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은 쓰고 팔고 다 하는데…삼성폰 받은 북한 선수들 '난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4 파리올림픽에 참가한 북한 선수단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을 제공받아 제재 위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8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북한 국가올림픽위원회(NOC)도 참가 선수들을 위해 선수촌 내 삼성 올림픽 체험관에서 스마트폰을 일괄 수령했다고 한다.
실제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올림픽조직위원회가 제재 위반을 우려해 북한 선수들에게는 삼성 스마트폰을 귀국 전 반납 조건으로 제공하겠다고 하자 북한이 수령 자체를 거부하는 일도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 파리올림픽에 참가한 북한 선수단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을 제공받아 제재 위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8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북한 국가올림픽위원회(NOC)도 참가 선수들을 위해 선수촌 내 삼성 올림픽 체험관에서 스마트폰을 일괄 수령했다고 한다. 문제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는 군사용으로 전용될 수 있는 '이중용도' 성격의 제품이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2397호에 따라 직간접적인 대북 공급·판매·이전이 금지돼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올림픽조직위원회가 제재 위반을 우려해 북한 선수들에게는 삼성 스마트폰을 귀국 전 반납 조건으로 제공하겠다고 하자 북한이 수령 자체를 거부하는 일도 있었다. 그간 대북 제재 규정이 달라지지 않았지만, 이번엔 아무 조건 없이 북한 선수단에 삼성 스마트폰이 제공된 것으로 보인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RFA에 "북한 NOC는 다른 국가올림픽위원회와 마찬가지로 전화기를 (귀국 전) 반환할 의무가 없다"고 밝혔다. IOC는 북한 선수단에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이 대북 제재 위반 아니냐는 RFA의 질의에는 아직 답을 하지 않고 있다.
한편 IOC는 파리올림픽에 참가한 선수 1만7000여명에게 올림픽 공식 후원사인 삼성전자가 특별제작한 스마트폰 '갤럭시Z 플립6 올림픽 에디션'을 제공했다. 해당 에디션은 512GB 모델로, 노란 색상에 올림픽·패럴림픽 엠블럼과 삼성 로고가 새겨졌다.
여기에는 파리올림픽 공식 이동통신 파트너사 오렌지(Orange)가 제공한 100GB 용량의 e심, 선수촌에 설치된 코카콜라 자판기를 무료로 즐길 수 있는 '인앱패스', 파리 일대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 등도 저장됐다. 이를 두고 외신은 "그 어떤 광고보다 훨씬 효과적인 마케팅 작전"이라고 호평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졸 초봉 5600만원, 대학 학비도 드려요"…인력난에 파격조건 내건 日 기업들 - 아시아경제
- "서울만 생각하면 눈물 줄줄"…한 번 다녀오면 걸린다는 中 MZ들 유행병 - 아시아경제
- "내년에는 못 먹어요"…가장 맛있고 비싼 버섯 들어간 커피에 미식가들 환호 - 아시아경제
- 매일 먹으면 4일 만에 기억력 위험…'이 음식' 끊었더니? - 아시아경제
- 걸그룹 데뷔시킨 에어아시아…기내서 배꼽티 입고 춤춘 승무원들 논란 - 아시아경제
- 대만 유튜버 폭행범 '중국인'이라더니…경찰 7시간 뒤 "한국인" - 아시아경제
- "38살인데 코인노래방 다녀"…고객 조롱한 카드사 직원들 - 아시아경제
- '유튜브 재개' 강선우, 구독자 10만 돌파…'실버버튼' 영상 공개 - 아시아경제
- "치킨 튀겨 年30억 벌어요"…BBQ 전국매출 1위 점주의 비결 - 아시아경제
- 中 인기 배우 사망에…어머니 "음주 후 추락사, 더 이상 추측 삼가 달라" - 아시아경제