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에 새긴 "일본 망해라", 누가 썼을까 [복작복작 순창 사람들]
[최육상 기자]
▲ 암벽에 새겨진 '망일대'-일본이 망하길 바란다 |
ⓒ 최육상 |
'망'자는 '망할 망(亡)'자는 아니지만 일제식민지 단속을 피하기 위해 같은 의미의 망(兦)자를 새겨넣은 것으로 "일본이 망하길 바란다"는 의미다. '망일대'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오른쪽 아래에는 '大韓老人(대한노인)', 왼쪽 아래에는 '자 용원, 두, 덕, 장, 근, 한'이라는 자손 이름이 새겨져 있다.
'망일대'에 오르는 길
'망일대'를 연구하며 '쌍치면 항일유적지 망일대(兦日坮) 소고(小考)'라는 논문을 집필하기도 한 정현창 문화재학 박사 등을 지난 11일 일요일 오전 7시 무렵 순창군 순창읍에서 만나 쌍치면 망일대로 향했다.
순창군 쌍치면과 정읍시 산내면 접경 지역 55번 국도 옆에 차를 세웠다. 망일대 글자가 새겨진 암벽은 도로에서 보였지만, 암벽으로 향하는 길은 어디에도 없었다.
▲ '망일대'가 새겨진 암벽 앞까지 가기 위해서는 아무도 관리하지 않아 우거진 수풀을 헤치며 길을 내야 했다. |
ⓒ 최육상 |
김영태는 철종 7년(1856년) 9월 17일 출생해 일제강점기인 1936년 이승의 삶을 마쳤다. 김영태는 쌍치면 국사봉 남쪽 매봉(鷹峯) 수절(數節) 아래에 영원히 누워서도 일본이 있는 동남쪽을 바라보며 일본이 망하기를 빌었다.
이날 정 박사와는 2022년 6월 이후 두 번째 만남이었다. 첫 만남에서 정 박사와 동행했던 김인중(김영태 증손자)씨도 함께 자리했다.
정 박사는 "2021년인가 선배님(김인중)이 '망일대' 이야기를 꺼내셔서 어렵게 현장을 찾아내 암벽에 새겨진 한자들을 확인했다"면서 "자료를 찾아보니까 다행히 기록이 남아 있어서 연구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3년 전에도 어렵게 암벽에 올랐었는데, 아무도 관리를 하지 않으니까 이렇게 수풀이 우거져 방치돼 있다"면서 "전북 순창군에서 문화유산으로 지정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정자는 없어지고 글자만 남아
정 박사가 확인한 자료에 의하면, 암벽에 남아 있는 망일대는 사실 누정 이름이었다. 현재 정자(亭子) 망일대는 없어지고 망일대 글자만 남아 있다. <호남지> 순창군 누정조에 '대한노인 김영태'의 망일대가 수록되어 있다. 1932년 순창 유림들이 호남지간소에 보낸 '통문' 등 여러 자료에도 '망일대'를 세웠음을 기록하고 있다.
망일대 정자를 세운 시기는 경술국치(1910) 후에 낙향하였고, <숙부인진주강씨묘갈명>(1926)의 기록에 망일대가 있는 것으로 보아 1911~1925년 사이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 박사는 논문에서 김영태의 행적에 대한 객관적인 중요한 사료들을 설명했다.
"<호남지> 충의조에 '정미년 사실'과 '병오창의 사실' 등 '왜적을 물리치려다 이루지 못하였다'라는 구체적인 사실이 있는데, 전라도의 신중한 검증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정미년(1907) 고종 강제 퇴위와 관련하여 아마 '13도 창의병' 의거에도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망일대’(파란상자)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오른쪽 아래(초록상자)에는 ‘大韓老人(대한노인)’, 왼쪽 아래(빨간상자)에는 ‘자 용원, 두, 덕, 장, 근, 한’이라는 자손 이름이 새겨져 있다. |
ⓒ 최육상 |
3대가 견딘 가혹한 일제강점기
1900년대를 전후한 대한제국 시기는 나라가 무너져 가는 역사의 현장이었다. 이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 대한노인 김영태와 아들 김봉수, 손자 김용원은 쌍치면에서 그 가혹한 일제강점기의 세월을 견뎌냈다.
▲ '광산김씨 족보'에서 확인한 영태, 망일대, 용원 기록. |
ⓒ 최육상 |
나라는 없어지고 이 몸만 늙어가네
일편단심 붉은 마음 속이기 어려워라
흰구름 물 위에 비추어 흘러만 가네
낚시질만 일삼는다고 그 누가 말라 하랴.
(國破人當老/難欺一片心/白雲流水上/釣字有誰禁)
일본 땅 향해 새긴 우국충정의 마음
정 박사는 답사 현장에서 일행에게 "망일대 글자가 새겨진 암벽은 정확히 일본땅을 바라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나침반을 확인하니 암벽이 바라보는 곳은 정동남 방향으로 일본이 맞았다. 정 박사는 논문에서 대한노인 김영태가 살던 시대 상황을 이렇게 전했다.
▲ 전남 화순에서 순창을 찾은 정현창 박사 일행과 순창군 순창읍, 쌍치면에서 합류한 순창군민 8명 중에서 다수는 육십이 넘은 나이였다. 쌍치면 쌍구정 앞에서 정현창 박사가 관련 역사를 설명하고 있다. |
ⓒ 최육상 |
정 박사는 끝으로 "현재 김영태 선생의 자료를 계속 모으고 있다"면서 "순창군도 순창 지역에서 독립 유공에 헌신하신 분들을 한 분이라도 더 찾아내 순국선열의 피맺힌 혼을 달래드리는 일을 계속 진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자랑스러운 역사문화유산을 후손에게 올바르게 전해서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열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기차 배터리만 위기일까... 위험한 윤 정부의 자화자찬
- "김 국장 죽음 조사해야...한국 부패 선진국 될 수도"
- 일제 찬양 글 무더기 발견, 그래도 전집 낸다는 대전문화재단
- 광복절 홍준표 시구 왜 논란? 이 사진 보면 알 수 있다
- [이충재 칼럼] 윤석열 대통령, 왕이 되려는가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자유부대
- 마약 공범 세명이 "세관 직원" 말하고, 두명은 같은 인물 찍었다
- "김형석 강행? 한쪽은 끝장 날 것... 국민 못 이긴다"
- '혹시 우리 아파트도?' 전기차 화재 공포에 '지하 주차금지' 확산
- "협의 못 할 것 없다" 한동훈에 공 던진 박찬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