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이한 시설로 납치된 다섯 아이들, 이런 공포는 처음
[최해린 기자]
*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포 영화를 그렇게 즐겨 보는 편은 아니었다. 아니, 공포 영화는 기피하는 편이었다. 누군가가 같이 보자고 하면 마지못해 보곤 했지만, 귀신과 초자연적 현상, 그리고 관객을 깜짝 놀라게 하는 점프 스캐어(jump scare)에 두 시간 내내 시달리고 나면 이런 질문을 던지게 되기 마련이었다.
"도대체 호러 영화는 왜 보는 거야?"
그러던 나는 어느덧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공포 영화를 찾아보는 사람이 되었다. 살인 양육 로봇이 등장하는 영화 <메간>을 보면서 돌봄에 대한 주제 의식을 읽어내기도 하고, 여성의 신체 자기 결정권을 다룬 두 수녀 영화 <오멘: 저주의 시작>과 <이매큘레이트>를 비교 분석하기도 한다.
▲ 영화 <뉴 뮤턴트> 포스터 |
ⓒ 이십세기스튜디오 |
<뉴 뮤턴트>가 내 마음을 사로잡은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호러와 나 사이를 가로막던 마음의 벽이 왜 높아졌는지 설명하는 게 맞아 보인다.
호러는 본질적으로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공포를 이용하는 장르이다. 그렇기에 호러 영화의 '악역'은 평균적인 관객의 모습과 지나치게 다른 인물이다. 공감 가능한 사연을 가진 살인마 대신 '사이코패스' 캐릭터를 내세우고, 귀신을 비롯한 초자연적 현상을 가져온다.
하지만 이러한 호러의 특성은 귀신을 넘어서, 타자에 대한 혐오를 원동력으로 삼아 온다는 비판도 받아 왔다. 일례로 우주적 공포를 다룬 '코즈믹 호러'의 대표적 저자인 H.P. 러브크래프트는 당대 기준으로도 엄청난 인종주의자였는데, 그의 작품을 보면 '사악한 마술'을 부리는, '인간이 아닌' 비백인 인종에 대한 극심한 공포심이 눈에 띄게 자주 등장한다. 타 인종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도 없이 그들을 '무서운' 존재로 전락시켜 버린 것이다.
꼭 인종주의가 아니더라도, 최근의 호러 영화 역시 '다른 신체'에 대한 두려움을 부각한 것은 마찬가지다. 2019년 영화 <닥터 슬립>은 욕조에서 나오는 '노인 여성의 나신'을 그 자체로 공포 요소로 사용했고, 이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영화가 '화상을 입은 몸'이나 '뒤틀린 신체'를 공포의 대상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뉴 뮤턴트>는 다름이 무서운 것이 아니라, '다름을 탄압하는 사회'가 오히려 무서운 존재라는 점을 부각한다. 주인공 대니를 비롯한 아이들은 전부 선천적으로 어떠한 능력을 타고난 '돌연변이'들이다. 돌연변이 능력을 통해 누군가를 다치게 한 경험이 있던 아이들은 시설에 감금되어 불필요한 교정 치료를 받게 되고, 자신의 능력을 억제하는 법을 계속해서 배운다. 하지만 소리소문없이 나타난 괴생명체가 그들을 위협하자 아이들은 능력을 이용해 맞서 싸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뜬금없어 보였던 괴생명체의 정체가 '아이들 내면의 트라우마가 구현된 것'이라는 사실이 드러나게 된다.
'엑스맨' 시리즈가 돌연변이를 통해 성소수자·장애인 등 현실 세계에서 소외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해 왔던 것을 감안하면, <뉴 뮤턴트>의 이러한 설정 역시 다분히 의도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뉴 뮤턴트>는 그동안의 호러 영화에서 가해자 취급을 받아 오던 '다른' 존재들의 지위를 회복시킨다. '괴물'이라 일컬어지던 그들은 단지 오해받고 따돌림당해 왔던 것이라는 사실을 상기시켜 주는 것이다.
'갑툭튀'에 의존하지 않은, 뚜렷한 영화사적 계보
하지만 주제 의식 외에도, <뉴 뮤턴트>가 나를 끌어들인 방법은 다양했다. 약간의 고조된 긴장감 속에서 무언가가 '확' 튀어나와 관객들을 겁먹게 만드는, 소위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오다'의 준말)' 장면은 여러 호러 영화에서 남용되어 왔다. 그 방법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완성도가 부족한 작품들이 이를 무마하기 위해 과도하게 사용하다 보니 오히려 식상해진 면이 있다.
▲ 리사와 일리야나 영화 <처음 만나는 자유>, <뉴 뮤턴트> 스틸컷 |
ⓒ 콜럼비아픽처스, 이십세기스튜디오 |
그러면서도 <뉴 뮤턴트>는 자신이 오마주하는 작품의 핵심 역시 놓치지 않았다. <처음 만나는 자유>에서 위노나 라이더의 '수잔나'와 안젤리나 졸리의 '리사'는 서로를 싫어하다가도 동성 연인과 비슷한 관계로 발전하는데, <뉴 뮤턴트> 역시 주인공 대니와 늑대인간 아이 '레인'이 동성 연인이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타인으로부터 오해받던 두 인물이 서로를 통해 진정한 안식처를 찾은, 성애적 순간인 동시에 '퀴어 연대'인 순간을 제대로 재창조해 낸 것이다.
▲ 영화 <뉴 뮤턴트> 스틸컷 |
ⓒ 이십세기스튜디오 |
대부분의 공포 영화에는 '파이널 걸(Final Girl, 최후의 소녀)'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주인공들이 거침없이 죽어 나가는 호러 영화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여성 주인공을 지칭하는 말이다. 관객들은 호러 영화를 볼 때마다 '파이널 걸'이 누가 될지, 그리고 그 파이널 걸이 살아남게 될지를 궁금해하며 영화관으로 향한다.
▲ 영화 <뉴 뮤턴트> 스틸컷 |
ⓒ 이십세기스튜디오 |
<뉴 뮤턴트>는 어떤 측면에서 보아도 전형적인 공포 영화는 아니었다. 초능력을 쓰는 인물들이 난무하는 슈퍼히어로 영화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했고, '공포' 그 자체보다는 '공포를 극복하는 연대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영화를 보고 난 관객의 마음에 참담함보다는 희망을 심어 주고자 노력한 흔적이 돋보인다.
하지만 그렇기에 <뉴 뮤턴트>가 나를 호러 영화의 세계로 더 확실히 끌어들일 수 있지 않았나 싶다. 이 영화는 확실히 말한다. '포용적 공포'는 가능하다고, 오싹한 동시에 사회적일 수 있으며, 무시무시한 동시에 따스할 수 있다고. 2021년에 <뉴 뮤턴트>를 보게 된 이후로, 나는 오랫동안 품었던 의문에 대한 나만의 답을 찾을 수 있었다.
만약 다른 누군가가 "도대체 호러 영화는 왜 보는 거야?"하고 묻는다면, "호러가 담고 있는 인간성이 좋아서 보는 거야"라고 답할 수 있지 않을까.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호사카 유지 "윤석열 정부 친일 논란, 일본 극우의 마지막 기회"
- "동대구역에 박정희 동상 대신 독립운동가 박석 만들자"
- 친일파 독재자가 사법 살인한 8명... 이 '보통의 존재'들
- 사람들이 여전히 보이스피싱에 '낚이는' 이유, 뭐냐면
- 마흔 줄 접어든 그녀의 사생활, 주말극 안 부럽다
- 김홍걸 "돈 챙기려 매각한 거 아냐... '김대중 사저'는 민간 기념관으로"
- 내 취미는 발레... 거울보기가 제일 힘들어요
- 한미일 캠드 데이비드 1주년 성명 "3국 협력 필수불가결"
- "사도광산, 조선인 명부 공개' 요구한 국회의원 활동, 일본 여러 언론 보도"
- 아리셀 희망버스 "유족과 온몸으로 함께 싸워나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