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공비축 45만 톤, 30일부터 매입…쌀값 회복할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올해 쌀 공공비축 물량인 45만 톤 매입을 시작하면서 쌀값이 오를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 45만 톤 등 주요 식량작물에 대한 공공비축 매입을 골자로 하는 '2024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19일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 소비 감소에 따라 쌀값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정부 매입과 소비 촉진 운동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가공용 소비를 늘리는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해곤 기자]
정부가 올해 쌀 공공비축 물량인 45만 톤 매입을 시작하면서 쌀값이 오를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 45만 톤 등 주요 식량작물에 대한 공공비축 매입을 골자로 하는 '2024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19일 밝혔다.
공공비축제도는 2005년부터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에서의 감축보조 대상이었던 추곡수매제를 대신해 도입했다. 양곡부족으로 인한 수급불안, 자연재해 등 식량 위기에 대비해 비축하는 제도로, 도입 이후 35만 톤 내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2년부터는 식량안보와 가루쌀 산업 활성화를 위해 규모가 확대됐다.
올해 매입 물량은 2024년산 40만 톤, 2023년산 5만 톤 등 45만 톤이다. 가루쌀 4만 톤과 친환경쌀 1만 톤도 포함된다. 매입가격은 수확기(10~12월) 산지쌀값을 조곡(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결정한다. 매입 직후에 농가에 중간정산금으로 포대(40㎏ 조곡 기준)당 3만 원을 지급한다.
매입품종은 다수확 품종을 제외하고 삼광, 새청무, 일품 등 각 시군에서 사전에 예시한 2개 품종(전북 3개)으로 하고, 지정된 품종 이외의 품종으로 공공비축미를 출하하면 5년간 공공비축미로 출하할 수 없게 된다.
매입기간은 산물벼(수확 후 건조하지 않은 벼)는 30일부터 11월 30일까지, 포대벼(수확 후 건조·포장한 벼)는 10월 10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다.
공공비축 시작에 따라 최근 떨어진 쌀값이 오를 것인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쌀 80㎏ 산지 사격은 17만8476원으로 전년 대비 약 7%가 떨어졌다. 올해 초 20만 원선은 물론 이른바 마지노선으로 불리는 18만 원도 깨진 상황이다.
특히 농산물 수확이 없어 공급량이 적은 단경기(7~9월)지만 쌀값이 오히려 떨어지고 있어 농업계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쌀값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소비 감소다.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지난해 평균 56.4㎏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육류 소비량은 60.6㎏으로 오히려 쌀 소비량을 넘어섰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40만 톤의 공공비축 외 해외 원조 물량 10만 톤을 더 사들이기도 했다. 올해도 지난해 생산 쌀 5만 톤을 추가로 매입한다는 계획이다. 농협도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10만 톤 규모의 소비 촉진 대책을 추진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 소비 감소에 따라 쌀값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정부 매입과 소비 촉진 운동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가공용 소비를 늘리는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해곤기자 pinvol1973@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