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에 밀렸다"…'한마리 100만원' 흑산도 홍어 비명, 무슨 일

최경호 2024. 8. 12. 10:5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마리에 100만원, 흑산도 홍어”


전남 신안군에서 흑산도 홍어가 위판되는 모습. [사진 신안군]
전통적인 홍어 산지인 전남지역 자치단체가 ‘홍어 본고장’ 명성을 지키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수온 상승과 어획 방식 차이 등으로 홍어 최대 주산지가 전북 군산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12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신안 흑산도를 비롯한 전남지역 전체 홍어 총 위판량은 639t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홍어 1489t을 위판한 전북 군산보다 850t 적은 규모로 홍어 어획량 1위 자리를 내줬다.

반면 군산에서는 지난해 전국 홍어 어획량(3303t)의 45%를 잡았다. 홍어 최대 산지가 전남에서 전북 군산으로 바뀐 셈이다. 군산의 홍어 위판량은 2017년 4t, 2018년 36t 수준에서 2019년 224t, 2020년 637t, 2021년 1417t 등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군산, 홍어 어획 1위…수온상승 등 요인


옛부터 흑산도산 홍어의 육상 집산지 역할을 했던 전남 나주시 영산포 ‘홍어의 거리’. 중앙포토
군산에서 홍어가 많이 잡히는 주요 원인은 수온 상승 여파로 홍어 서식지가 북상했기 때문이다. 최근 인천과 충남 앞바다에서 냉수성 어종인 홍어가 많이 잡히는 것도 수온 변화와 관련이 있다. 홍어는 수온이 상승하면 전북 군산, 충남, 인천 해역까지 북상한 후 겨울철에 다시 신안 쪽으로 이동한다.

지역별로 홍어를 잡는 방식이 다른 것도 산지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한다. 전남에서는 전통 어로방식인 ‘주낙’을 이용해 홍어를 낚는다. 긴 줄에 미끼가 없는 낚싯바늘을 매달아 홍어가 지나는 길목에 내려 걸리게 하는 어획법이다. 흑산 홍어잡이 어업은 2021년 국가중요어업유산 11호로 지정되기도 했다.


전북, 총허용어획량도 전국 1위


군산 홍어. 사진 군산 서해근해연승연합회
반면 군산 등에서는 유자망 그물을 사용해 홍어를 잡는다. 촘촘한 그물을 쓰는 만큼 홍어를 대량으로 잡을 수 있고, 낚시도 미끼를 끼우는 방식을 쓴다.

홍어 최대 산지가 바뀌면서 정부의 총허용어획량(TAC) 규제량도 어획량을 기준으로 책정됐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해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총허용어획량 배정 물량은 전북이 1365t으로 가장 많고, 전남(817t), 충남(755t), 인천(310t), 부산(97t), 경남(93t), 제주(21t) 등이다. 해수부 유보 물량(210t)까지 합쳐 1년간 총 3668t의 홍어를 잡도록 했다.


신안군, ‘QR코드 이력제’ 등 도입


전남 신안군이 2019년 개설한 흑산도 홍어썰기학교 모습. [사진 신안군]
전남도와 신안군 등은 어획량을 늘리는 대신 ‘홍어 본고장’ 명성을 지키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신안군이 2009년부터 수산물 이력제를 시행해 흑산도 홍어의 부가가치를 높여온 게 대표적이다. 소비자가 홍어에 부착된 QR코드를 찍으면 언제·어느 바다에서 잡혔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남도는 위판장과 수산물 저장시설 현대화 등을 통해 전남산 홍어 가격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생각이다. 지난해 전남 전체에서 잡힌 홍어의 ㎏당 위판 가격은 8444원으로 군산(6746원), 충남(5233원) 등보다 높았다. 이중 흑산도 홍어는 마리당 소매가가 40만~130만원을 오르내릴 정도로 귀한 어종으로 꼽힌다.


홍어 식(食)문화, 유네스코 등재도 추진


홍어로 만든 회와 음식들. 정약전의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회, 구이, 국, 어포로 좋다”고 기록돼 있다. 중앙포토
지자체는 전남산 홍어 맛을 알리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신안군과 나주시 등은 홍어 홍보와 대중화를 위해 매년 ‘홍어 축제’를 열고 있다. 신안군이 2019년 개설한 ‘홍어 썰기학교’에서는 홍어 손질과 숙성 전문가들이 배출되고 있다.

신안군과 나주시가 ‘홍어 식(食)문화’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올리려는 것도 전남산 홍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복안이다. 두 지자체는 지난 6월 12일 ‘홍어 식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공동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유네스코 등재 작업에 뛰어들었다.

전남 신안군 자은도 뮤지엄파크에서 지난해 10월 20일 오후 '대한민국 문화의 날' 행사 일환으로 홍어장수 문순득의 경험담을 엮은 '표해시말' 공연 모습. 뉴시스

신안군 관계자는 “흑산도 홍어의 역사성과 고유성은 정약전의 『자산어보(玆山魚譜)』와 홍어 장수 문순득의 표류기록인 『표해시말(漂海始末)』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며 “전통적인 홍어 산지인 신안과 육상 집산지인 나주가 손을 잡고 홍어 식문화를 세계로 확산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신안=최경호 기자 choi.kyeongh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