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들, 전시장에 펼쳤다”…서도호의 '머릿속'은?

권근영 2024. 8. 18. 14: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런던에 설치했던 '연결하는 집(Bridging Home)'의 1/125 축소 모형 앞에 선 서도호. 사진 아트선재센터


" ‘내가 사는 집을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다면? 집(home)은 장소가 바뀌어도 여전히 같은 집일까? 지구 반대편에 있는 도시들을 국경 없이 연결할 수는 없을까?’ " 아이가 이런 질문을 한다면 십중팔구는 쓸데없는 공상이라 일축할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서도호(62)의 이같은 상상은 ‘서울 집/ LA 집/ 뉴욕 집/ 볼티모어 집/ 런던 집/ 시애틀 집/ LA 집’(1999)으로 실현됐다. 유년기를 보낸 성북동 한옥 모습 그대로 옥색 천에 바느질해 만든 이 집은 척척 접어 세계 각지에서 전시되며 이름을 알렸다.

서도호의 '비밀의 정원'(2012)은 미국의 18t 트럭 위에 서울의 한옥과 정원수까지 그대로 옮겨 싣고 이동한다는 상상을 시각화한 모형이다. '한국의 자생식물이 미국에 잘 뿌리내릴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30년 넘게 이민자로 살아온 자기 자신을 서울집 정원수에 투영한 것 같다. 뉴스1


서도호 개인전 ‘스페큘레이션스(Speculations)’는 바로 이 경계 없는 상상을 서울 율곡로 아트선재센터 3개층 전체에 펼쳐 놓았다. 우리말로 사변ㆍ사색을 뜻하는 전시 제목에 대해 작가는 “만약에(What if)라고 상정하고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진행되는 작업 과정에 붙인 이름”이라고 설명했다. 21년 전 국내 첫 개인전을 열었던 곳으로의 ‘홈 커밍’ 전시다. 리움미술관(2012), 도쿄 모리미술관(2015), 뉴욕 휘트니 미술관(2017, 2001), 워싱턴 D.C. 스미소니언박물관(2018) 등 국내외 주요 전시공간에서 개인전을 연 그가 돌고 돌아 출발점에 섰다.

서도호 작품의 또다른 주인공은 서울서 살던 한옥. 살던 집이 물에 뜬 채로 이동해 물가에 안착한 상상을 모형으로 담았다. 서울 율곡로 아트선재센터 '서도호: 스페큘레이션스' 전시 장면. 뉴스1


이번 전시엔 ‘서도호’ 하면 떠오르는 천으로 된 집은 없다. 16일 아트선재센터에서 만난 그는 “천 작업이 나를 대표하는 것처럼 됐지만, 실은 빙산의 일각”이라며 “전시된 ‘스페큘레이션’ 작업이 내 머릿속을 꽉 채우고 있다”고 말했다. 서도호는 미국에 유학하던 1991년부터 쭉 같은 규격의 스케치북에 생각나는 대로 그리고 기록해 왔다. 2003년부터는 여기 담긴 아이디어를 하나둘 시각화하기 시작했다. 전시는 제한 없는 상상을 담은 스케치북 드로잉과 영상ㆍ모형이 중심이다. ‘가장 작은 집’인 옷부터 개인이 세상과 만나는 ‘집’, 개인과 공동체 등 서도호가 품어온 질문의 원형들이다.

" “진짜 핵심은 ‘생각하는 것’입니다. 간혹 물화(物化)와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배보다 배꼽이 커지지만, 그게 수단이지 목적은 아닙니다.” " 과거 성북동 한옥 스튜디오를 방문했을 때, 서도호가 강조한 바다. 천으로 된 집의 반투명한 아름다움, 본인의 작업실 책상 위까지 그대로 재현해 낸 모형 집의 디테일이 눈길을 끌지만 본질은 그 안에 담긴 생각이라는 얘기다.

미국 UC센디에이고 공대 옥상 끄트머리에 설치된 서도호의 '별똥별'의 1/23 축소 모형을 관객이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시된 ‘생각들’의 3분의 1 정도는 이미 실현됐다. 2010년 리버풀 비엔날레에서 영국의 좁은 두 건물 사이에 비스듬히 끼어 있던 한옥이, 미국 UC 샌디에이고 공대 건물 옥상 끄트머리에 아슬아슬하게 걸린 오두막, ‘별똥별’(2011)이 그렇다. ‘나만의 공간’에 예민한 작가의 관심은 국적을 불문하고 갈수록 자기만의 공간을 갖기 어려운 도시인들의 공감을 얻었다.

'별똥별'(1/23)은 오두막 앞 정원까지 섬세하게 되살렸다. 2011년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UCSD)에 실물 크기로 설치한 이 작품은 지금도 관람객들이 실내에 들어가볼 수 있다. 사진 리만머핀


"처음에 그릴 때는 전혀 이루어질 수 없겠다 여겼는데, 그걸 모형이나 애니메이션 등으로 시각화 하다 보니 실현할 기회가 오더라"고 그는 돌아봤다. 1998년 구상한 ‘공인들’은 지난 4월 워싱턴 D.C. 스미스소니언 국립아시아미술관 정원에 설치됐다. 300여 명의 작은 사람들이 텅 빈 좌대를 받치고 있는 조각이다. 한 명의 위인보다는 이름 없는 다수에 눈길을 준 이 조각의 원래 구상은 키네틱 조각. 사람들이 좌대를 이동시키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는 조각 ‘공인들’(2024)이 전시장에 처음 공개됐다.

1998년부터 구상해 온 조각 '공인들'의 키네틱 버전도 공개됐다. 1/6 축소 모형으로, 사람들이 빈 좌대를 분주히 움직이는 형태다. 연합뉴스


서도호의 요즘 질문은 "당신을 위한 완벽한 집은 어디 있을까?" 과거 살았던 서울ㆍ뉴욕, 그리고 지금 사는 런던까지 세 도시를 이은 가운데 지점인 북극 보퍼트해 인근에 ‘완벽한 집’을 짓겠다는 상상이다. 걸어서 갈 수 있는 다리를 만들고, 그 위에 대관람차를 세워 성북동 손칼국수 같은 자기만의 추억의 식당을 들이는 식이다. 이를 위해 코오롱스포츠와 혹한에 견딜 구명복을 디자인하고, 건축가ㆍ인류학자ㆍ생물학자ㆍ철학자 등과 협업한다.


그는 "종착역이나 목적지를 생각하지 않는 작업이다. 천축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을 풀어낸 ‘서유기’를 읽듯, 걸어서 그곳까지 가다가 만나는 환경문제, 해류와 유빙(流氷), 공해 상에 집을 짓고 새로운 나라를 선포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까지 함께 공부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24분 짜리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한 '다리 프로젝트'(2024)의 한 장면. 북극해상에 지은 집으로 향하는 다리 위에 작가의 추억이 담긴 식당들을 모아둔 대관람차도 있다. 사진 리만머핀


‘서유기’를 두고 허무맹랑하다는 이 없듯 예술가적 상상력이 있기에 가능한 프로젝트였다. 작가도, 협업하는 각계 전문가들도, 이를 지켜보는 관객들도 성장하고 변화하며 다른 생각, 다른 세계, 다른 삶을 생각해보자는 거다. 그 과정에서 나온 것들을 세계 어디선가 서도호의 신작으로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는 내년 5월 런던 테이트 모던에서 개인전을 앞두고 있다.

'완벽한 집 S.O.S(Smallest Occupiable Shelter, 한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가장 작은 대피소)' 앞에 선 서도호. 북극해 위에 '완벽한 집'을 짓는다는 상상 속에 혹한에서도 견딜 수 있는 '최소한의 집'을 코오롱스포츠와 함께 디자인했다. 사진 아트선재센터


2003년 아트선재센터에서 연 개인전에서 그는 고등학교 같은 반 60명의 교복을 본떠 만든 ‘유니폼’(1997), 군대 야전용 상의에 군 인식표 10만 개를 비늘처럼 엮어 하나의 갑옷으로 만든 ‘썸/원(Some/One, 2001)‘ 등을 내놓으며 한국 사회의 집단주의에 질문을 던졌다. 목적도 계획도 없이 출발한 것 같은 생각들이 30년 가까이 다듬어지며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작품으로 구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번 전시는 결과 중심의 이 사회에 어떤 질문을 던질까. ’서도호: 스페큘레이션스‘는 11월 3일까지, 성인 1만원.

권근영 기자 yo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