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럿'과 180도 다른 조정석, 관객 반응이 궁금하다

장혜령 2024. 8. 13. 10: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뷰] 영화 <행복의 나라>

[장혜령 기자]

 영화 <행복의 나라> 스틸컷
ⓒ (주)NEW
<행복의 나라>는 1979년 10월 26일, 상관의 명령에 따랐지만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박태주(이선균)'와 그의 변호를 맡으며 대한민국 최악의 정치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조정석)'의 피 끓은 울분을 그린 영화다. 1979년 10. 26 대통령 암살 사건과 12.12 사태 사이를 다룬 실화답게 두 사건을 잇는 다리 같은 영화다.

실존 인물이 대거 등장하지만 특정인을 가리키기보다는 시대의 야만성을 이미지화하는 데 중점 뒀다. 다시 말해 거시적인 사건을 재현하는 데만 치중하지 않고 미시적인 사건에 초점을 맞췄다.

알려지지 않던 실존 인물을 세상에 꺼내다

실존 인물 박흥주 대령을 중심으로 가상의 인물 정인후와 변호인단을 꾸려 시대의 아픔에 희생된 개인을 현미경처럼 들여다본다. 앞선 영화와 같은 시점이지만 누구를 중심으로 삼는지 스타일이 다르다. 그 시대의 법정을 그대로 복사한 듯 세심하게 재현한 법정도 눈여겨봐야 할 지점이다.

박흥주는 강직하고 유능해 참모총장까지 할 만한 뛰어난 인물이었다. 강직한 심지와 청렴해 가난을 피할 수 없었다. 힘든 상황에서도 가족들을 사랑으로 지켜낸 성실한 가장이었다. 한마디로 좌우 진영에 치우치지 않는 올바른 사람이었지만 안타깝게도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권력이 총구에서 나오던 시절의 '참군인'은 대한민국 최대 정치 게이트에 연루돼 항소 한번 없이 16일 만에 졸속 재판의 희생자가 됐다.
 영화 <행복의 나라> 스틸컷
ⓒ (주)NEW
<행복의 나라>는 실존 인물 박흥주를 데려와 박태주로 포장해 그때 그 시절을 소환한다. 야만의 시대를 살아가야 했던 개인의 마음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극적인 인물 선택은 필수다. 개인의 욕망으로 정권을 찬탈하고 훗날 독재 정권을 세우는 전상두(유재명)를 악의 근원으로 규정한다. 모두가 알고 있는 실존 인물을 억압하는 권력으로 상징화했다. 자칫 이야기를 풀어가기 위한 기능적인 캐릭터가 될 법한 전상두를 농익은 캐릭터 소화력으로 살린 유재명의 존재감도 크다.

박태주의 변호사를 맡은 정인후는 법정은 옳고 그름을 따지는 데가 아닌 이기고 지는 승부만 가리는 곳이라고 판단하는 소위 속물이다. 영화 속에서는 내란죄 사건을 맡아 출세하고 싶은 욕망으로 가득하다. 옳은 가치를 따르다 무능해져 버린 아버지를 통해 희망을 잃어버렸다. 운동권 학생을 숨겨주고 본인은 옥살이하느라 몸이 성치 못한 아버지를 보며 시대에 저항하는 일만큼 부질없는 일도 없다고 느낄 법하다. '나 하나 살자고 학생들을 팔아넘길 수 있냐'는 말이 답답하게 들릴 뿐이다.

박태주 변호를 맡은 건 세상을 불신하는 심정을 확인받고 싶었을 것이다. 민주주의, 법, 국가의 상황은 누구나 동등하지 않다는 불신이 자리 잡고 있었고, 자신 또한 이를 이용하려는 마음뿐이었을 거다.

우여곡절 끝에 박태주에게서 아버지의 모습을 발견한다. 8명 중 혼자만 현역인 박태주가 군법(단심) 재판으로 불공정하게 진행되는 상황을 막으려 한다. 공개재판으로 돌려 여론몰이하려는 꼼수를 부리지만, 타협 없는 박태주는 '군인은 군법으로 재판받는 게 옳다'며 고집을 피운다.

결국 상황은 불리해져 군사 재판으로 향해 가지만 가까스로 3심제로 타협을 보게 된다. 하지만 쟁점은 내란의 사건 공모와 위압으로 인한 명령 복종 인지였다. 정인후는 '어차피 세상은 김 부장만 기억할 테니 여론을 그쪽으로 돌리자'고 청유하지만, 박태주는 흔들림 없는 꼿꼿함을 보인다. 부러질지언정 굽히지 않는 자세를 일관한다.

사람에 대한 이야기
 영화 <행복의 나라> 스틸컷
ⓒ (주)NEW
영화는 두 장면을 통해 '천부인권' 의미를 전달한다. 하나는 전상두 측의 협박과 고문으로 만신창이가 됐지만 전상두와 독대하는 장면이다. 사람 하나를 살리려는 또 한 사람의 절절한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그는 골프공을 주우러 다니며 권력의 개가 되고, 현대판 왕을 원했던 전상두를 향해 울분을 토하다 결국 무릎을 꿇게 된다. 오만한 전상두는 기다렸다는 듯이 정인후가 군을 향한 불만을 드러낸 과거를 배로 갚아 조롱한다.

두 번째는 박태주의 마지막 법정 장면이다. 어리석은 원칙주의자는 '만약 인생이 한번은 연습이라고 치면 시간을 되돌려 어느 순간으로 가고 싶냐'는 질문에 먹먹한 답을 내놓는다. 아내의 밥 짓는 소리와 아이들의 웃음이 가득했던 낡은 막사로 돌아가고 싶다고 말이다. 근무 중에도 늘 전방으로 가고 싶다는 말을 했을 정도로 정치와는 무관한, 그저 나라를 지키는 군인의 마음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끝내 행복의 나라에 도달하지 못한 박태주는 '자네에게 진 빚이 많아, 자네는 진짜 변호사야'라는 말로 정인후를 다독인다. 고마움과 인정의 마음을 담은 의미 있는 대사지만, 이내 스크린을 뚫고 나와 현실의 공기와 부딪혀 퍼진다. 배우 이선균의 존재와 교차되는 묘한 감정이다. <행복의 나라>는 이선균을 마지막으로 볼 수 있는 영화로 더 이상 그의 신작을 볼 수 없는 탓이다. 좋은 배우를 잃어버린 안타까움이 극중 인물과 하나 돼 벌어지는 뭉클함이 뒤섞여 따로 떼어놓고 보기 힘들다.

역사적 사건을 필두로 드러나지 않았던 인물과 상황을 상상력으로 채우는 데 탁월한 감각을 지닌 추창민 감독은 <광해, 왕이 된 남자>에서부터 그 진가가 두드러졌다. <행복의 나라>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 사람이 지녀야 할 태도'라는 말로 묵직한 스토리텔링을 펼쳤다.

시종일관 절제된 연기를 선보여 더욱 강력한 존재감을 쌓아간 이선균, 의지와 다르게 흘러가는 부정함에 서서히 달아오르는 조정석, 조소와 조롱을 가득 담아 목숨줄을 쥐고 흔드는 유재명의 진심이 영화 속에서 시너지를 이루고 있다.

다만, <남산의 부장들>과 <서울의 봄>의 선전이 <행복의 나라>에 어떤 작용을 하게 될지 초미의 관심사다. <파일럿>으로 흥행에 성공한 조정석의 밝고 경쾌한 캐릭터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이번 작품 속 어두운 배경과 진중한 캐릭터를 관객은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궁금하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