 숏폼 비디오에 익숙한 연령대와 그렇지 않은 연령대의 집중력 차이가 크다는 해석이다. 다만 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선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탐 박사는 "(동영상의) 빨리 감기나 건너뛰기 버튼에 익숙해지기보다는 시간을 들여 집중하는 게 더 중요"하다며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 영상을 생략하지만, 이런 행동은 오히려 실제 지루함을 더 증가시킨다"며 "관객이 영화관에서 몰입하는 것처럼, 온라인 동영상의 재미도 몰입에서 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