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준 시인 제6회 조태일문학상 수상

박병희 2024. 8. 18. 13: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석준 시인의 시집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니(푸른사상)'가 '제6회 조태일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수상작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니'는 한국 민주화 과정을 거치며 갖은 고통을 겪었던 한 개인의 가족사를 비롯해 음울한 도시의 풍경과 소시민의 삶이 형상화돼 있다. 시대적 수난 속에서 온몸에 새긴 삶의 감각과 절망의 노래에서 시인의 강인한 삶의 의지와 응전 의식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음울한 세계를 담는 음울한 가락, 한껏 늘어져 있는 거친 어조들이 이 시대의 정신을 촉구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박석준 시인은 1958년 광주 출생으로 형들이 남민전 사건에 관련돼 1983년 안기부에 각서를 쓰고 교사가 됐다. 1989년 전교조 결성을 위해 해직을 선택했다가 1994년 복직했으며 시집 '카페, 가난한 비'로 2008년 등단했다. 자서전 '내 시절 속에 살아 있는 사람들'과 시집 '카페, 가난한 비' '거짓 시, 쇼윈도 세상에서' '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를 발간했다.

박석준 시인

심사위원회는 "박석준에게 '시'는 '삶의 현장'과 동의어다. 가난하고 병약하고 상처투성이인 세계는 수식되지 않은 직설로 가득하다. 사건을 대상화하지도 않고 함부로 은유를 작동하지도 않는다. 존재의 굴곡 자체인 사건들로 울퉁불퉁한 그의 현장들은 우리에게 내던지는 질문과 동시에 진솔한 응답으로 뾰족뾰족하다. '의지'와 '표상'이라는 철학적 어휘는 그의 일상에서 갱도, 지하 수백 미터 아래에서 다시 수 킬로 갱도를 파고 들어가는 시커먼 손톱을 닮아있다. 음울한 세계를 담는 음울한 가락, 한껏 늘어져 있는 이 거친 어조들을 밀고 가는 정직한 슬픔이야말로 신자유주의의 감옥 속에서 사는 우리를 다시 깨어나게 만드는 절망의 힘이니, 시가 가진 책무를 다시 돌아보게 만들었다"라고 평했다.

예심에는 문동만(시인), 박소란(시인), 정민구(문학평론가), 본심에는 김사인(시인), 김수우(시인), 김형수(시인ㆍ문학평론가)가 참여했다.

박석준 시인은 "나는 예순 살에 교사 일을 떠났다. 그러고는 시 형식의 글을 써갔고, 예순다섯 살이 되었는데 10월8일이 막 지나고 낮 공원에, 가을바람 불고 아침 비 내려서 떨어진 비에 젖은 나뭇잎이 나에게 제갈량을 생각게 하고 두 생각에 잠기게 했다. '꽃나무가 주는 자극보다는 나는 사람이 살아가는 모습에 더 짙은 마음을 쏟겠다'라는. '하지만 세상살이 사람살이에서 나는 비애일지라도 현장에서 사라질 때까지 섬세하고 신중하게 살아가겠다'라는. 병상에서 수상 소식을 듣고, 가슴속에서 말로 형용하기 어려운 새로운 것들이 흐르는 기분이 가득했다. 그러곤 조금 시간이 지나자 이게 꿈인가? 현실인가? 어리둥절했다. 막냇동생을 포함하여 나를 뒷바라지한 사람들과 문학적 지향을 굳게 해주신, 또 많은 가르침과 도움을 주신 문인들께 감사를 올린다"라는 수상소감을 전했다.

조태일문학상은 죽형조태일시인기념사업회와 곡성군이 주최하며 최근 2년 이내에 발간한 시집을 심사 대상으로 한다. 지난 5월1일~6월30일 공모 결과 143권이 접수됐으며,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2000만원이 수여된다. 조태일 시인의 대표 시 '국토서시'를 새긴 고(故) 정병례 전각가의 전각 작품을 부상으로 시상한다. 시상식은 오는 10월19일 오후 3시 곡성조태일시문학기념관에서 열린다.

조태일문학상은 불의에 맞서 서슬 퍼런 언어로 정치모순과 사회현실에 온몸으로 저항했던 시인이자 자연과의 교감을 빼어난 서정시로 보여준 죽형(竹兄) 조태일 시인(1941~1999)의 삶과 시 세계를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조태일 시인은 곡성 태안사에서 대처승의 7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고, 광주서중, 광주고, 경희대를 졸업했다. 196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돼 문단에 나왔고, 시집 '아침선박' '식칼론' '국토' '자유가 시인더러' '산속에서 꽃속에서' '풀꽃은 꺾이지 않는다' '혼자 타오르고 있었네' 등을 펴냈다. 1969년 '시인'지를 창간해 김지하, 양성우, 김준태, 박남준 시인 등을 발굴했다. 1980년 신군부가 계엄령 전국 확대에 앞서 감금한 예비 검속자에 포함돼 수감생활을 하는 등 표현의 자유와 민주화를 위해 앞장선 대표적인 민족·민중시인이다. 1989년부터 광주대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1999년 9월7일 간암으로 작고했다. 편운문학상, 만해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보관문화훈장이 추서됐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